• 제목/요약/키워드: Systemic risk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9초

제 IV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명훈;박희선;강현모;장필순;이연선;안진영;권선중;정성수;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379-388
    • /
    • 2002
  • 연구배경 : 폐암 중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은 발견 당시부터 전이성 병변이 있는 IV기로 진단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그동안 IV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에 대한 조사는 충분하지 않았었다. 이에 저자들은 IV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의 분석과 M1으로 평가되는 전이 장기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해서 병리조직학적으로 IV병기 비소세포폐 암으로 진단을 받은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생존기간에 대한 단변수 분석 결과 연령, 신체 활동도, 혈청 알부민 농도, 체중감소, $FEV_1$, 전신 항암화학요법 유무, 전이 장기 개수는 생존기간에 매우 유의한 (p<0.01) 예후인자들이었으며, 혈청 LDH 농도 역시 유의한 예후인자이었다 (p<0.05). 2) 전이 장기에 따른 생존율의 단변수 분석에서 뇌전이, 간전이가 있는 경우가 그 외에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p<0.05). 3) 단독으로 전이된 장기에 따른 생존율의 분석에서 폐전이만 있는 경우가 폐와 다른 장기의 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나 폐 이외의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생존율이 높았다 (p=0.000). 4) 생존기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ECOG (상대위험도=2.700, p=0.000), 전신 항암화학요법 유무 (상대위험도=1.944, p=0.010), 혈청 LDH 농도(상대위험도=1.819, p=0.021) 그리고 $FEV_1$ (상대위험도=1.774, p=0.022)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IV병기 비소세포폐암 중 폐에 단독으로 전이가 있는 경우가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비교적 생존율이 높았고, 뇌전이, 간전이가 있는 경우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원격전이로 동일하게 평가되고 있는 M1 병기라도 전이 장기의 종류에 따라 생존기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M1 병기 시스템에서 생존율에 대하여 재해석이 고려되어야겠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후향적 분석이며 대상환자수가 많지 않아서 이 결과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 이후에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모델 설계 KS X ISO 23081 다중 엔티티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Multiple Entity Data Model Design for Visual-Arts Archives and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case of the KS X ISO 23081 Multiple Entity Model)

  • 황진현;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33호
    • /
    • pp.155-206
    • /
    • 2012
  • 1999년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난 후 10년이 지난 현재,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은 공공분야에서 문화예술분야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화예술분야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정보의 산재, 기록의 유실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하나의 예로, 국내의 많은 문화재는 정확한 매매계약이나 증여증서가 없어 이를 추적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고, 이러한 문화예술 창작품은 도굴이나 비공개 경매, 공식적이지 않은 유통경로를 통해 떠돌아다니고 있다. 문화예술 창작품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을 반영하기에, 유통경로를 아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경제의 성장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시각예술작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나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가 되었으나, 작품에 대한 미적가치만을 앞세우는 작품만능주의 팽배로 시각예술작품의 맥락을 보여주거나 사회와의 소통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정보들은 도외시 되었다. 문화예술 선진국에 비하여 국내에서는 유명 작가에 관한 기록, 작품에 녹아 있는 철학 담론에 대한 기록정보들은 흔히 찾아볼 수 없다. 작품을 전시하고 난 후 생산된 기록정보 또한 전시에 앞서 홍보자료나 참고자료로만 이용될 뿐 이를 남기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에 시각예술기록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후대에 예술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적 가치를 전해주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근 시각예술작품이나 시각예술기록정보가 전자적으로 생산된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작품이나 기록에 대한 관리는 모두 기관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는 체계적 관리의 필수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기록정보의 특성을 반영한 다중 엔티티 데이터모델 설계로 시각예술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 하였다. 메타데이터는 기록이 입수되는 시점부터 관리, 보존 및 활용되는 기록의 모든 과정에서 필요로 한다. 시각예술기록은 객체, 행위주체, 업무, 규정 등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질 때 그 가치가 풍부해지진다.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다양한 맥락정보는 다양한 엔티티들과 함께 관계를 맺는 다중 엔티티 모델로 설계되어야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기록정보에 대한 설명성 또한 높아진다. 때문에 이들을 각자 독립적인 엔티티로 설계하고, 이들의 관계를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데이터모델을 설계하여 체계적으로 시각예술기록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양방향성 GLENN 수술을 통한 단계적 FONTAN 수술의 임상분석 (Staged Fontan Operation Via Bidirectional Glenn Operation)

  • 한재진;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062-1068
    • /
    • 1997
  • 1989년 8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세종병원 흉부외과에서는, 단일심실성 교정을 요하는 환자에 대하여 중간 단계의 수술적 치료로서 양방향성 Glenn수술을 총 105례에서 시행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종단계의 Fontal 수술을 1992년 12월부터 시행하기 시작하여 1996년 2월까지 총 42례에서 양방향성 Glenn수술로부터의 Fontal 전환술을 시행하였다. 진단으로는 단일심실증이 19례, 삼천판막폐쇄증이 11례,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류가 9례, 기타 3례였다. 이들의 양방향성 Glenn수술의 시기는 환자연령 2개월에서 8세까지로 중앙연령 값이 12.5개 월이었으며, Fontan 전환술의 시기는 환자연령 1세 5개월부터 9세 7개월까지로 중앙연령 값이 59.6 개월이었다. 두 수술단계 사이의 대기기간은 10개월에서 6년 3개월까지로 평균 33.88+17.85 개월이었다. 두 수술 사이의 기간 동안 18례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체-폐동맥간 혹은 체-폐정맥간 부행혈관이 발생하였다. Fontan 전환술의 수술방법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Gore-Tex도관포편을 이용한 측면 Tunneling을 하였으며 2.5~6 mm 크기의 fenestration을 만들었다. 수술 후 병원 사망례는 5례였으며, 사망원인은 4례에\ulcorner 저심장박출증, 떼는 폐혈증이었다. 만기 사망례는 5례였으며 수술 후 6 개월에서 2년 후에 발생하였는데, 중요 원인은 혈전증 1례, Fontan failure 에 의한 심장이식후 사망 떼, Protein Loosing Enteropathy 1례, Plastic Bronchitis 1례, 그리고 폐렴 1례 등이다. 그외의 생존환자들은 수술후 7개월에서 4년 2개월까지 평균 21.97$\pm$10.82개월 동안 추적 결과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양방향성 Glenn수술후 Fontan 전환술 사이의 기간을 2년을 기준으로 나누었 을 때, 2년 이내에 Fontal 전환술을 시행한 군(12례)이 그 이후의 시행군(21례)과 비교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즉 병원사망률 1/16 대 4/26, 만기사망률 1/16 대 4/26,부행혈관의 발생률 2/16 대 16/26(P<0.05) 이었다. 결론적으로 Fontan수술의 위험요소가 있는 단일심실성 교정수술 대상의 환자에 있어서 양방향성 Glenn수술 단계 후, 연령 등의 원래의 위험요소의 재평가후에 Fontan 전환술의 시기는 2년 내에 시행하는 것이 좋으리라 사료된다.

  • PDF

Vitamin D Level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mportance of Dressing Style

  • Alco, Gul;Igdem, Sefik;Dincer, Maktav;Ozmen, Vahit;Saglam, Sezer;Selamoglu, Derya;Erdogan, Zeynep;Ordu, Cetin;Pilanci, Kezban Nur;Bozdogan, Atilla;Yenice, Sedef;Tecimer, Coskun;Demir, Gokhan;Koksal, Gulistan;Okkan, Sai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357-1362
    • /
    • 2014
  • Background: Vitamin D deficiency is a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 that may be targeted for breast cancer (BC) prevention. It may also be related to prognosis after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as measured by serum 25-hydroxy vitamin D (25-OHD) levels in patients with BC and to evaluate its correlations with life-style and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6 patients with stage 0-III BC treated in our breast center between 2010-2013.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baseline 25-OHD levels and supplement usage, age, menopausal status, diabetes mellitus, usage of bisphosphonates, body-mass index (BMI), season, dressing style, administration of systemic treatments and radiotherapy wer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serum 25-OHD levels was categorized as deficient (<10ng/ml), insufficient (10-24 ng/ml), and sufficient (25-80 ng/ml).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1 years (range: 27-79 years) and 70% of them had deficient/insufficient 25-OHD levels. On univariate analysis, vitamin D deficiency/insufficiency wa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none or low dose vitamin D supplementation at the baseline, high BMI (${\geq}25$), no bisphosphonate usage, and a conservative dressing style. On multivariate analysis, none or low dose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decreased sun-exposure due to a conservative dressing style were found as independent factors increasing risk of vitamin D deficiency/insufficiency 28.7 (p=0.002) and 13.4 (p=0.003) fold,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serum 25-OHD deficiency/insufficiency is high in our BC survivors. Vitamin D status should be routinely evaluated for all women, especially those with a conservative dressing style, as part of regular preventive care, and they should take supplemental vitamin D.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행위와 구강병 발생요인 간의 관계 (Analysis of Occupational Disease Caused by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순환;황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56-264
    • /
    • 2018
  • 본 연구는 구강건강행위와 구강병 발생요인검사결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대학의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과 구강병 발생요인검사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칫솔질 횟수는 1일 3회가 60.2%, 1일 간식 횟수는 1회 이하가 49.7%, 간식의 종류는 점착성이 없는 가당 간식이 66.5%, 음료수의 종류는 유가당 음료수가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평균 9.41ml, 타액 완충능력은 평균 9.52점, 포도당 잔류시간은 평균 12.02분으로 조사되었다.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에서 저위험군인 <$10^5$은 80.1%, Lactobacillus는 저위험군인 <$10^5$은 82.6%로 조사되었다. 자극성 타액 분비율과 비자극성 타액 및 타액 완충능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불소도포 경험이 있는 경우 포도당 잔류시간이 10.66분, 불소도포 경험이 없는 경우 13.33분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8). 전신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구강건강을 위해서는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마련하고, 평생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방세동 환자의 심율동전환 시행 전·후 warfarin 치료의 적절성 평가 (Evaluation of Peri-procedural Warfarin Therapy Undergoing Cardiovers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문정연;김보람;조은정;조윤숙;한현주;최의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1-206
    • /
    • 2016
  • Objective: Direct current cardioversion for atrial fibrill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hromboembolic events. Anticoagulation therapy with warfarin (INR 2.0-3.0) is recommended 3 weeks before and 4 weeks after cardioversion to reduce the risk of thromboembolism. This study evaluated warfarin therapy in pharmacist-managed anticoagulant services (AC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106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from 2012 to 2013.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was the composite of stroke, transient ischemic attack, myocardial infarction, and cardiovascular death. The primary safety measure was major bleeding. To evaluate the peri-procedural effects of warfarin treatment, we studied whether target INR was maintained, as well as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therapeutic range. Quality of treatment was measured by time in therapeutic range (TTR) by using the Rosendaal method. Results: There were no thromboembolic events, but TEE examination at time of cardioversion showed a left atrial thrombus in three patients (2.8%). Bleeding complications after cardioversion occurred in 2 patients (1.9%). The average INR value at the time of cardioversion was $2.59{\pm}0.8$, and was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in 83 patients (78%). Analysis of the patients in whom the value was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twice consecutively showed that the ratio of TTR was 80% and the therapeutic range was maintained in 67 patients (63%) for an average of 4.90 weeks prior to cardioversion. Similarly, 76 patients (72%) had a stable INR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for an average of 5.70 weeks and a mean TTR of 83%. Conclusion: Pharmacis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ppropriate warfarin treatment with close monitoring during cardioversion. Likewise, active pharmacist monitoring and systemic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thromboembolism and bleeding complications in the peri-cardioversion period.

A군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과 동반된 침습성 수막구균감염증 1례 (Case of Combined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d Acute Invasive Meningococcal Disease)

  • 전호상;한원호;박동균;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126-130
    • /
    • 2004
  • 본 저자들은 A군 연쇄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과 동반된 수막구균감염증(수막구균 뇌수막염, 수막구균혈증)에 걸린 7세 남아를 경험하였는데 A군 연쇄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인해서 C3가 감소하여 수막구균감염증에 감염이 되었는지, 역으로 가능성은 떨어지지만 수막구균감염증의 결과로 C3가 감소하였고 사구체신염이 생긴 것인지 전후 관계가 확실하지 않은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What Can We Apply to Manage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 Kim, Deog Kyeom;Lee, Jungsil;Park, Ju-Hee;Yoo, Kwang 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2호
    • /
    • pp.99-105
    • /
    • 2018
  •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ECOPD) tend to be critical and debilitating events leading to poorer outcomes in relation to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reatment modalities, and contribute to a higher and earlier mortality rate in COPD patients. Besides pro-active preventative measures intended to obviate acquisition of AECOPD, early recovery from severe AECOPD is an important issue in determining the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OPD. Updated GOLD guidelines and recently published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clinical recommendation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se of pharmacologic treatment including bronchodilators, systemic steroids and/or antibiotics. As a non-pharmacologic strategy to combat the effects of AECOPD, noninvasive ventilation (NIV)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as this therapy is thought to be most effective in reducing intubation risk in patients diagnosed with AECOPD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Recently, a few adjunctive modalities, including NIV with helmet and helium-oxygen mixture, have been tried in cases of AECOPD with respiratory failure. As yet, insufficient documentation exists to permit recommendation of this therapy without qualification. Although there are too few findings, as yet, to allow for regular andr routine application of those modalities in AECOPD, there is anecdotal evidence to indicate both mechanical and physiological benefits connected with this therapy. High-flow nasal cannula oxygen therapy is another supportive strategy which serves to improve the symptoms of hypoxic respiratory failure. The therapy also produced improvement in ventilatory variables, and it may be successfully applied in cases of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Extracorporeal carbon dioxide removal has been successfully attempted in cases of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protective hypercapnic ventilatory strategy. Nowadays, it is reported that it was also effective in reducing intubation in AECOPD with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Despite the apparent need for more supporting evidence, efforts to improve efficacy of NIV have continued unabated.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efforts will, over time, serve toprogressively decrease the risk of intubation and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in cases of AECOPD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대사증후군 환자군과 정상군의 뇌혈류 측정 비교를 통한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TCD의 진단적 가치 고찰 (Comparison of Cerebral Blood Flow betwee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Normal Group to Evaluate Diagnostic Value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 엄은진;박우람;김주성;이범준;나병조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5-100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agnostic value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about risk factor of stroke by comparing blood flow betwee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MS group) and Normal group. Methods: 62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nd 106 healthy adults were selected who had no cerebrovascular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other systemic diseases. We measured the mean velocity(Vm), peak systolic velocity(Vs) and pulsatility index(PI) of MCA, ACA, PCA, VA, ICA in two groups using TCD. All subjects were divided by gender and age. Results: In comparing Ms group with normal group, Vm in the MCA, ACA, PCA, ICA and Vs in the MCA, ICA were lower in MS group. In all vessels, PI of MS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In all vessels, Vm and V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PI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In 20-39 year olds, there was decrease in the Vs and Vm and increase of PI of MS group in comparison with norm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m of PCA, ICA, Vs of MCA, PCA, ICA and PI of MCA, ACA. In 40-59 year olds, Vm in the MCA, ACA, ICA and Vs in the MCA, ACA were lower in MS group. PI in the MCA, ACA, PCA, ICA were higher in MS group. In 60-79 year olds, Vm of MCA, PCA, ICA was decreased in MS group than Normal group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tion. Vs in the MCA was lower and PI in the PCA was higher in MS group. In male, Vm of PCA and Vs of MCA were lower and PI of MCA, ACA, PCA, ICA were higher in MS group. In female, Vm of MCA, PCA, ICA and Vs of MCA, ICA were lower and PI of ACA, PCA, VA, ICA were higher in MS group. Conclusion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Vm, Vs, PI between MS group and normal group suggests hemodynamic disorder. Screening and prognosing high risk group can be done through TCD and this can be used to prevent stroke. More detailed study will be needed.

The effects of zoledronic acid on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rats: histological and microtomographic analyses

  • de Marcelos, Priscylla Goncalves Correia Leite;da Cruz Perez, Danyel Elias;Soares, Diego Moura;de Araujo, Samuel Silva;Evencio, Liriane Baratella;Pontual, Maria Luiza dos Anjos;Ramos-Perez, Flavia Maria de Moraes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4호
    • /
    • pp.264-275
    • /
    • 2021
  • Purpose: Periodontitis is considered a local risk factor for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MRONJ).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in the presence of zoledronic acid (Z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ystemic use of ZOL on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EP) in rats, as ZOL could modulate the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and concomitantly cause MRONJ in individuals with periodontitis. Methods: Forty-eight male Wistar rat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6 groups (n=8 each). To induce EP, ligatures were placed around the right first mandibular molars. Three groups were treated with ZOL (0.15 mg/kg/week, intraperitoneal), and 3 with 0.9% saline solution (controls). In the ZOL/Lig30 and ZOL/Lig 15 groups, after 4 weeks of treatment with ZOL, EP was induced and euthanasia was performed after 30 and 15 days of EP induction, respectively. In both groups, the animals continued to receive ZOL after EP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the Lig/ZOL group, EP was induced first, and 15 days later, ZOL was administered for 8 weeks, with euthanasia 1 week after the last dose. After euthanasia, the mandibles were evaluated using micro-computed microtomography (micro-CT) and histomorphometry. Bone loss was measured, and the presence of osteonecrosis was evaluated histologically. The data were evaluated using the Student t-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Results: In the Lig/ZOL group, micro-CT revealed less alveolar bone resorption in the distal root (P<0.01) than in the control group (Lig/C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confirmed less alveolar bone resorption in the Lig/ZOL group (P=0.001). Histologically, osteonecrosis was more common in the ZOL groups. Conclusion: ZOL decreased alveolar bone resorption in rats with EP. However, it presented a higher risk for MRO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