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ic hypertension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5초

뇌출혈과 동반된 뇌간에 국한된 고혈압 뇌병의증: 사례 보고 (Probable Isolated Hypertensive Brainstem Encephalopathy Combined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a Case Report)

  • 김아영;서형석;정상욱;이용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3호
    • /
    • pp.258-262
    • /
    • 2014
  • 고혈압 뇌병증과 기저핵의 뇌출혈은 급성 고혈압에서 나타나는 의학적 응급상황이다. 고혈압 뇌병증과 뇌출혈의 관계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량 출혈에 의한 뇌압상승은 쿠싱 반응을 일으켜 고혈압 뇌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보고는 뇌출혈과 동반하여 일어난 뇌간의 독립적인 고혈압 뇌병의증이라는 드문 사례를 기록한다.

하지동맥 폐쇄환자에서 실시한 Extra-anatomic bypass술의 임상적 고찰 (Extra-anatomic Bypass in Lower Limb Ischemia)

  • 김규만;김종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2호
    • /
    • pp.920-925
    • /
    • 1993
  • Extra-anatomic bypass was proposed by Freeman in 1952 and has been used for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arterial occlusion who had very high operative risk, especially elderly or severly illed patient.We had performed 14 cases of extra-anatomic bypasses from Jan. 1991 till July 1993 and having been following up them. Thei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Among total 14 patients, 13 was male. Their mean age was 64.8 years old, ranged from 48 to 80.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pain on lower limb and they visited hospital 6.1 months in average after onset of symptom. Frequently, they were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s such as generalized atherosclersis, hypertension, diabetes mellius, etc. Axillary artery was used as donor artery in 8 cases and crossover femoro-femoral or femoro-popliteal bypass was performed in 6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tedd in 8 cases so their morbidity rate was 42.8%. Except for two contraindicated cases, one or more anticoagulants were used routinely . Among them, combined use of aspirin and persantine was most commonly applied.After bypass graft, nine cases were occluded beteween 10 and 53 months. So their average duration of freedom from reocclusion was 35.7 months and 3-year patency rate was 63%.

  • PDF

성상신경절차단요법에 대한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s of Stellate Ganglion Block Therapy)

  • 천임순;김종일;반종석;민병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04-207
    • /
    • 1993
  • 본 통증치료실에서는 알러지성비염, 과민성대장증후군, 고혈압, 불면증, 만성변비환자를 대상으로 하루에 1회씩 총 15회의 성상신경정차단요법을 시행하였는바 총 13명중 5명에서 우수, 6명에서 양호, 3명에서 무효하였다.

  • PDF

Cardiometabolic Effects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Treatment Effects of Oral Appliance: An Updated Review for Dentists

  • Kim, Hye-Kyoung;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3호
    • /
    • pp.61-69
    • /
    • 2018
  •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relatively common, but greatly underdiagnosed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characterized by recurrent collapse of the upper airway during sleep. OSA has been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cardiometabol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coronary artery disease, cardiac arrhythmia, cerebr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dysfunction. Neuro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creased risk of motor vehicle accidents, is also related to OSA. Sleep fragmentation and related arousals during sleep lead to intermittent hypoxia, sympathetic activation, oxidative stress, systemic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regulation which provide biological plausibility to this pathologic mechanism. Extensive studies demonstrated that OSA is a modifiable risk factor for the above mentioned diseases and oral appliances (OAs), although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 (CPAP) is a first-line therapy of OSA, are not inferior to CPAP at least in mild OSA, and may be an alternative to CPAP in CPAP-intolerant subjects with OSA.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current knowledge of pathologic link between OSA and cardiovascular disease, focusing on intermittent hypoxia, sympathetic activation,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dysregulation. Then, previous epidemiologic studies will b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SA and cardiovascular disease. Finally, the effects of OAs will be updated via recent metaanalyses compared to CPAP.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 위험분석: a propensity score analysi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 Propensity Score Analysis)

  • 유기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2019
  • Background: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 that manifests as joint damage or athletic disability via sustained inflammation of the synovial membran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higher in RA patients.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VD comorbidities and RA by comparing a pharmacotherapy group with a non-pharmacotherapy group. Methods: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NPS-2016) were used.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using the propensity score was used to minimize the differences in patient characteristic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CVD comorbidities. Results: The analyses included 1,207,213 patients, of which 33,122 (2.8%) had RA. The odds ratios (OR) of CVD comorbidities were increased in RA patients; ischemic heart disease (IHD: OR 1.75; 95% CI 1.73, 1.77), cerebral infarction (CERI: OR 1.28; 95% CI 1.26, 1.30), hypertension (HTN: OR 1.44; 95% CI 1.43, 1.45), diabetes mellitus (DM: OR 2.04; 95% CI 2.03, 2.06), and dyslipidemia (DL: OR 3.49; 95% CI 3.47, 3.51). The ORs of IHD, CERI, HTN, and DM in the traditional DMARD and biologic treatmen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pharmacotherapy group. Conclusions: Thus, CVD risk was higher in RA patients, considering age,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Appropriate pharmacotherapy could decrease the risk of CVD comorbidities in RA patients.

Primary hepatic sarcoidosis presenting with cholestatic liver disease and mimicking primary biliary cholangitis: a case report

  • Park, Young Joo;Woo, Hyun Young;Kim, Moon Bum;Ahn, Jihyun;Heo, Jeo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256-261
    • /
    • 2022
  • Sarcoidosis often involves the liver. However, primary hepatic sarcoidosis confined to the liver without evidence of systemic involvement is rare. We report the case of a 37-year-old man with hepatic sarcoidosis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elevated liver enzymes and suspicious cirrhotic nodules on computed tomography. The patient had cirrhosis but did not have portal hypertension. Based on the initial histopathologic finding of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the comm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arcoidosis, he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primary biliary cholangitis, and his daily dosage of ursodeoxycholic acid was increased to 900 mg. After 14 months of treatment, his total serum bilirubin concentration was 10.9 mg/dL (upper normal limit, 1.2 mg/dL). Additionally, a transjugular liver biopsy revealed multiple noncaseating granulomas. He was diagnosed with primary hepatic sarcoidosis involving the lungs, heart, spleen, kidneys, and skin. Treatment with methylprednisolone was initiated. Two weeks later, he was started on azathioprine, and the dose of steroid was simultaneously reduced. Thes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including hepatic sarcoidosis as a possible diagnosis in patients with elevated liver enzymes or cryptogenic cirrhosis.

Optical Design of a Snapshot Nonmydriatic Fundus-imaging Spectrometer Based on the Eye Model

  • Zhao, Xuehui;Chang, Jun;Zhang, Wenchao;Wang, Dajiang;Chen, Weilin;Cao, Jiaji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6권2호
    • /
    • pp.151-160
    • /
    • 2022
  • Fundus images can reflect ocular diseases and systemic diseases such as glaucoma,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Thus, research on fundus-detection equipment is of great importance. The fundus camera has been widely used as a kind of noninvasive detection equipment. Most existing devices can only obtain two-dimensional (2D) retinal-image information, yet the fundus of the human eye also has spectral characteristics. The fundus has many pigments, and their different distributions in the eye lead to dissimilar tissue penetration for light waves, which can reflect the corresponding fundus structure. To obtain more abundant information and improve the detection level of equipment, a snapshot nonmydriatic fundus imaging spectral system, including fundus-imaging spectrometer and illumination system, is studied in this paper. The system uses a microlens array to realize snapshot technolog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only a single exposure. The system does not need to dilate the pupil. Hence, the operation is simple, which reduces its influence on the detected object. The system works in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bands (550-800 nm), with a volume less than 400 mm × 120 mm × 75 mm and a spectral resolution better than 6 nm.

CREST 증후군에 동반된 폐고혈압 환자에서 총상병변내 내피세포 증식의 클론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lonality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Plexiform Lesions in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 이상도;전용감;이지현;심태선;임채만;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50-160
    • /
    • 1999
  • 연구배경: CREST 증후군은 전신성 경화증의 이형으로 전신성 경화증에 비교하여 병의 진행이 늦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CREST 증후군 환자의 약 50%에서 폐나 심장질환의 증거 없이 폐고혈압이 발생하며, 이러한 환자들의 이년 생존률은 40%로 폐고혈압이 없는 환자에 비해 예후가 매우 나쁘다. 그러나 CREST 증후군에 동반되는 폐고혈압의 원인과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으며 막연히 원발성 폐고혈압의 이형(variant form) 또는 이차성 폐고혈압으로 분류되고 있다. 총상병변(plexiform lesion) 내 증식된 내피세포의 클론성 검증은 폐고혈압을 원발성과 이차성으로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CREST 증후군이 동반된 폐고혈압 환자의 총상병변 내피세포의 클론성을 분석함으로써 CREST 동반된 폐고혈압이 원발성인지 이차성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폐고혈압을 동반한 CREST 증후군 여자환자에서 얻은 폐조직의 파라핀 block을 사용하여 microdissection 방법으로 총상병변내에 증식된 내피세포를 분리한후 X-염색체의 methylation pattern을 이용하여 클론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중막 비후를 보이는 혈관의 혈관 평활근과 폐실질의 클론성도 분석하였다. 결과: 14개 총상병변의 '증식된 내피세포'의 클론성 모두 다클론성 이었다. 또한 중막비후가 현저한 5개 폐동맥의 평활근세포 클론성도 모두 다클론성 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CREST 증후군에 동반되는 폐고혈압이 원발성 폐고혈압과는 다른 병리 기전을 갖는 이차성 폐고혈압임을 시사한다.

  • PDF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성인 천식 환자에서 Nebulized Budesonide의 임상적인 효과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대한 작용 (Clinical Validation of Nebulized Budesonide and Effect of Nebulized Budesonide o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Adult Patients Admitted with Acute Asthmatic Attack)

  • 서기현;문승혁;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29-538
    • /
    • 2002
  • 배 경 : 급성 천식발작 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전신성 스테이로드는 골다공증, 쿠싱증후군, 당뇨, 고혈압, 출혈성 경향 등의 합병증으로 초기에 흡입용 스테로이드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흡입성 스테로이드에는 정량분무식 에어로졸(MDI)나 분말형 흡입제(DPI), 무화에어로솔(nebulized aerosol)를 사용해오고 있는데 소아나 노인, 호흡곤란이 아주 심한 성인 환자에서는 무화 에어로졸(nebulized aerosol)을 이용한 budesonide흡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성인 천식 환자에 nebulized budesonide를 적용했을 때의 임상적인 효과와 스테로이드 보존 효과, 스테로이드의 부작용 중 하나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이상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 2000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입원한 기관지 천식, 천식을 동반한 만성 폐질환 환자를 선택하여 1군은 전신성 스테로이드와 nebulized budesonide 2mg을 사용한 군, 2군은 전신성 스테로이드와 budesonide turbuhaler를 사용한 군, 3군은 단지 전신성 스테로이드만을 사용한 군으로 나누고서 최대호기유속, 대기중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 증상지수(호흡곤란, 기침, 야간천식, 천명음), 스테로이드 총량, 입원기간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2. 내원 10일전부터 어떤 종류의 스테로이드도 쓰지 않았던 환자를 선택하여 budesonide turbuhaler와 nebulized budesonide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소변내 코타솔 수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임상효과: 순수한 천식환자에서 증상 지수(호흡곤란, 천명음, 기침, 야간천식), 스테로이드 용량, 재원일수, 폐기능 소견, 최대호기유속, 동맥혈가스검사에서 세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천식을 동반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했을 때도 세균간의 차이는 없었다. 2. 시상하부-뇌하수체-부진 축의 효과 : nebulizer budesonide 사용군은 turbuhaler 사용군과 마찬가지로 부신축의 억제효과가 있으나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p=0.288) 결 론 : 성인 천식환자에서 급성 발작시 budesonide 형태에 관련없이 전신성 스테로이드만이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치료 용량의 nebulizer 사용군에서 turbuhaler 사용군과 마찬가지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혈압 및 폐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nd Systemic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이숙영;최영미;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206-217
    • /
    • 1995
  •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기도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흔히 동반되는 비만과 같은 체형상의 특성은 다른 폐기능의 변화도 가져올 수 있고, 이러한 폐기능의 변화는 수면 무호흡시 나타나는 저산소증 및 환자의 임상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병태생리학적 관련성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많은 환자에서 고혈압을 동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에서 기도저항을 포함한 폐기능 검사소견과 수면다원검사 각 지표 상호간의 관련성 여부를 관찰하고, 이들중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들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들에서 연령, 비만도,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 폐기능 검사소견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면장애 크리닉에서 수면설문지검사와 수면 다원검사를 실시하여 무호흡지수가 5이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능 검사는 주간의 각성상태에서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하여 기도저항, 일산화탄소 폐확산능, 노력성호기곡선, 기능적 잔기용량과 총폐용량을 포함한 폐의 용적과 용량을 측정하였고, 수축기혈압이 16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5mmHg이상으로 고혈압의 병력이 있어 항고혈압제를 복용중인 12명(37.5%)을 고혈압환자군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연령,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으며 고현압환자군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을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서 두군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았다. 결과: 1) 비만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와 상호관련성이 있었다. 2)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산소탈포화정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주간에 실시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과 무호흡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산소탈포화정도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비만도와 $FEV_1,\;FEV_1/FVC$, DLco 사이에는 각각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5) 고혈압환자군이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에 비하여 평균연령이 높았으나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비만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무호흡지수와 호흡장애지수는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유의한 지표였다. 주간의 각성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은 무호흡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기도저항의 측정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보조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므로 이들 환자의 진단과 치료시 폐기능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고혈압의 병태생리학적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관찰방법을 달리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