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ringa vulgar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라일락 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Lilac(Syringa vulgaris L.))

  • 황선주;신동현;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4-344
    • /
    • 1997
  • 라일락 잎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을 검정(檢定)코저 수행한 본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적과 Leaching법으로 추출(抽出)한 라일락 잎 수용 추출물의 식물 생육 억제효과를 검정해 본 결과, 바랭이와 상추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장보다 뿌리에 더 큰 억제현상을 보여 1차적인 생리활성효과를 검정할 수 있었다. 2. 라일락 잎의 페놀, 그리고 폴리페놀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p-coumaric acid, salicylic acid, pyrogallol 및 catechol의 높은 비율이 동정되었고, 폴리페놀성 물질로는 rutin, chlorogenic acid, kaempferol 및 scopoletin 등이 각각 검정되었다. 3. 표준페놀물질인 pyrogallol과 catechol은 공시식물의 생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수용성인 pyrogallol $10^{-6}M$과 catechol의 혼합처리에서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몇몇 조경용 관목의 보행제어 효과에 관한 연구 -관목개체의 수지밀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rating system of some shrubs for pedestrian control ; concentrate upon the density of branch)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1-100
    • /
    • 1998
  • This paper is to study on rating system of some shrubs for pedestrian control with concentrate upon the density of branch. It was usd that Hibiscus syricacus L.,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Callicarpa dichotoma Raeusch., Rhoododendron mucrionulatum Turcz., Syringa vulgaris L.,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ercis chinensis bunge, Forsythia koreana Nak., Euonymus alatus Sieb, Chaenomeles speciosa Nak., 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Deutzia parviflora Bunge, Kerria japonica De Candolle, Prunus tomentosa Thunberg ex Murray, Purunus grandulosa for. albiplena Koehne. Shrubs are invesitgated ito the density of branch, the power of sprout, height, a rate of growth, hardness of naturalizaton, crown width and existence of thorns. Shrubs belonged to high group of rating system for pedestrian control were Euonymus alatus Sieb, Purunus grandulosa for. albiplena Koehne, Chaenomeles speciosa Nak.,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 Prunus tomentosa Thunberg ex Murray,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Hibiscus syricacus L.,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Syringa vulgaris L., Weigela subsessilis L.H.Bailey.

  • PDF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이용한 오동나무, 라일락, 미역취의 Phytoplasma 검출 및 유연 관계 (Detection of Phytoplasmas from Paulownia tomentosa, Syringa vulgaris and solidago vir-aurea var. gigante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ir Relationships)

  • 이준탁;이준탁;예미지;권오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1-196
    • /
    • 1996
  • 위축, 황화, 총생 증상 등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는 phytoplasma에 감염된 식물에서 phytoplasma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Phytoplasma의 16S rRNA gence의 DNA 단편을 증폭하기 위하여 1.4 kb primers (forward, 5` -GTTGATCCTGGCTCAGGATT-3` 와 reverse, 5` -AACCCCGAGAACGTATTCACC -3`)를 사용하여 증폭한 결과, phytoplasma에 이병된 오동나무, 라일락 및 미역취에서는 약 1.4 kbp의 위치에서 특이 band가 검출되었으나 control로 사용한 건전주에서는 어떠한 band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재확인 하기 위하여 약 0.5 kb의 primers(forward, 5` -ACGAAAGCGTGGGGAGCAAA-3` 와 reverse, 5` -GAAGTCGAGTTGCAGACTTC-3`)를 사용하여 증폭한 결과, 0.5 kb의 위치에서 특이 band가 검출되었으나 control로 사용한 건전주에서는 어떠한 band도 검출되지 않았다. Phytoplasma에 이병된 식물의 PCR 반응산물을 제한효소인 AluI으로 처리하 sruf과, 오동나무와 라일락에서는 동일한 band pattern을 나타내어 서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phytoplasma인 것으로 생각되며, 미역취에서는 이들과는 다른 band pattern을 나타내어 오동나무와 라일락의 phytoplasma와는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추측된다.

  • PDF

GC-MS에 의한 라일락 꽃 향기 분석 (Characterization of Fragrances from Lilac Blossom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김남선;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17권1호
    • /
    • pp.85-89
    • /
    • 2004
  • 라일락 꽃 향기 성분의 특성을 고체상 포집 용매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 이온 포집형 질량분석법으로 연구하였다. 라일락 품종에 따라 향기성분의 조성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백색 라일락 꽃의 경우 벤즈알데히드, 페닐 아세트알데히드 및 알파-파네센인데 비하여 보라색 라일락 꽃은 벤즈알데히드, 알파-피넨 및 오시멘이 주된 향기성분으로 발견되었다. 라일락 꽃 향기성분 중 알파-피넨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본질을 분석한 결과 (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Shoot Blight of Suckers of Common Lilac caused by Phytophthora Citricola

  • Kim, B.S.;Lim, Y.S.;Kim, J.H.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288-290
    • /
    • 2003
  • Shoot blight of suckers of common lilac plants (Syringa vulgaris) was found in an apartment garden in Daegu, Korea. The causal organism was a species of Phytophthora, which was homothallic with paragynous antheridium. Oogonia were globose and measured 21.5-34.0 $\mu\textrm{m}$ with an average of 29.7$\pm$3.2 $\mu\textrm{m}$ in diameter. Oospores in oogonia were round, light orange brown when mature, mostly plerotic, and measured an average of 25.6$\pm$3 $\mu\textrm{m}$ in diameter. Antheridia were ovoid and around 11.7$\times$7.8 $\mu\textrm{m}$. Sporangia seldom formed on agar media but formed abundantly in water. Sporangia that formed in water were semipapillate, ovoid obpyriform, non-caducous, and 23.4-66.3$\times$17.6-37.1 $\mu\textrm{m}$ in dimension with I/b ratio of 1.46.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itricola Sawad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hoot blight caused by P. citricola Sawada in lilac suckers in Korea.

인공배양토 재배를 통한 조경수 생장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Analysis of Landscape Trees with an Artificial Culture Soil)

  • 안봉원;김영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42
    • /
    • 1988
  • 초경수림의 재배에 있어 연탄재와 도시하수처리에서 발생한 오니를 혼합하여 배양토를 만들어 상토로 사용하고 주목, 회양목, 쥐똥나무, 라일락 등 4개 수종의 생육을 비교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개 수종 공히 초기생장은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약간의 생육차이를 보였다. 2. 식재후 2개월이 지난 후 부터는 현격한 생장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3. 가장 높은 생장을 나타낸 것은 라일락이며 쥐똥나무, 회양목, 주목의 순이었다. 4. 특히 주목은 그 생장량 차이가 타수종에 비하여 현격하게 적게 나타나고 있다. 5. 이후 도시환경문제를 심각하게 만들고 있는 연탄재와 하수오니는 조경용 수목의 재배나 식재지객토로 활용한다면 매우 높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yringa oblata var. dilata (Nakai) Rehder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syringa oblata var. dilatata(Nakai) Rehder)

  • 유경수
    • 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4
    • /
    • 1948
  •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is a oleaceous, deciduous shrub indigenous in the calcareous zones of Korea. The author researched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the plant, especially the bitter principles which may be used as amara.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 bitter principle Syringin and Mannitol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S. vulgaris L. And later on B. Power indicated that syringin and mannitol were widely distributed in oleaceous plants. The fresh leaves of the plant wer extracted with hot water, the filtered clear liquid was mixed with solution of lead acetate. The lead precipitate was filtered off and the filtered liquid was freed from lead by H$_{4}$S.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evaporated, and from the residue colorless needles, M. P. 166.deg., were obtained. It was soluble in water, in hot alcohol, and insoluble in ether and had a sweet taste. The results of the elementar analysis, M. P. and other characteristics agreed with that of d-mannitol. Finally it was proved to be identical with d-mannitol through conversion of it into Hexaacetyl mannitol, M. P. 124.deg., Triformal mannitol, M. P. 227.deg., Tribenzal mannitol, M. P. 224.deg., which exhibited no depression, when mixed with authentic specimens. The experiments to isolate bitter principles of the plant are in progress.

  • PDF

약용식물, 노루발(Pyrola japonica)에서의 감귤선충(Tylenchulus semipenetrans Cobb)의 기생 (A New Host of Citrus Nematode, Tylenchulus semipenetrans Cobb, in Korea)

  • ;박소득;김재철;김세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2-624
    • /
    • 1998
  • During the course of study on plant parasitic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in Korea, high population of different stages of citrus nematode, Tylenchulus semipentrans was found in association with Pyrola japonia Klenze in Imsil, Chunbuk province. The second stage larvae and males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 immature and mature females were detached from the roots of infested plants of Pyrola japonica. Besides citrus it has been reported to parasitize on roots of Syringa vulgaris, Diospyros lotus, olive, grapevine, and pear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 semipenetrans parasitized on a medicinal plant, Pyrola japonica.

  • PDF

Shoot Blight of Suckers of Common Lilac caused by Phytophthora citricola Sawada(oral)

  • Kim, B.S.;Y.S. Lim;Kim, J.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8.2-128
    • /
    • 2003
  • Shoot blight was occurring on shoots of suckers of common lilac (Syringa vulgaris L.) growing in first author's apartment garden in May 2003. A species of Phytophthora was isolated from the lesions. The isolate did not sporulate on agar media but formed sporangia in water and also formed sex organs in single culture. Sporangia were semipapillate, ovoid obpyriform, measured 45.6-52.8 ${\times}$ 33.6-36.0$\mu\textrm{m}$. Sporagia were very variable in shap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circ}C$. Oogonia were spherical and antheridia were paragynous. Optimum temp for mycelial growth was 25$^{\circ}C$.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Phytopkhora citricola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rdinal temperature.

  • PDF

국내 자생식물의 항균활성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 양민석;하영래;남상해;최상욱;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84-589
    • /
    • 1995
  • 새로운 유용식물자원개발의 일환으로 80종류(95 시료)의 국내자생식물을 채집하여, 이들 methanol 추출물의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실험대상 4가지 균주 모두에 항균성을 보인 것은 사철쑥, 지칭개, 뽀리뱅이, 꿀풀, 광대나물 그리고 향나무였으며, 씀바귀, 떡쑥, 애기똥풀, 조팝나무, 냉이 전초 및 동백나무 잎 가지 등을 포함한 8 종류는 적어도 3가지 균주에 대해 항균성을 보였다. 반면에, 라일락 잎은 그람 음성균인 E. coli와 V. parahaemolyticus에서, 꽃다지는 V. parahaemolyticus에서, 얼레지의 인경은 B. subtilis에 대해 선택적인 항균성을 보였다. 특정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살펴보면, B. subtilis에 대해서는 얼레지의 인경(18mm)이, S. aureus에 대해서는 조팝나무(16 mm), E. coli에 대해서는 라일락의 잎(18mm) 그리고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꽃다지(23mm)가 각각 가장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적 강한 항균활성을 보여준 9종류의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여 얻은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와 물분획물의 B. subtili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험한 모든 분획물중에서 지칭개의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 (각각 17mm, 29mm)을 보였다. 뽀리뱅이는 chloroform 분획물에서, 사철쑥, 씀바귀 및 꿀풀은 hexane 분획물에서, 그리고 동백 잎 줄기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강한 항균성을 보였으나, 향나무와 쇠뜨기는 물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비교적 고른 항균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