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echogobius hast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순천 상내리 갯벌역에 출현하는 풀망둑(Synechogobius has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avelin Goby Synechogobius hasta on Tide Flat in Sangnae-ri Suncheon, Korea)

  • 박종혁;정재묵;김현지;예상진;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82-987
    • /
    • 2015
  •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58 individuals of Synechogobius hasta were collected. The range of body length (BL) was 15.4-44.5 cm. The stomachs of 26.6% of the individuals were empty. The most abundant prey was shrimp. Among shrimp, Exopalaemon orienti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being present in 27% in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Fishes and crabs were also abundant prey. Analysis of ontogenetic changes, suggested that shrimp were the main prey of S. hasta of two size classes (<20 and 20-25 cm). The proportion of shrimp decreased, but that of fishes and crabs increased, with increasing body length, beginning at the 25-30 cm size class. In spring, fishes were the dominant prey, while shrimps, and crabs and fishes dominated in autumn and winter, respectively.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7-119
    • /
    • 1970
  • 1967년 11월부터 1968년 12월까지 사이에 부산부근의 낙동강 유역인 선암, 가락, 성산, 하단에서 채집된 체장 7cm부터 33cm까지 사이의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 1,050개체를 재료로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1) 전 개체에서 체장의 신장에 따른 체중의 회귀를 식으로 표시하면 $Y=0.09863X^{2.17926}$이였다. 2) 체장 20.5cm부터 27.5cm까지 사이에서는 성숙자 산란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상대 성장을 보이지 않는다 (Fig. 1). 3) 체장 7.5cm부터 19.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4995X^{2.472l6}$, 체장 28.5cm부터 32.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004127X^{3.67265}$으로 표시되었다.

  • PDF

한국산 말뚝망둥어 Periopthalmus cantonensis(농어목:망둑어과)의 골학적 연구 (Osteological Study of the Mudhopper, Periopthalmus cantonensi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2-410
    • /
    • 1990
  • 한국산 P. cantonensis의 골격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같은 망둑어과 어류에 해당되는 Tridentiger obscurus, Synechogobius hasta 및 Odontogobius platycephala등의 골격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 새조골이 5개이고, 상미축골이 2개이며, hypomeral이 존재하는 점은 서로 일치하였으나, 뇌두개를 구성하는 골격들이 융합되었고, 익상골이 사각형이면서 방형골과 떨어져 있으며, 3개의 사출골은 융합하고, hypomeral이 늑골에 100% 부착하며, 준하미축골이 매우 퇴축되었으며, 또 치골과 관절골 사이의 관절이 잘 움직이고, 훙대와 요대의 관절과 이들의 지느러미 기부에 근육이 발달된 점 등으로 본 P. cantonensis에서만 독특하게 나타나고 있어 본 종은 망둑어과 어류 중에서도 계통분류학적으로 매우 특이한 분류군으로 사료되었다.

  • PDF

금강하구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의 생태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 최윤;김익수;유봉석;박종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3
    • /
    • 1996
  • 서해 군산연안에 서식하는 풀망둑의 생태 연구를 위해 1994년 5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매월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서식환경, 난소의 성숙과정과 산란기, 포란수, 자어의 출현과 착저(着底)시기, 성장, 먹이생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종의 난소 발달과정은 $10\~11$월의 난원세포기, $12\~2$월의 성장기, $2\~4$월의 성숙기, 4월-5월 초의 완숙 및 산란기로 구분되었다. 4월 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중순에 대부분 산란을 종료하였고, 산란성기는 5월 초${\cdot}$중순이었다. 포란수는 전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약 $8,600\~49,000$ 여개를 포란하고 있었다. 성숙란을 포함하는 최소 성체는 전장 225mm(체장 180mm)였다. 5월 중순 이후 6월 초까지 전장 10mm 미만의 자어가 출현하였으며, 5월 말부터는 전장 $13.0\~15.0mm$의 개체들이 조간대 부근의 천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10월 무렵에는 평균 전장 141.7 mm에 달하였는데, 이후 12월부터는 천해역에서 자취를 감추고 이듬해 산란기까지 조하대로 이동하여 생활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집된 풀망둑의 최대 전장은 산란 직전인 4월에 채집된 것으로 수컷이 531mm, 암컷이 472mm 였다. 위내용물은 어린 개체들의 경우 요각류와 기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섭식하였고, 성체에 있어서는 게, 어류, 새우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등을 다양하게 섭식하였으며, 특히 새우류의 섭식량이 많았다.

  • PDF

萬頃江 河口 生態系의 構造와 璣能 - 漁類 群集의 動態에 관하여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stuarine Ecosystem of Manggyong River -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ies-)

  • Lee, Chung-Ly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267-283
    • /
    • 1990
  • The studies on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ies in Manggyong River estuary we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1989 to August 1990. The results, the fishes of 77 species belonging to 66 genera and 37 famil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in surveying areas were Thrissa koreana, Harengula zunasi, Synechogobius hasta and Konosirus. T. koreana was grown up to about 110mm of toatl length for a year, H. zunasi about 120mm, K. punctatus about 160mm and S. hasta about 220-460mm, respectively. The spowning season of S. hasta was from March to April, K. punctatus from April to June, H. zunasi from May to June and T. koreana from June to July, respectively. T. koreana and S. hasta belonged to to carnivorous, K. punctatus herbivorous and H. zunasi showed feeding habits of omnivorous fishes.

  • PDF

한국산(韓國産) 문절망둑 속(屬)과 풀망둑속(屬) 어류(魚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A Taxonomic Study of the Genera Acanthogobius and Synechogobius (Pisces :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5
    • /
    • 1992
  • 한국산(韓國産) 문절망둑속(屬) 어류(魚類)를 망둑어과(科) 어류(魚類)의 중요(重要) 분류형질(分類形質)인 계수(計數) 계측형질(計測形質),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 등(等)에 근거(根據)하여 Acanthogobius속(屬)과 Synechogobius속(屬)으로 구분(區分)하였다. 따라서 종내(從來)의 A. hasta는 S. hasta로 분류(分類)되어 Acanthogobius속(屬)에는 A. elongata, A, flavimanus, A. lactipes 및 A. luridus의 4종(種), Synechogobius속(屬)에는 S. hasta 1종(種)이 출현(出現)하고 있음이 확인(確認)되었고, 종내(從來)의 S. ommaturus는 S. hasta의 synonym으로 밝혀진 바 이들 2속(屬) 5종(種)에 대해 각각(各各) 외부형태(外部形態), 계수(計數) 계측형질(計測形質),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 및 산란기(産卵期)를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계수(計數) 및 계측형질(計測形質)에 있어서 S. hasta는 등 뒷지느러미의 기조수, 횡열린수(橫列鱗數), 척치골수(脊稚骨數), 제(第)1등지느러미 신경간극(神經間棘)의 배열식(排列式), 제(第)1혈관극(血管棘) 전방(前方)의 혈관간극수(血管間棘數), 늑골수(肋骨數), 그리고 미병장(尾柄長) 및 미병고(尾柄高)에서, 또 성장(成長)함에 따라 몸의 각(各) 부위별(部位別) 측정비률(測定比率)에 일정(一定)한 변화(變化)를 나타내고 있는 점(點)에서 Acantho-gobius속(屬) 어류(魚類) 4종(種)과 뚜렷이 구분(區分)되었다. 또한 A. elongata는 체측정비(體測定比), 두부(頭部) 측선감각관(側線感覺管) 등(等)에서, 그리고 A. flavimanus는 종열린수(縱列鱗數), 횡열린수(橫列鱗數), 등지느러미 기점(起點) 전방(前方) 비늘수(數), 척치골수(脊稚骨數), 늑골수(肋骨數) 등(等)에서 동일속(同一屬) 어류(魚類) 3종(種)과 차리(差異)를 나타냈으며, A. lactipes와 A. luridus는 서로 아주 비슷한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부(一部) 계수(計數) 및 계측형질(計測形質)에서 차리(差異)를 보여주었다.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에 있어서는 다중공기열(多重孔器列)을 가지고 있는 S. hasta가 모두 단일공기열(單一孔器列)로 구성(構成)되어 있는 Acanthogobius속(屬) 어류(魚類) 4종(種)과 현저(顯著)히 구분(區分)되었으며, A. elongata는 전안견갑관(前眼肩胛管) 개공(開孔) D가 없고, A. flavimanus는 협부(頰部)에 횡열공기(橫列孔器)를 가지고 있어 동일속(同一屬) 어류(魚類) 3종(種) 및 S. hasta와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생식소숙도지수(生殖巢熟度指數) 조사(調査)에 의한 산란기(産卵期)를 추정(推定)한 결과(結果) A elongata가 3월말(月末)~6월말(月末), A. flavimanus가 1월(月)~4월(月), A. lactipes가 5월(月)~9월(月), A. luridus가 5월초(月初)~7월초(月初), S. hasta가 3월초(月初)~5월초(月初)로 5종(種) 모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S. hasta는 산란기(産卵期)와 관연(關聯)되어 미병고(尾柄高)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우이군도의 하계 조간대 어류 (Intertidal Fishes of Wooi-Islands, Chollanam-do, Korea in Summer)

  • 최윤;김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3
    • /
    • 2000
  • 1998년 8월 14일부터 18일 까지 전라남도 신안군 우이군도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한국미기록 1종을 포함하여 모두 5목 15과 22속 25종이였다. 이 가운데 망둑어과 Gobiidae 어류가 6종, 청베도라치과 Blenniidae 어류가 3종이었고,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어종은 망둑어과의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였다. 한편 성촌(St. 2)에서 채집된 1개체는 Pomacentridae (자리돔과)의 자리돔속에 포함되는 Abudefduf bengalensis로 동정되었고, 이 종은 몸에 검은 가로줄무늬를 가진 특징으로 "흑줄돔"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62
    • /
    • 1969
  •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식성 조사와 먹이생물 상호간의 생물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선암, 가락, 성산, 하단의 4개 지점에서 총 1,295개체의 풀망둑을 월별로 채집하였다. 위 내용물은 3가지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으며, 이 방법은 수정된 Nilsson의 방법(Dahl 1962)을 다시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1) 위 내용물의 각 먹이종목별 수를 계산하여 한 계절동안 전체 풀망둑이 먹은 먹이생물의 총 개체수에 대해 Percentage를 낸 것을 Table 2에 "N"(Numerical)로 표시하였다. 2) 한 계절동안 채집한 풀망둑 수에 대한 각 먹이종목(Food Item)이 발생하는 풀망둑 수의 출혈빈도수를 Table 2에 "O"(Frequncy of Occurrence)로 표시하였다. 3) Predominant한 먹이종목을 선택하여 그것의 총 개체수에 대한 각 Predominant한 먹이수의 Percentage를 "D" (Dominance)로 표시하였다. 먹이생물은 50개의 먹이종목으로 되고 이것을 13가지의 Main Group로 나누고 (Fig. 2-1), 이것을 다시 먹이 생물을 제공하는 Habitat내의 Animal Community의 조건에 따라 Obligatory Bottom Animal, Organic Drift 와 Actively Swimming Form로 나누었다. 풀망둑의 식성은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먹이생물의 평균 $94.6\%$가 Obligatory Bottom Animal인 것으로 보아 풀망둑은 전형적인 Bottom Feeder였다. 그리고, 이들의 먹이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살고 있는 Habitat 내의 Benthic Fauna의 Local Composition에 의해 Dominant Food Organism이 결정되고, 계절별로 먹이생물들 사이에 생물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한 Seaeonal Rhythm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암 지역과 가락 지역은 동일한 먹이생물들 사이에 Habitat의 종적 구분에 의해 그 Population의 천이가 반대 현상으로 나타나는 Locality Variation을 보이며, 성산, 하단 지역은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와 하구성 생물상이 동일한 점으로, 동일한 조건의 Habitat로 생각된다. 이상의 것을 간추려 보면, 1) 풀망둑은 주로 저생동물을 먹이로 하며, 그 먹이생물은 Habitat 내의 Food Composition에 의해 결정된다. 2)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는 Population내의 생물학적인 변화의 상호 작용에 의해 Seasonal Rhythm을 나타낸다. 3) 풀망둑의 식성은 비편식성이고 먹이생물의 종류 변화가 많다. 4)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Ilyoplax deschampsi, Paratye compressa로 나타난다. 5) 성산, 가락, 선암의 Community내에서 먹이생물은 종적천이 (Longitudinal Succession) 현상이 나타난다 6) 풀망둑은 수은이 상승($20^{\circ}C$이상)하는 4월경부터 하구로 이동하고, 9월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Seasonal Movement를 하는 어류이다.

  • PDF

강화도 갯벌 천해의 건간망 어획 어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Fish Catch Using a Fence Net in the Shallow Tidal Flat off Ganghwado, Korea)

  • 황선완;김종관;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76-685
    • /
    • 2003
  •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ery resource in the shallow waters of Ganghwado tidal flat was investigated using monthly collected samples with a fence net from June 1998 to May 1999. Thirty-six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27 fish species, 6 crustaceans, and 3 molluscs. Of the fish, Konosirus punctatus, Sardinella zunasi Liza haematocheila and Synechogobius hasta dominated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92.1\%)$ and in biomass $(94.5\%).$ A few number of resident species, such as L. haematocheila and S. hasta, were collected only during the cold months.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in the spring, the adult migratory fish such as K. punctatus and S. zunasi, were collected. In the summer, the juvenile fish recruited in the shallow water showing a peak in fish abundance. The data suggested that they grew until late autumn before moving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was principally determined by water temperature and/or water temperature related facto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assemblage in the study area suggested that these species are highly adapted to extreme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and high water turbidity.

새만금 해역 조수 웅덩이의 어류 (Tide-pool Fishes from Saemangeum Waters)

  • 최윤;임환철;라혜강;양재삼;최강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2-147
    • /
    • 2005
  • 새만금 방조제 축조에 따른 조간대 어류 군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조수웅덩이가 잘 발달된 전북 군산시 내초도와 전북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를 기존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에서 종의 수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점은 종전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전북 군산시 내초도의 조간대에서는 종 수의 감소 외에도 우점종이 두줄망둑 T. trigonocephalus에서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로 바뀌었고, 특히 모래 바닥을 서식처로 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감소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부안군 해창의 조간대에는 감성돔의 유어들이 본 조사 기간에도 다량 출현하고 있었지만, 내초도 조간대의 경우 1994년과 2000년에 조수웅덩이에서 다량으로 채집되었던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와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유어들이 채집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내초도 조간대는 이들 어류의 성육장으로서의 기능이 갈수록 소실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전반적인 결과는 부안 해창에 비해 군산 내초도의 조간대가 펄에 의한 퇴적이 더욱 심하여 조간대 어류의 서식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