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ture fixa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18초

Unrecognized bony Bankart lesion accompanying a dislocated four-part proximal humerus fracture before surgery: a case report

  • Lee, Seungjin;Shin, Daehun;Hyun, Yoonsu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1호
    • /
    • pp.68-72
    • /
    • 2022
  • Proximal humerus fractures are the third most common fractures, totaling 4% to 5% of all fractures.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39-year-old man with a dislocated four-part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with a huge bony Bankart lesion. Preoperatively, the bony Bankart lesion of the glenoid was not visualized on computed tomography scans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because the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was comminuted, displaced, and complex. It was planned for only the humerus fracture to b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a locking plate. However, a fractured fragment remained under the scapula after reduction of the dislocated humeral head. This was mistaken for a dislocated bone fragment of the greater tuberosity and repositioning was attempted. After failure, visual confirmation showed that the bone fragment was a piece of the glenoid. After reduction and fixation of this glenoid part with suture anchors, we acquired a well-reduced fluoroscopic image. Given this case of complex proximal humerus fracture, a glenoid fracture such as a bony Bankart lesion should be considered preoperatively and intraoperatively in such cases.

견관절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의 자기 공명 영상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R Imaging Method for The Patient with Inserting Shoulder Joint Suture Anchor)

  • 박의철;배석환;류연철;박영준;김용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3-519
    • /
    • 2021
  •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수술 환자들의 예후를 확인하기 위하여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이용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한다. 봉합나사못을 삽입한 경우에는 임상적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방소거법을 이용한 영상촬영 기법이 이용되는데, 이때 이용되는 지방 신호 억제 기법으로 CHESS(Chemical Shift Selective), STIR(Short Tau Inversion Recovery), Dixon 기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봉합나사못은 비자성 재료를 이용해서 제작되지만, 환부에 삽입되는 티타늄 재질의 금속물질은 비자성체임에도 불구하고 국소자장을 왜곡시켜 결과 영상의 기하학적인 왜곡은 물론 심각한 영상신호의 감소 현상을 발생시킨다. 봉합나사못을 삽입하여 환부를 관찰하는 경우에는 뼈 혹은 뼈 인접 부위의 영상을 획득하여야 하는데 뼈와 주변 조직의 임상적 관찰을 위해서는 뼈의 지방 신호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때 이용되는 지방 신호 억제 기법은 금속 삽입물로 인한 자기장 불균일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지방억제 영상기법(CHESS, STIR, Dixon)을 이용하여 금속물질을 삽입한 환자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봉합나사못을 삽입한 환자의 병변 관찰 및 수술 후 예후를 관찰하기 위한 영상기법으로 STIR 영상기법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속 물질을 인체에 삽입한 환자의 경우, 지방 신호 억제가 필요한 MRI 검사에서는 STIR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임상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edoable Tie-Over Dressing Using Multiple Loop Silk Threads

  • Jo, Hyeon Jong;Kim, Jun Sik;Kim, Nam Gyun;Lee, Kyung Suk;Choi, Jae Ho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59-262
    • /
    • 2013
  • After skin grafting, to prevent hematoma or seroma collection at the graft site, a tie-over dressing has been commonly used. 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tie-over dressing by suture is a useful method for securing a graft site, refixation is difficult when repeated tie-over dressing is needed. Therefore, we recommend a redoable tie-over dressing technique with multiple loops threads and connecting silk threads. After the raw surface of each of our cases was covered with a skin graft, multiple loop silk thread attached with nylon at the skin graft margin. We applied the ointment gauze and wet cotton/fluffy gauze over the skin graft, then fixed the dressing by connecting cross-counter multiple loop thread with connecting silk threads. When we opened the tie-over dressing by cutting the connecting silk threads, we repeated the tie-over dressing with the same method. The skin graft was taken successfully without hematoma or seroma collection or any other complications. In conclusion, we report a novel tie-over dressing enabling simple fixation of the dressing to maintain proper tension for wounds that require repetitive fixation. Further, with this reliable method, the skin grafts were well taken.

범안면골 골절의 최근 경향 및 수술개념 (Recent trend and surgical management for panfacial fracture)

  • 김진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0호
    • /
    • pp.811-819
    • /
    • 2016
  • 범안면골 골절은 안면부 손상 그 자체로도 치료가 까다롭고 어렵지만, 동반된 다른 신체 중요 장기의 손상 등과 함께 치료 후 에도 남을 수 있는 안면의 심미적, 기능적 문제들 때문에 더욱 치료가 힘들어 질 수 있다. 뇌손상 등의 중요 장기 손상으로 인해 수술이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되지 못할 때에는 관련 의학분과와의 긴밀한 협진 하에 수술 전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연조직을 포함한 골절편 등 안면 구조물들이 손상되지 않고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응급 처치가 되어야 한다. 3D CT 등의 영상진단을 통해 안면골 골절을 치료하기 위한 전체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 계획에는 수술을 위한 기도확보 방법, 골절의 정복 고정 순서, 접근 방법, 안구, 코 등의 재건 방법 그리고 연조직에 손상에 대한 처치가 포함된다. 수술 시에는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되도록 정확한 정복과 고정이 가능한 안면구조물에서 부터 시작하여 교합을 형성하고, 안면골의 유기적인 관계에 유의하여 삼차원적인 구조를 재위치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조직 봉합 시에는 얼굴 피부의 처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골막, 근막 및 중요 안면 인대들을 고려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 PDF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경골 과간 융기 골절의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 (Arthroscopic Pull-out Wire Fixation Using Cannulated Screw of Tibial Eminence Fractures)

  • 김종민;김형규;박병문;송경섭;정성훈;노행기;윤종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4-258
    • /
    • 2009
  • 경골 과간 융기부 골절은 슬관절의 뒤틀림, 과도한 굴곡 및 신전, 내반 및 외반 손상으로 인한 견열 골절의 형태로 발생을 하며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슬관절의 불안정성과 관절 운동 제한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과 다양한 고정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저자들은 이 중 견인 봉합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터널을 만들어 기존에 시행되어지던 술기에 비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내고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수술방법의 소개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and Biceps Long Head Tendon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 Sohn, Hoon-Sang;Baek, Duck In;Shon, Min 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3호
    • /
    • pp.127-133
    • /
    • 2014
  • Heterotopic ossification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is a rare lesion which remains a poorly described condition with little known of the exact mechanisms involved. Furthermore, its clinical importance remains still unclear.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studies present to data regarding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even with resultant isolated complete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Here we present a case of huge HO associated with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concomitant with tear of biceps long head tendon. After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the complete tear site of biceps long head tendon, mini-open excision of the ossification and subscapularis repair with suture anchor fixation were performed. The patient showed complete recovery of strength and function of the subscapularis at subsequent 24 months follow up.

Bucket Handle양상의 관절와 골절 - 증례보고- (Bucket Handle Type Fracture of the Glenoid)

  • 신상진;김성재;강호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80-84
    • /
    • 2003
  • We report a patient with an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with uncommon bucket handle type fracture of the anterior glenoid fossa with intact glenoid labrum. The fracture fragment was displaced into the posterior aspect of the glenohumeral joint resulting in prevention of reduction of the shoulder. Excellent fixation was obtained with suture anchors and bioabsorbable interfragmentary screws. This allowed stable range of motion exercises, optimizing the patient's functional outcome.

The Vestibuloplasty Using Non-eugenol-based Non-zinc Oxide Oral Dressing Material

  • Ku, Jeong-Kui;Leem, Dae H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46-50
    • /
    • 2021
  • This study describes a patient with insufficient vestibular depth who was operated with a vestibuloplasty using a non-eugenol-based non-zinc oxide oral dressing material. Partial thickness flap was elevated on recipient. After stabilization of apical positioned flap, the dressing material was applied on the recipient site with additional fixation by suture. The patient presented minimal discomfort such as in pain, food impaction and management of oral hygiene. Adequate vestibular depth without relapse was observed until 4 weeks after surgery. The vestibuloplasty with the oral dressing material may be an option for obtaining proper vestibular depth without complications.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One Anchor Double Fixation (OADF) Technique for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배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10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 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Comparative Study of Spiral Oblique Retina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Techniques Using Either a Lateral Band or a Tendon Graft

  • Oh, Jae Yun;Kim, Jin Soo;Lee, Dong Chul;Yang, Jae Won;Ki, Sae Hwi;Jeon, Byung Joon;Roh, Si Yo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773-778
    • /
    • 2013
  • Background In the management of mallet deformities, oblique retinacular ligament (ORL) reconstruc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automatic distal interphalangeal (DIP) joint extension upon activ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extension. The two variants of ORL reconstruction utilize either the lateral band or a free tendon graf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se two surgical techniques and to assess any differences in functional outcome. As a secondary measure, the Mitek bone anchor and pull-in suture methods are compared. Methods A single-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of OR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The standard patient demographics, injury mechanism, type of ORL reconstruction, and pre/postoperative degree of extension lag were collected for the 27 cases identified. The cases were divided into lateral band (group A, n=15) and free tendon graft groups (group B, n=12). Group B was subdivided into the pull-in suture technique (B-I) and the Mitek bone anchor method (B-II). Results Overall, ORL reconstructions had improved the mean DIP extension lag by $10^{\circ}$ (P=0.027). Neither the reconstructive technique choice nor bone fixation method identified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functional outcome (P=0.51 and P=0.83, respectively). Soft-tissue injury was associated with $30.8^{\circ}$ of improvement in the extension lag.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were tendon adhesion and rupture. Conclusions The choice of the ORL reconstructive technique or the bone anchor method did not influence the primary functional outcome of extension lag in this study. Both lateral band and free tendon graft ORL reconstructions are valid treatment method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mallet deform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