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Environment

검색결과 2,531건 처리시간 0.029초

Solution to promote the Circular Economy in Agriculture in Vietn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Thi Huyen Tran;Hoang Tuan Nguyen;Quoc Cuong Nguye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276-283
    • /
    • 2024
  • Currently, the overall tendency for green an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s creating a circular economy. In actuality, agricultural output is currently benefiting greatly from the growth of the circular economy. The creation of a circular economy helps address resource scarcity, save the environment, combat climate change, and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Vietnam's economy can grow quickly and sustainably by shifting to a circular economy production model. Comparing prior growth techniques to the digital age and implementing circular economic development connected with high technology will be a fantastic opportunity to boost growth efficiency. In actuality, Vietnam currently has a large number of agricultural circular economy models. These are models: Creating and using gas from waste and wastewater in livestock and farming; model combining cultivation, livestock, and aquaculture; agro-forestry model; garden-forest model; Circular model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s a catalyst or creating other valuable products; model of moderation, linked to reducing the use of growth hormones, veterinary medications, pesticides, and artificial fertilizers in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nd applications of the aforementioned models, which has made it difficult to build the agricultural sector sustainably. In this paper, we outl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ose solutions to develop a circular economy model in agriculture in Vietn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ptimizing Business Opportunities: The Evolving Landscape of Smart Cities in South Korea

  • Yooncheong CHO;Jooyeol MAENG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growth and success of smart cit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key elements that are crucial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s of technology-driven applications, corporate involvement, the role of experts, citizen co-creation, city-led strategy governance, and sustainable urban practices on overall attitudes towards smart citie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overall attitude on the growth trajectory of the smart cities and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collect data, this study employed an online survey conducted by a reputable research organization.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unveiled significant impacts of technology-driven applications, corporate involvement, the role of experts, citizen co-creation, city-led strategy governance, and sustainable urban practices on the overall attitudes. Furthermore, it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growth trajectory of smart c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key driving factors for smart city development, suggesting that the consideration of sustainable urban practices emerges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growth of the smart cities.

고층 주거건물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발생패턴 및 발생 유발 요인 분석 (Patterns and Factors Causing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in High-Rise Housing Projects in Korea : A Case Study)

  • 차희성;신동우;김지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2006
  • 국내외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산업 차원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건축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친환경적인 건축생산시스템의 일환으로 건설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재활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면 친환경적인 건설생산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효과적인 폐기물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써 20층 이상 고층 공동주택단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발생시점부터 처리시점까지의 폐기물 발생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공단계에서 건설폐기물 발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해 폐기물 발생패턴으로서 폐기물 종류, 발생량, 발생위치, 관리주체, 발생원인, 재활용폐기물, 집적형태, 반출방식을 조사하였고, 이들 항목 중 폐기물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폐기물 발생 유발요인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지숙;김기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9-186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독서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환경요인, 학생 개인 특성 및 흥미, 그리고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환경개선과 긍정적인 독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흥미 중심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독서교육방법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적 독서태도 강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건축물에서의 친환경개념에 대한 건축공학전공 대학생의 태도 (The Attitude of Construction Students toward Sustainabi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 안용한;권혁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70-77
    • /
    • 2008
  • 이 연구는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대학생의 친숙함과 흥미의 정도, 태도, 그리고 친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저자들에 의해 개발된 설문 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공대의 건축공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술/상관 연구이다.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은 대체로 친환경 건축에 대한 높은 친밀감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의 태도는 친환경 건축 수업, 친환경 관련 수업과 연구를 담당하는 교수진, 친환경적인 학생들의 학습환경 또는 시설들, 그리고 친환경 건설 관련 학교 행사와 실천과 같은 요인들에 기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학생들의 태도는 특히, 건축공학 프로그램에서 친환경 건축관련 수업을 제공함으로 향상될 수 있다.

베트남의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과 그 성과 (Sustainable Coffee Program and its Achievement in Vietnam)

  • 이상율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3-359
    • /
    • 2016
  • 최근 베트남에서 생산된 커피의 농가 단위에서 커피 가격은 상당히 불안정하다. 커피 재배 면적의 증가와 세계 시장에서 가격 변동에 따른 커피 가격의 등락은 실질적인 농가 소득의 감소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인증 커피의 선호로 커피 관련 기업에 의한 보다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은 베트남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큰 흐름이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커피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베트남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인증체제의 도입으로 시작되었고, 보다 본격적인 확대는 정부 및 민간의 협력체제에 의해서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Sustainable Coffee Program)'의 실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은 닥락 성에서 그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리고 그 프로그램 시행의 결과와 그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이 커피 생산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기여하였는지를 파악한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에 참여 농가와 비 참여 농가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닥락 성에서 전개된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의 실체적인 측면을 이해하고자한다.

  • PDF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 교육 과정 파트너쉽, 지속가능한 대학 경영을 중심으로 -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Universities - Focused on Curriculum, Partnership, and Sustainable University Management -)

  • 이선경;주형선;김남수;김찬국;장미정;권혜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1호
    • /
    • pp.88-10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of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universities since UN DESD was launched in 2005,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m.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nd case studies on members of university communities which were engaged in green campus activities or interested in SD and ESD.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showed that most of those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well aware of SD, but had comparatively low understanding of ESD.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since 2005 they had newly opened courses on SD or ESD, or added contents on SD or ESD to existing ones. Ratio of network participation among ESD-related universities was over 30%, and they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partnership ratio with NGOs. Not many universities had policies for sustainable school management, and 'green space conservation and ecosystem protection' and 'energy and resource saving campaign and monitoring' were most common sustainable environment protection activities. Through case studies on eight universities, it was discovered that ESD programs in universities took various forms such as whole-university approaches, participatory courses and club activitie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to find out good examples of ESD in Korean universities and share the results with university leaders, professors and staff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SD.

  • PDF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Area in Green Belt -Focused on City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act City Method)

  • 정재용;오민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17-5930
    • /
    • 2011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개발제한구역내 도시들의 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들은 컴팩트시티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기준으로 삼고, 세부적인 도시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시티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개발계획을 도시공간, 도시환경, 도시커뮤니티, 도시관리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적용가능한 요소를 산정하고 컴팩트시티와의 관련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과천, 의왕, 하남의 개발제한구역 내 다수의 개발계획들을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점과 한계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를 고려하여, 앞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정책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한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 (Developing Inclusiv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in Elementary Schools)

  • 김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8
    • /
    • 2023
  • 우리나라 식생활교육은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되면서 건강, 환경, 배려를 핵심 가치로 삼아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제3차 식생활교육 기본 계획(2020년-2024년)에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함께 하는 농업, 건강한 국민, 포용하는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문명은 학교 식생활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직면한 식생활교육 현상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하여 포용적 식생활교육 구조와 내용 체계의 구체성을 통해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포용적 식생활교육을 위해서는 인지적 학습, 정의적 학습, 실천적 학습이 포용적 방식으로 융합될 수 있는 구조와 체계가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는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에서 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대학생과 교사들의 인식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선경;이재영;이순철;이유진;민경석;심숙경;김남수;하경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awareness of SD and ESD among 317 college students and 625 teachers in Korea from April to May of 2005.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whether they heard about terms such as sustainability 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S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the urgent task for SD in Korea. It also included questions about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or conducting ESD, the need for ESD, important areas in and the modality for ESD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S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n SD among teachers was low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access on SD issues through textbooks and classes in high school. Interestingly, most of college students replied that they never received any ESD, even though they learned SD in class.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group thought that tile prior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an 'environment-related' area in the social,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considered the concept of SD as 'pursuing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Some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aradigm of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urgent task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reduction of poverty.' On the other hand, they had experiences in teaching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gender equity, health, human rights, climate changes and other SD issues in class, but not under the name of ESD. They also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 decision-making' in education.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needed to carry out ESD, and that the way of life for SD would be the priorit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edagogy and modalities according to various target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providing ESD. It is necessary to use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ESD rather than just introducing the concept of SD. Also, it is needed to review the ESD practices of teach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in the scope of ES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