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ceptibility testing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유전자형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Genes in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 정경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33
    • /
    • 2006
  • Recently, the rapid increase in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is study, the epidemiologic features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SBL among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genotype of the ESBL and patterns of chromosomal DNA from PFGE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were observed. A total of 53 ESBL-producing clinical isolates (30 of E. coli and 23 of Klebsiella pneumoniae) were collec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period of June to July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The antibiotic resistance frequency of those 53 strains was test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with the result that all the strains were resistant to cephalothin. To other antibiotics, the resistance rates of E. coli (30 isolates) were in order of ceftazidime (90.0%), cefotaxime and aztreonam (respectively 83.3%). Also, the resistance rates of K. pneumoniae (23 isolates) were in order of aztreonam (78.3%), ceftazidime (73.9%) and cefotaxime (65.3%). Also the sensitivity of ceftazidime-clavulanic acid were 100% in E. coli and 95.7% in K. pneumoniae. And the sensitivity of cefotaxime-clavulanic acid was 96.7% in E. coli and 91.3% in K. pneumoniae. The types of the ESBL genes were determined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ong the 30 isolates of ESBL-producing E. coli, 6 (20.0%) have SHV only, 5 (16.7%) have TEM only and, 18 (60.0%) have both of TEM and SHV. Among the 23 isolates of ESBL-producing K. pneumoniae, 7 (30.4%) have SHV only, 2 (8.7%) have TEM only, and 14 (60.9%) have both of TEM and SHV. These results show that 52 strains, with only one exception, were confirmed as either TEM or SHV. The patterns of Xba I-digested chromosomal DNA of ESBL-producing E. coli and K. pneumoniae isolates were analyzed by PFGE. PFGE patterns of E. coli and K. pneumoniae were multiclonal, but many strains were grouped into a few types.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were clonal outbreaks or possible horizontal spread. In conclusion, the TEM and SHV ${\beta}$-lactamase are most widely spread in E. coli and K. pneumoniae in Korea. As these types are usually carried by plasmids, the spread of these ${\beta}$-lactamase genes could compromise the future usefulness of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E. coli and K. pneumoniae.

  • PDF

주요 임상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 against Major Clinical Resistant Microorganisms)

  • 홍승복;이천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0-146
    • /
    • 2015
  • 다제내성균의 증가는 사용할 항생제가 적거나 심지어 선택할 항생제가 없기 때문에 감염환자의 치료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천연 추출물이 내성세균에서 항균효과 및 상승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많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전통적 약초이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의 주요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고, 이들의 적절한 항균효과 측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가장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내성균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VRE), carbe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CRAB) 각각 10 균주를 선택하여, CLSI 기준으로 디스크 확산법 및 미량액체배지희석법으로 감수성 시험을 하였다. CLSI 기준으로 시행한 디스크 확산법에서 $4,096{\mu}g/mL$에서 $30,000{\mu}g/mL$ 까지의 농도에서 모든 균의 억제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는 MRSA, VRE, CRAB의 $MIC_{90}$이 각각 $4,096{\mu}g/mL$, $8,192{\mu}g/mL$, $4,096{\mu}g/mL$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성초는 MRSA, VRE, CRAB 등 주요 임상 내성균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이며 천연물의 항균효과를 평가에 디스크 확산법보다 액체배지 희석법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효과를 측정하려면 천연물에 대한 균 접종 농도의 변경 등 새로운 기준이 요구된다.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내성인자 분포조사 (Study on the Methicillin-resistant Gen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and Cats)

  • Pak, Son-I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2-307
    • /
    • 2003
  • 인의학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균주는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소동물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8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136개의 포도상구균 분리주 (coagulase 양성 87주, coagulase 음성 49주)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이들 분리주에서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인 mecA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136개 분리주중 43주 (31.6%)가 me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고, 유전자의 분포율은 균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43주의 mecA 양성균주 중 31주 (72.1%)가 oxacillin 내성을 보여 mecA 양성균주가 반드시 oxacillin 내성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mecA 양성균주일수록 oxacillin 내성율이 높았는데 S. intermedius의 71.4% (p<0.001), coagulase 음성균주의 경우 72.4%가 내성을 보였다 (p<0.001). 분리주의 94주(6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특히 31주(22.8%)는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보였다. Penicillin 항생제에 내성율이 71.7%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국내 소동물에서 mcA 양성균주가 존재하며, 이러한 균에 의해 유도된 감염증을 치료할 때 다제내성의 특성 때문에 항생제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rst Detection of $bla_{IMP-1}$ in Clinical Isolate Multi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Korea

  • Jeong Seok-Hoon;Bae Il-Kwon;Sohn Seung-Ghyu;Park Kwang-Ok;An Young-Jun;Sung Kwang-Hoon;Jang Seon-Ju;Heo Myong-Jin;Yang Ki-Suk;Lee Sa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9호
    • /
    • pp.1377-1383
    • /
    • 2006
  • Among 46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collected in 2004, two imipenem-resistant isolates were obtained from clinical specimens taken from patients hospitalized in Busan, Republic of Korea. Two carbapenemase-producing isolates were further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resistance. These isolates were analyzed by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microbiological tests of carbapenemase activity, determination of pI, transconjugation test, enterobacterial repetitive consensus (ERIC)-PCR, and DNA sequencing. Two cases of infection by A. baumannii producing the IMP-1 ${\beta}$-lactamase were detected.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a modified cloverleaf synergy test and EDTA-disk synergy test. Isoelectric focusing of crude bacterial extracts revealed nitrocefin-positive bands with a pI value of 9.0. PCR ampl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mplicons by direct sequencing indicated that the isolates carried a $bla_{IMP-l}$ determinant.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a multidrug resistance phenotype, including penicillins,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carbapenems, and aminoglycos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bserved imipenem resistance of two Korean A. baumannii isolates was due to the spread of an IMP-1-producing clone. Our microbiological test of carbapenemase activity is simple to screen class B metallo-${\beta}$-lactamase-producing clinical isolates to determine their clinical impact and to prevent further spread. This study shows that the $bla_{IMP-l}$ resistance determinant, which is emerging in Korea, may become an emerging therapeutic problem, since clinicians are advised not to use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imipenem, and aminoglycosides. This observ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ving effective control measures in Asian hospitals, such as early detection of colonized patients, isolation procedures, and a judicious use of antibiotics.

김치 분리균인 Bacillus sp. JK-43이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nm Bacillus sp. JK-43 Isolated from Kimchi)

  • 전홍기;배경미;김영희;백형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8
    • /
    • 2000
  • 김치 시료로부터 자동산화되지 않으며 열 및 중성 pH에서 안정한 AA 유도체인 AA-2G를 생산할 수 있는 당전이활성을 가진 CGTase 생산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성질 및 16s-rDNA sequences를 조사한 결과 그람 양서의 간균으로 호기성이며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중온성 Bacillus sp. JK-43으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JK-43의 CGTase는 AA-2G 뿐만 아니라 AA-6G로 추정되는 물질을 함께 생산하였으며, 효소 최적생산조건은 1.0% soluble starch, 1.0% yeast extract, 1.0% $Na_2CO_3\;0.1%\;K_2HPO_4,\;그리고\;0.02%\;MgSO_4{\cdot}7H_2O$가 함유된 배지에서 pH 7.0, $37^{\circ}C$에서 26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을 때였다. 각종 당공여채에 따른 Bacillus sp. JK-43의 AA-2G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beta}-CD$에서 가장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으며, 식혜제도페액인 엿기름 및 밥당화액에서도 비교적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다. 또한 여러 가지 당수용체에 대한 JK-43의 CGTase의 당전이 반응을 검토한 결과 sucrose, mannitol 및 inositol에서 높은 당전이 수율인 70~90%를 나타내었다.

  • PDF

ATP-CRA 방법을 이용한 위암조직의 항암제 감수성 검사결과 (The Results of the ATP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 in Gastric Cancer Tissues)

  • 이제형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60-166
    • /
    • 2007
  • 목적: 진행성위암의 경우 근치적 수술 후 보조항암요법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기초로 한 항암요법은 최소한 환자들에게 효과가 없는 약제 투여를 막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항암요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유효약제 선정을 위하여 항암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항암제 선택에 이용하고자 임상병리학적 요인에 따른 항암제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병원 외과에서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 81명의 위암절제조직을 이용하여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은 ATP (Adenosine Triphosphate)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였다. 항암제 감수성과 임상병리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 종양표지자(CEA 치, CA19-9 치), 암의 위치, 진행암 형태, 조직학적 형태, 분화 유무, 침윤도, Lauren 분류, Ming 분류, 림프관 침윤 유무, 맥관 침윤 유무, 신경 침윤 유무, 림프절 전이 유무, 병리학적 병기를 선정 비교하였다. 결과: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항암제 감수성 순위를 보면 5-FU, Epirubicin, Irinotecan, Oxaliplatin 순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P=0.000). 성별, 연령, 종양표지자(CEA 치, CA19-9치), 암의 위치, 진행암 형태, 조직학적 형태, 분화 유무, 침윤도, Lauren 분류, Ming 분류, 림프관 침윤 유무, 맥관 침윤 유무, 신경 침윤 유무, 림프절 전이 유무, 병리학적 병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수성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위암절제조직에서 시행한 항암제 감수성 순위는 5-FU, Epirubicin, Irinotecan, Oxaliplatin의 순이었으며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절제조직을 이용 항암제 감수성검사를 시행한 결과 약제별 임상병리학적 인자에 따라 감수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획일적인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는 것보다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통하여 감수성 높은 약제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환자(患者)에서 분리한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에 대한 CLSI방법(方法)과 MicroScan MICroSTREP plus panel의 항균제(抗菌劑) 감수성(感受性) 검사(檢査)의 유용성(有用性) 고찰(考察) (Availability of CLSI method and MicroScan MICroSTREP plus panel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α-hemolytic streptococci Isolated from Patients)

  • 김상하;김상하;김영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51-49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전통적 항균제 감수성 검사방법인 CLSI(C 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디스크 확산법과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 해 MIC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새롭게 고안된 E-test 방법과 최근 도입된 미량 액체 배지 희석법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자동화 장비인 MicroScan MICroSTR EP plus panel를 이용한 MIC 측정방법들의 일치도를 비교하여 MicroScan MICroS TREP plus panel 검사방법의 유용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균주는 2009년 2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 대전의 한 대학병원 임상환자에서 분리된 폐렴사슬알균 53균주와 알파용혈 사슬알균 51균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항 균제는 cefotaxime,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levofloxacin, penicillin, tetracycli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vancomycin 등 9가지 항균제를 평가 대상으로 하였다. 폐렴사슬알균 뿐만 아니라 알파용혈 사슬균에 대해서도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알파용혈 사슬균에 대해 높은 일치율이 관찰되어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신속 정확한 최소발율 억제농도를 측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연령, BMI, 질병노출로 인한 탈수 위험 (Dehydration Risk from Age, BMI, and Disease Exposure)

  • 김선희;천성수;최명섭;윤미은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35-49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건강검진 수검자의 신체측정과 혈액검사를 통해 탈수 위험요인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분석을 위해 Sodium ($Na^+$), BUN (Blood Urea Nitrogen) 및 FBS (Fasting Blood Sugar)의 데이터가 유효한 5,391개의 샘플을 선택하여 혈장삼투압 탈수지표를 계산하였다. 조사 데이터는 2014.01.01과 2015.12.31사이에 삼육서울의료원 종합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검진 수검자로부터 수집되었다. 탈수와 연령, 체질량지수(BMI), 질병노출(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신장장애)의 관계를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탈수 교차비는 남성과 여성 모두 50대 이상 연령부터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비만여성은 탈수에 취약했으나 남성은 BMI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질병에 노출된 그룹(고혈압, 당뇨병, 이상 지질 혈증, 신장 장애)은 탈수에 취약하였다. 또한 질병노출 수가 많을수록 교차비가 높아 탈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화, BMI증가, 질병노출은 탈수에 취약하게 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50세 이후 연령대는 탈수예방을 위해 BMI와 만성질환 조절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발생에 잠재적인 자극 메커니즘으로 혈장 삼투압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탈수 위험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를 제안한다.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의 병독성 인자 검출 (Molecular Detection of Virulence Factors in Carba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a Tertiary Hospital in Daejeon)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01-308
    • /
    • 2019
  • 다제내성 P. aeruginosa의 출현과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P. aeruginosa에 의한 발병은 일부 몇몇 세포 관련 및 세포외 병독성 인자의 생성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를 대상으로 병독성 인자의 분포와 항균제 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고, 병독성 유전자의 분석을 위해 PCR과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제내성 P. aeruginosa의 sequence type (ST)은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통해 확인하였다. 32균주의 carbapenem 내성 P. aeruginosa 중, 14균주(43.8%)가 다제내성이었으며, 주요 ST는 ST235 (10균주, 71.4.%)임을 확인하였다. 병독성 유전자는 32균주 모두에서 확인되었고, 이 중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된 병독성 유전자는 toxA, plcN, phzM (100.%)이었다. 또한, 32균주는 모두 8개 이상의 병독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9균주(28.1%)가 15개의 병독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exoU 유전자는 다제내성 P. aeruginosa 균주의 71.4%에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xoU 유전자가 다제내성 P. aeruginosa 균주의 지속성에 대한 예측 표지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임계 대마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효능과 경피흡수증진 효과 (Cosmetic Efficacy of Supercritical Cannabis sativa Seed Extracts and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 이광원;박신성;박수인;신문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683-6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조건 별로 밀도요동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대마종자 추출물의 수율 측정과 생리활성능을 평가하고, 리포좀 제형으로 난용성 추출물의 용해를 가능하게 하여 경피투과도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수율 측정 결과, 60℃로 추출한 대마종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 실험에서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결과, 최고농도에서 45℃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radical 소거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항균실험 결과, P ropionibacteium acnes 균주에서만 clear zone이 나타났다. 추출물을 3차 정제수에 용해시킨 제형보다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제형에서 particle size의 감소와 zeta potential의 절댓값 증가를 확인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경피투과도의 증진 또한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난용성인 초임계 대마종자 추출물을 화장품의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