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tant-free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1초

산업 재해의 안전관리를 위한 열경화에 의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영향 (Effects of Polyurethane Coatings on 304 Stainless Steel Formed by Thermoset for Safety Management of Industrial Disaster)

  • 김기준;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7-322
    • /
    • 2012
  • 미세 조직은 SEM, FT-IR 스펙트라, 인장특성, 그리고 [NCO]/[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NATM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같은 금속코팅에 더욱더 중요한 열경화 무용제 수지를 합성 하였다. 이 수지는 일반적 도료와 비교하여 매우 강도가 강하고 내구성이 매우 좋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IPDI,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충전제로 구성된다.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가교제가 첨가된 수지가 가교제가 첨가되지 않은 수지보다 물성이 우수함을 나타냈다. 견고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기계적 특성은 [NCO]/[OH]와 가교제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합성한 도료의 물성 향상은 스테인레스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폴리우레탄 고분자 수지가 강구조물의 보수보강에 많은 응용이 기대된다.

산화 그래핀과 나노 흑연이 폴리스티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및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aphene Oxide and Graphite Nanoplatelets on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 Nanocomposites)

  • 염효열;나효열;이성재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502-509
    • /
    • 2014
  • 탄소기반 판상형 나노재료인 산화 그래핀(GO)과 나노 흑연(GNP)은 고분자재료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복합재료용 나노필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스티렌(PS)에 나노필러를 첨가한 PS/GO와 PS/GNP 나노복합재료를 라텍스 기법으로 제조한 다음 유변학적, 전기적 물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PS 입자는 무유화제 유화중합으로 중합하였으며, GO는 흑연으로부터 modified Hummers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친수성인 GO는 첨가제 없이 PS 수성 현탁액에 분산하였으며, GNP는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분산하였다. 나노필러에 따른 유변물성은 GO가 GNP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GO는 단일층으로 분산이 가능한 반면, GNP는 다수의 층이 겹쳐진 형태이므로 나노 규모의 균질한 분산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도성 통로가 형성되는 지점인 전기적 임계점은 PS/GO, PS/GNP 나노복합재료에 대하여 각각 0.50, 5.82 wt%로 나타났다. PS/GO 나노복합재료가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보여주는 이유는 성형 시 열처리에 의해 GO가 환원되기 때문이다.

수용액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의 영향 (The Effects of $Ca^{2+}$on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Aqueous Solution)

  • 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21-626
    • /
    • 1992
  • 수용액 중에서 요오드와 $4-(C_9H_{19})C_6H4_O(CH_2CH_2O)_{40} [NP-(EO)_40]$간의 charge transfer(CT)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이온의 영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 흡수는 390 nm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Ca^{2+}$ 이온 존재하에서는 370 nm 영역으로 이동되었다. 계면활성제 농도를 CMC 이상에서 고정시켰을 때,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흡수곡선의 강도가 $Ca^{2+}$이온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변곡점을 보였다. CT 상호작용에 기인한 흡수곡선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다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선형 oxyethylen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무기물 나노 구조체 합성 (Use of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s as Templates for Synthesis of Nanostructured Inorganic Materials)

  • 김현지;김나혜;김주영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1호
    • /
    • pp.6-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양친성 반응성 고분자 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한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이하 CCAP)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CCAP 나노입자를 $TiO_2$ 나노입자 제조의 템플레이트로 응용하였다. 먼저 CCAP 나노입자 수용액과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를 혼합하여, 매우 안정한 유/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솔(Sol)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솔(Sol)은 회전코팅(Spin coating) 기법을 통해 유/무기 하이브리드 박막으로 제조하고, 소결 공정을 통해서 템플레이트인 CCAP를 제거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서 관찰하였다. 다양한 CCAP 나노입자를 템플레이트로 사용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를 기존 유기물 템플레이트(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와 비교하여, CCAP 나노입자가 $TiO_2$ 나노입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노 기공성 단열 실리카 모노리스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porous monolith with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 최현묵;김성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9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졸-겔, 용매치환, 표면개질, 상압건조 공정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템플레이팅(templating) 공법 및 소결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모노리스와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를 각각 합성하였다. 제조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는 균열이 없이 비교적 투명하였으며, 매우 높은 기공율(92-94%) 및 비표면적($800-840m^2/g$)과 수 십 nm 수준의 기공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면개질을 적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샘플이 스피링백 효과로 인하여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에 비해 더욱 미세하고 균질한 나노 기공 구조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그 단열 성능도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합성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를 중간층으로 적용한 복층 창유리의 단열 성능을 측정된 모노리스의 열전도도와 이론식을 근거로 조사한 결과, 기존의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공기층 삽입 복층 창유리에 비해 우수한 단열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a^{2+}$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와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the Presence of $Ca^{2+}$)

  • 박정순;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6-42
    • /
    • 1993
  • $Ca^{2+}$ 이온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ylphenol-(ethylene oxide)_n\;[NP-(EO)_n; n = 11, 40, 100]$와 요오드간의 charge transfer (CT) 상호작용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중에서 조사하였다. Spectra의 특성은 $Ca^{2+}$ 이온 농도와 EO 갯수에 의존하였다. CMC 이상에서 $NP-(EO)_{11}$$NP-(EO)_{40}$에 대한 $Ca^{2+}$이온 첨가에 따른 CT band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NP-(EO)_{100}$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CT band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태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잇는 선형 ethylene oxid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의 영향 (The Effect of $Ca^{2+}$ on the Interaction of Anionic-Nonionic Surfactant Mixture with Iodine)

  • 권오윤;김정성;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55-860
    • /
    • 1993
  • SDS(sodium dodecyl sulfate) 존재하에서 NP-40EO[nonylphenol-(ethylene oxide)40]와 요오드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Ca^{2+}$의 영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서 조사하였다. SDS 부재시보다 상호작용 피크의 흡광도는 줄어들었으며, CMC 이상에서 $Ca^{2+}$ 첨가에 따른 상호작용 피크의 강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상호작용 피크의 감소는 SDS 삽입에 따른 혼합미셀 단위 표면적당 요오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EO 수의 감소에 기인하며, 상호작용 피크 강도의 증가는 $Ca^{2+}$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전자주게-받게 겹침 증가로 불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배향을 갖는 선형 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Phenoxide Anion into Aqueous Micellar Systems of Cationic Surfactants)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3-390
    • /
    • 1998
  • 몇 가지 양이온 계면활성제(DTAB, TTAB, CTAB, CDEAB 및 CTAC)의 마이셀과 Phenoxide 음이온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UV/Vis분광광도법을 이용하였다. Phenoxide 음이온의 용액에 양이온 게면활성제를 녹였을 때 일어나는 흡광도의 변화로부터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상수($K_s$)와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임계마이셀농도(CMC)값을 함께 측정하였다. 각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상수값($K_s$)은 다음의 순서로 변하였다: $K_s(CTAC)>K_s(CDEAB)>K_s(CTAB)>K_s(TTAB)>K_s(DTAB).$ 또한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미치는 염(NaCl 및 NaBr)과 n-알코올(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염과 n-알코올의 첨가로 Ks와 CMC값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온도에 다른 Ks값의 변화로부터 Phenoxide 음이온의 가용화에 대한 표준자유에너지, 엔탈피, 및 엔트로피의 변화를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 PDF

식물성오일 기반의 친환경 스테인레스 스틸 코팅에 대한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n Vegetable Oil based eco-friendly Stainless Steel Coatings)

  • 김기준;성완모;김주한;정형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51-856
    • /
    • 2017
  •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도료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인장특성, 그리고 [NCO]/[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도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에 코팅하는 무용제 도료를 합성하였다. 폴리올, M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등이 함유된 기존 도료수지보다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폴리올, M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로 이루어진 합성 도료 수지의 코팅이 내구력과 강도가 양호하였다. 견고한 도료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폴리올로 합성된 폴리우레탄 코팅의 접촉각이 더 컸으며, [NCO]/[OH]의 mole%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친환경 도료가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금속물질의 부식방지용 코팅에 좋은 물질이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고분자 합성 연구 (Synthesis of Polymer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이현석;김진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32
    • /
    • 2010
  • 본 총설에서는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새로운 탄화수소 공중합체의 설계와 개발, 그리고 생체친화성 고분자의 초임계 중합을 위한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로써의 성능에 대해 소개하고, 초입계 유체의 기본적 개념을 용매로서의 성질과 고분자 합성분야에서의 응용적인 측면에서 기술한다. 이산화탄소에 높은 용해력을 지닌 탄화수소 고분자 중합을 위해 새로운 리빙라디칼 중합기술을 사용하였고, 이 물질들의 이산화탄소 내에서의 상거동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구조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분산중합에서의 효과적인 계면활성력을 확인하였고, 성장하는 입자의 안정화에 필요한 키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고분자 소재 개발에 이 연구가 작용될 수 있다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