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modifie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Bolus를 대체하기 위해 자체 제작된 선량상승영역 변환기를 투과한 광자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n Beam through a Handmade Build-Up Modifier as a Substitute of a Bolus)

  • 김성준;이승준;문수호;설기호;이정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5권4호
    • /
    • pp.225-2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자체 제작된 선량상승영역 변환기(build-up modifier, BM)을 투과하는 high energy photon beam의 심부선량백분율(PDD)을 특성을 측정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BM 산란인자(BM scatter factor, $S_{BM}$)를 계산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BM scatter가 PDD의 Build-up region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BM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S_{BM}$는 BM을 사용하지 않은 SFS 30 mm에서 측정된 산란인자의 값을 1로서 정규화 하였다. 가장 큰 SFS 200 mm의 경우, 6 MV 광자선을 사용할 때 $S_{BM}$는 두께에 따라 각각 1.331, 1.519, 1.598, 1.641, 그리고 1.657이었다. 10 MV 광자선에는 각각 1.384, 1.662, 1.825, 1.913, 그리고 2.001이었다. BM의 효과는 bolus의 최대 76%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olus를 밀착시키기 어려운 특정적 부위에 대해 BM은 그 대안으로써 효과적인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임계 메탄올을 이용한 표면개질된 세리아 나노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Ceria Nanoparticles Using Supercritical Methanol with Various Surface Modifiers)

  • 안기호;신내철;김민수;윤용석;홍기영;이윤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78-683
    • /
    • 2012
  • 세리아 미세입자는 자동차, 석유공정, 폐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촉매로서 널리 쓰이고 있는 중요한 물질이다. 이제까지, 세리아 미세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제조법이 연구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짧은 반응시간과 간단한 공정이 가능한 초임계 메탄올을 이용하는 입자 제조 공정을 통해 세리아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세리아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초임계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리아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경우, 다른 첨가제 없이도 약 6 nm의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었다. 이 크기는 같은 온도와 압력조건의 초임계수를 이용하여 표면개질제 없이 합성한 입자보다 훨씬 작은 크기이다. 이는 초임계수와 초임계 메탄올의 밀도 차이와, 초임계 메탄올에서의 세리아 표면에서 일어나는 결정성장을 제한하는 반응, 그리고 초임계 메탄올과 초임계수의 임계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유기물을 표면개질제로 첨가하여 표면을 개질한 세리아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FT-IR과 HR-TEM, TGA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을 개질한 세리아 나노입자는 표면개질을 하지 않은 세리아 나노입자와는 다르게, 유기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뛰어났으며, 표면개질제로 사용하는 유기물의 양과 종류를 조절함으로써 세리아 나노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할 수 있었다.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기반 고충전 나노복합 페이스트를 이용한 염료 감응 태양 전지용 상대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 분산 제어의 효과 (Effect of Dispersion Control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in High Filler Content Nano-composite Paste for the Fabrication of Counter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

  • 박소현;홍성철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470-477
    • /
    • 2013
  • 가공이 쉬우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염료 감응 태양 전지(DSSC)용 상대 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MWCNT) 기반의 고충전 나노복합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MWCNT의 분산 제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MWCNT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스티렌 기반의 기능성 블록 공중합체를 리빙 라디칼 중합법으로 합성하여 MWCNT의 표면 개질제로 사용하였으며, 적절한 용매 조건의 선택을 통하여 고충전 나노복합 페이스트의 가공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WCNT의 분산 제어를 통해 이를 상대 전극으로 도입한 DSSC의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볼밀법을 이용한 MWCNT의 물리적 분산을 통해서도 검증할 수 있었다. 미량의 platinum(Pt) 나노입자와 복합화시킬 경우, 표준 Pt 상대 전극보다도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MWCNT 기반 상대 전극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신 방사선조사를 위한 10MV 선형가속기의 선량측정 (The Dosimetric Data of 10 MV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 for Total Body Irradiation)

  • 안성자;강위생;박승진;남택근;정웅기;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225-232
    • /
    • 1994
  • 연구목적 :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가동중인 10MV X-ray를 이용하여 전신 방사선 조사에 필요한 기본적인 선량측정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환자 전신이 포함될 수 있는 대형조사면을 얻기 위하여 collimator를 완전히 개방하여 조사방향이 수평이 되게 gantry각을 맞추었다. 방사선 선원에서 환자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360cm일 때 최대 기하학적 조사면은 $144cm{\times}144cm$이었다. Polystyrene팬텀과 평행평판형 전리함을 이용하여 깊이선량율과 principal 및 diagonal axis에서 측방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1cm두께의 아크릴판을 팬텀의 전면에서 20cm 떨어진 위치에 놓고 표면 선량의 증가와 최대선량점($d_{max}$)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AD 360cm에서 팬텀의 중심에 측정기 위치를 고정시키고 팬텀의 두께를 12cm에서 30cm까지 변화시키면서 MU당 선량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SSD 345cm, 조사면 크기 $144cm{\times}144cm$의 조건에서 깊이선량율은 10cm 깊이에서 $78.4{\%}$였고, dmax정은 1.8cm이었다. 1cm두께의 아크릴판을 spoiler로 팬텀에서 20cm 띄우고 사용했을 때 dmax점은 1.8cm에서 0.8cm으로 이동하였고, 표면선량은 $61\%$에서 $94\%$로 증가하였다. 평행 2문 조사시 30cm두께의 팬텀에서 선축상 선량분포의 차이는 $7\%$이내였다. $100\%$ 선량점의 선축이탈거리는 principal axis에서 67cm. diagonal axis에서 80cm이었다. 팬텀의 중심에서 측정된 출력계수로 MU당 선량은, (Dose/MU)=$-0.00178{\times}(T/2)+0.08676$ (T:팬텀 두께(Cm))로 표현되는 직선의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결론 : 1)좌우 대향 2문조사 방법으로 30cm두께의 팬텀에 10MV X-ray를 조사하였을 때 선량분포의 차이는 $7\%$이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2) 고에너지 광자선으로 전신방사선 조사시 표면선량 증가를 위하여 beam spotter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측방선량분포곡선에서 principal 및 diagonal axis에 따른 선량분포의 차이가 있어 환자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 전신방사선조사시 선량분포는 여러 가지 요인에의하여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된 MU당 선량은 깊이와 직선의 관계식을 보여 실제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전신 방사선조사에 관한 기본적 선량측정자료는 AAPM보고서 No. 17에서 권장된 범주에 들었으며 향후 임상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열법에 의한 수산화 마그네슘의 합성과 표면개질 (Synthesis and Surface Modification of Magnesium Hydroxide by Hydrothermal Method)

  • 이해용;강국현;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9-1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올레산을 표면개질제로 사용하여 수열법을 통해 수산화 마그네슘을 합성하였다. 수산화 마그네슘은 알카리 조건에서 올레인산과의 반응을 통해 표면 개질된 마이크로 크기의 플레이크 형상을 갖는다. 수열합성에서 수산화 마그네슘 입자 생성의 조건은 pH, 온도 그리고 반응시간이 표면개질과 입자 형상의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수산화 마그네슘 입자는 FE-SEM, XRD, FT-IR 그리고 TGA를 통해 확인하였다. 유기 용매 내에서의 분산성의 확인은 개질되지 않은 수산화 마그네슘과의 침전 테스트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Fumed silica가 충진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Nano복합재의 연구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Nanocomposites filled with Fumed Silicas by Melt Compounding)

  • Hahm, Wan-Gyu;Im, Seung-Soo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9-312
    • /
    • 2002
  • The polymer nanocomposites are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on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nanoparticles have extremely large surface area per a unit mass. Recentry, mica-type silicates like montmorillonite have received a good deal of attention as effective nano-reinforcemen(1), but actually some critical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ies of exfoliation and surface modification, the weak heat-resistance of modifier, and inferior process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melt viscosity have restricted the mass produc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he nanocoposite. (omitted)

  • PDF

Nafion-DTPA-Glycerol이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을 사용한 미분펄스 전압전류법에 의한 구리(II)이온의 측정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Copper(II) Using Glassy Carbon Electrodes Modified with Nafion-DTPA-Glycerol)

  • 박찬주;박은희;정근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5-122
    • /
    • 2004
  • A glassy carbon electrode(GCE) modified with nafion-DTPA (diethylene triamine-pentaacetic acid)-glycerol is used for the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rmination of a trace amount of Cu(II).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which influenced the response of nafion-DTPA-glycerol modified electrode to Cu(II), are optimized. The Copper(II) is accumulated on the electrode surface by the formation of the complex in an open circuit, and the resulting surface is characterized by medium exchange, electrochemical reduction, and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DPV). The electrochemical response is evaluated with respect to concentration of modifier, pH and preconcentration time, quiet time, copper(II) concentration, and other variables. A linear range is obtain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1.0${\times}$10$^{-8}$ M-1.0${\times}$10$^{-6}$ MCu(II) with 7 min preconcentration time. The detection limit(3s) is as low as 2.36${\times}$10$^{-8}$ M (1.50 ppb).

메탄가스 분리용 탄소분자체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arbon Molecular Sieve for Separating CH4 Gas)

  • 이범석;김택남;김윤종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2
    • /
    • 2004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arbon molecular sieve(below CMS) which can separate selectively to convert mixture gases spout at waste landfill into fuel. A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rom the viewpoint of a quality improvement of CH$_4$ gas and an utilization of by-product. CMS was prepared using coconut shell powder as starting material and the effects of activators, temperature and modifier on the reac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lso, pore diameter, surface area of CMS and adsorption rate were measured and studied by cahn balance and ASAP2010. Its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distribution were controlled easily at 800^{\circ}C and adsorption rate was very good. The CMS prepared in this research is shown to be able to separate landfill gases very effectively.

Bioglass내의 수식체가 유리의 물성 및 아파타이트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difiers in Bioglass on the Glass Properties and the Formation of Apatite)

  • 길철영;이호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623-629
    • /
    • 1992
  • The possible use of bioglass as implant materials is due to its biocompatibility to human body. Even if many animal studies for the bioglasses have been performed, their compositional dependences of struc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work,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s such as density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ere carried out for the bioglasses, with substitution of CaO for Na2O in bioglass composition (46.1%SiO2, 24.4%Na2O, 26.9%CaO, 2.6%P2O5:mol%). Hydroxyapatite formation on the glass surface was also examined after reacted in Tris-buffer solution. As CaO was substituted for Na2O, the bond strength between nonbridging oxygen and modifier became stronger to make glass structure rigid, and resulted in increase in density and decreas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hen the bioglasses were reacted in Tris-buffer solution, hydroxyapatite was formed on the bioglass surface for all prepared glasses in 2 hours, independently on CaO content, and the thickness of hydroxyapatite layer was decreased a little, while the thickness of SiO2 rich layer was decreased sharply with CaO content.

  • PDF

A Modified Adsorption Model for Retention of Nonpolar Solutes in Reversed Phase Liquid Chromatography

  • Cheong Won J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1호
    • /
    • pp.15-20
    • /
    • 1994
  • The adsorption model in reversed phase liquid chromatography has been critically examined. It has been found that use of the Everett type surface activity coefficient for the solute in the stationary phase is not useful to study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a nonpolar solute. We suggest a modified model. In this model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ced modifier molecules from the surface monolayer do not transfer into the bulk mobile phase but stick to the nonpolar solute which has displaced them. In addition, we prefer to use an apparent stationary phase activity coefficient of the soluie instead of the Everett type activity coefficient. This modified adsorption model well explains the mobile and stationary phase effects on the solute retention upon variation of mobile phase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