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ing Activities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2초

사용자의 잠재적 흥미를 인식하기 위한 주시 모방 모델 기반의 지능형 정보 시스템 (Gaze Mirroring-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for Making User's Latent Interest)

  • 박혜선;히라야마 다카쯔쿠;마쯔야마 다카시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37-54
    • /
    • 2010
  • 정보의 수집, 기록, 처리, 저장을 하며 정보를 검색하고 제시해 주는 정보 시스템은 최근, 여러 방면에서 응용되어 인간의 여러 가지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정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명시적 제시에 대하여 시스템이 반응하고 정보를 제시하는 '반작용에 의한 소극적 모델(reactive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보 시스템 자신이 자율적으로 인간의 행동이나 의도를 이해해, 거기에 기반을 두고 인간에게 지시나 정보 제공을 자발적으로 실시한다고 하는 '쌍방향의 동적 상호작용(mutual dynamic interaction)'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시스템과 사용자의 '시선' 정보 기반의 쌍방향의 동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흥미' 라고 하는 심리적 상태를 추정하여,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시 모방 모델 기반의 지능형 정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의인 에이전트(avata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시 행동을 모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와의 '공동 주의'를 실시하는 주시 모방(Gaze-Mirroring)이라는 방법을 도입하여, 시스템이 사용자의 잠재적인 흥미를 추정하고 추정된 결과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시선정보를 이용한 주시 모방 모델 기반의 지능형 정보 시스템은 시스템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상호작용 방법의 개발이 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주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잠재적 흥미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미래 대한민국 해군력 역할과 발전 (The Future of Republic of Korea Navy : Toward a Korean Way of Naval Strategy)

  • 최정현
    • Strategy21
    • /
    • 통권37호
    • /
    • pp.65-103
    • /
    • 2015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future role of the ROKN and to provide a strategic way forward with a special focus on naval strategic concept and force planning.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research takes four sequential steps for analysis: 1) assessing the role and utility of naval power of ROKN since its foundation back in 1945; 2) forecasting features of various maritime threats to influence the security of Korea in the future directly or indirectly; 3) identifying the roles to be undertaken by future ROKN; and 4) recommending Korean way of naval force planning and the operational concept of naval power.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ROKN needs comprehensive role to better serve the nation with respect to national security, national prosperity and development, and future battle-space management. To safeguard the national security of Korea, it suggests three roles: 1) national guard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2) protector of the maritime sovereignty; and 3) suppressor to maritime threats. Three more roles are highlighted for national prosperity: 1) escort of the national economy; 2) guardian for national maritime activities; and 3) contributor to the world peace. These roles need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ole for the battle-space management. This paper addresses the need for a dramatic shift of the central operational domain from land to maritime in the future. This will eventually offer future ROKN a leading role for developing strategic concept and force planning rather than merely a supporting one. This study finally suggests 'balanced' strategy both in concept development and force planning. A balanced force planning is a 'must' rather than an 'option' when considering a division of function between Task Fleets and Area Fleets, constructing cutting-edge conventional forces such as Aegis destroyer, CVs, or submarines, and the mix of high-profile platform and low-profile when composing future fleets. A 'balance' is also needed in operational concept. The fleet should be prepared to fulfill its missions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force operation i.e., coercive or cooperative application of the utility of naval force.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study are relevant today, and will b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to achieve various political goals required by enhancing the utility of naval power.

최근의 가족계획실태와 전망 (Recent Clanges in Contraceptive Use in Korea)

  • 조남훈;이임전
    • 한국인구학
    • /
    • 제8권1호
    • /
    • pp.118-138
    • /
    • 1985
  • This paper is aimed to analyse the recent changes in family planning as a step in an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which has been strenuously pursued by the government since December 1981.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comes from the 1985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KIPH) in May 1985. According to the 1985 survey data, there have been great changes in both the contraceptive practice and fertility rates since the strengthening of the government's population control policy in 1 981. The contraceptive practice rate for married women aged 15-44 has increased from 57.7% in 1982 to 70.3% in 1985, an increase of 12.6% points in the short span of only 3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declined from 2.7 in 1982 to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which was planned to achieve by 1 988. More than 80% of women aged over 30 or with two children or more are practicing contraception, while the practice rates of women with 0-1 children are 14.0% and 45.1% respectively.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contraceptive practice rate during 1982-1985 has mainly attributed to the high acceptance of sterilization procedures which practice rate of the married women has increased from 28.1% to 40.3% for the period. Also, the survey data shows that 24.7% of those women with only one child is practicing contraception for thepurpose of fertility termination. The government, taking into account of rapid changes in contraceptive practice and fertility rates, is formulating a population plan during the sixth fiveyea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lan (1987-1991) to achieve 1% ofpopulation growth rate by 1993, which was planned to realize by 2000. In order to meet this demographic goal, the existing population control policy measures should be improved to be suited to the recent contraceptive use and fertility changes. From this standpoint,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should be put forth; 1) improvement of the current program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target allocation and evaluation schems for recruiting new acceptors in the young 20s groups to use contraceptives for birth spacing and to increase high continuation rate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follow-up services for the acceptors, 2) increase of self-supporting contraceptive users by promoting commercial advertisements on contraceptives through mass media including T.V. and radio, 3)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policies including incentive schems, and strengthening of IE & C activities fo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one-child family, 4) strengthening of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in and out school youth, and 5) strengthening of management capabilities at the provincial and local program managers.

  • PDF

캐나다 앨버트 주 캘거리 시의 토사관리제도에 관한 고찰 (Review on Soil Erosion and Loss Management System of the Calgary City Government, Albert, Canada)

  • 김영철;김이형;황성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캐나다 앨버트 주 캘거리시의 토사배출사업장 토사관리 제도를 살펴보았다. 토사관리제도를 뒷받침하는 법적근거와 개발사업별 승인절차와 승인조건, 토사관리계획서의 작성기준 및 원리, 최적관리방안, 그리고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점검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시청 내에서 승인과정은 도시개발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CPAG라고 불리는 종합계획지원그룹에서 유관부서에 회람과정을 거쳐 승인에 필요한 요구조건을 검토한 후 승인/거부 여부가 결정되며 공시제도를 통하여 일반시민의 의견을 청취한 후 승인서를 발부하며, 이때 개발자가 이견이 있을 경우 항소과정을 거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승인에 필요한 조건은 일반조건과 특수조건으로 구분되며 실제로 개발공사 중에 토사관리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구하고 있다. 또한 별도로 토사관리계획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개발된 지침서를 제정하여 토사관리시설의 설치, 모니터링, 유지보수, 자체/외부 점검활동 등을 규정하고 있다. 제도적으로 완벽한 토사관리제도의 구비가 토사오염문제의 저감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개발과정에서 공사활동은 잠재적으로 가장 파괴적인 단계임을 인식하고 중앙정부의 법과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지역형편에 맞는 실효성 있는 조례 및 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 제안 - 영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Roadmap for National Research Data Management Govern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United Kingdom's Case)

  • 심원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78
    • /
    • 2015
  • 최근 미국, 영국, 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국가 연구비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된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관련 정책이 부재하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공유 및 보존을 지원하는 관련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막대한 국가 R&D 예산이 투입되어 생산된 연구데이터가 관리되지 않고 유실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및 공유는 전통적인 성과관리상의 필요를 넘어 연구성과의 확산 및 경제발전의 견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는 연구수행에 있어서 연구윤리가 당연히 지켜져야 하는 것과 같으며 데이터 공개를 통해 보다 윤리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별 정책 차원에서 연구데이터의 공유 현황이 조사되었던 것에 반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떤 정책이나 도구를 통해 연구데이터가 수집되고 공유되고 있는지를 사례조사의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영국의 경우 연구데이터의 공유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공통 원칙과 더불어 학문분야별로 다양한 정책 및 시행 방법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넓은 폭의 정책수단에 대한 장단점 분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영국의 연구데이터 공개와 관련된 법률적 기반을 살펴보고 국가연구비 지원기관인 RCUK(Research Councils UK) 산하 7개 연구비 지원기관과 산하 데이터센터, 그리고 관련 지원 기관의 기능을 중심으로 정책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국가 차원에서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조선업의 지역·산업간 고용연관효과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 변장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3-13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고용구조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선업이 집중된 전남과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조선업의 지역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에서 조선업을 추출하였고,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제외 전 후의 고용연관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는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기타 제조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들은 취업계수가 높거나, 생산활동 측면에서 조선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산업들이다. 둘째, 지역의 조선업에 의한 전국에 파급되는 산출액 당 고용연관효과는 전남이 가장 높지만, 부산과 울산, 경남에서 전남으로 파급되는 고용연관효과는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즉 이 지역들과 전남과는 고용연관관계가 매우 낮고, 이에 따라 조선업의 고용구조에서 전남이 고립되어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 따라서,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지역의 고용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반영한 지역산업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농업인력증대를 위한 영농후계자 육성전략-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Training Strategics for Future Farmers in Japan)

  • 심재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9-130
    • /
    • 1999
  •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일본 농촌지역의 인력부족은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일본정부의 대응은 정책적으로 농업진흥사업을 전개(예: 농지개혁 등)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영농후계자를 양성하여 농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견인차적 역할로 삼고 있다. 비교적 산간지대로 되어 있는 일본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영농후계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이와 더불어 영농전문인력을 확보하여 이들이 중심이 된 농업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영농후계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은 지방마다 특색있게 전개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산형현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영농후계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훈련내용은 실천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영농후계자들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조직을 활성화하고 농업사제도를 강화하며 지역적으로 영농후계자 육성체제를 확립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영농후계자 육성과 함께 중핵농가 노동대책 특별사업을 수립하여 경제자본주의 사회에서 농민들이 자립할 수 있고 꾸준히 생산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일본 영농후계자육성방안을 고찰하면서 한국에 있어서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영농후계자 문제해결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기술하였다.

  • PDF

남자노인 1인가구의 거주지 주변 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The Use and Needs of Activity Spaces Near Housing Environments of Single Elderly Men Households in Korea)

  • 박성신;이민아;신영화;박영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265-297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노인 1인가구의 공간복지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전북 군산시에 거주하는 18명의 남자노인 1인가구의 활동공간 이용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자노인 1인가구의 사회정서적 네트워크는 친구나 동료에 집중되었고, 자녀및 노인과의 교류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웃과의 네트워크는 희박하였다.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공원이나 식음공간, 커뮤니티 시설과 같은 제3의 장소와 명확한 경계를 가진장소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희망하는 공간은 식사제공, 노인 공동생활, 일거리, 취미여가활동, 시설개선 등과 관련이 있었다. 활동공간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거주지역과 건강으로 분석되었고, 이 외에 사회정서적 네트워크와 경제적 상황, 취업여부 또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활동반경의 범위가 좁은 비활동적 노인들을 위해 거주지와 근접한 장소에 산책 및 여가 공간 등을 위치시키고, 이동을 지원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지역 주민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 내 교육, 취미여가공간이나 젊은 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거주지 주변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정기적인 수선, 유지관리, 그리고 올바른 이용을 위한 주민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는 남자노인들에게 필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지원하는공간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검도동호인의 수련경험과 의미 (The Exploring Meaning and Training Experiences of Kendo Participants)

  • 박동주;이근모;임새미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71-80
    • /
    • 2017
  • 본 연구는 생활체육 검도 동호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검도 동호인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검도장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남,여 11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서 심층면담, 관련 보조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도 동호인들의 수련경험은 각각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다음과 같다. 검도 동호인들은 검도 수련이 자신과의 싸움의 연속이며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들은 수련자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검도수련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한계의 선과 마주하였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검도수련자에게 중요한 것은 예의였다. 검도장에서 가장 먼저 예의를 배우게 되고 예의는 검도 수련자가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도는 신체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품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랜 수련을 통해 사범의 자격을 갖춘 동호인들은 사범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스스로 검도의 공부와 깊이 있는 수련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진정한 검도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복지와 독재의 교환에 관한 동독과 북한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Welfare-Dictatorship Exchange in the East Germany and the North Korea)

  • 황규성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2호
    • /
    • pp.113-139
    • /
    • 2016
  • 이 글은 동독과 북한에서 복지와 독재를 대상으로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맺은 교환관계를 비교한다. 시장결과에 대한 사후교정이 성격을 가지는 자본주의 복지와는 달리 사회주의에서 복지는 인민대중의 기본욕구를 사회적으로 충족한다는 목표를 두었지만 독재를 지탱하는 수단이기도 했다. 복지와 독재의 관계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복지의 성격에 따라 교환이익의 등가성이 있는 경성 교환관계와 비대칭적인 연성 교환관계로 구별된다. 동독에서 복지와 독재의 교환관계는 형성(1949~1970년대), 위기(1980년대), 해체(1989년~1990년)의 수순을 밟았다. 복지는 인민이 가지는 권리로 만들어졌고 이를 기반으로 정치적 지배의 정당성이 확보되는 경성 교환관계가 성립했다. 경제위기가 소비재의 불충분한 공급이라는 온건한 형태를 띠고 있었고 복지수준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었음에도 교환이 경성이었기 때문에 체감되는 복지수준의 후퇴는 독재의 정당성에 타격을 주었고 전면적 해체 과정을 거쳐 서독모델을 수용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북한에서 교환관계는 형성(1948~1980년대), 위기(1990년대~2000년대), 전환(2010년~) 단계를 거쳐 왔다. 동독과 달리 북한의 복지는 권리가 아니라 선물로 구성되었다. 선물로서의 복지에 입각하여 복지와 독재는 느슨하게 결합되는 연성 교환관계로 굳어졌다. 경제위기는 동독보다 훨씬 심각했지만 북한 지배세력은 인민대중의 원자적 생존투쟁을 활용하여 핵심계층과 인민대중의 분리 및 독재의 복지의존도 탈피를 내용으로 하는 이중적으로 분절적인 교환관계를 창출함으로써 '독재 중립적 복지 소멸'에 성공했다. 북한에서는 교환관계가 전환됨에 따라 경제가 회복되더라도 복지는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