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ementary Learning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PDA기반의 사칙연산학습 운영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Arithmetic Opera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PDA)

  • 정광식;손경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3-62
    • /
    • 2009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교수매체가 등장함에 따라 교수매체에 적합한 콘텐츠 제공이 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특히 PDA와 같은 이동통신 학습 환경에 대한 학습자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사칙연산)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학습단말기로서의 PDA 매체를 이용한 학습콘텐츠 설계 기법, 즉 학습 콘텐츠 내에서의 학습 시퀀싱 모델과 학습 콘텐츠사이의 학습 시퀀싱 모델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PDA에서 구현하고, 이를 지원해주는 학습운영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또한 PDA를 학습 보조 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학습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대한 요약을 기술하시면 됩니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학생평가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21-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had the individual interviews. The surrey items consisted of the six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he method to assess, the grad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the opening of learning effect, and the follow-up guid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elementary teachers depended heavily on internet sites for developing assessment problems. Second, elementary teachers made use of a performance assessment, a unit assessment, and a term examination at ordinary times. Third, unit assessment was largely referred for grading by elementary teachers. Fourth, in selecting the students fo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both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norm-referenced assessment were considered. After finish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dditional tests were usually taken. Fifth, elementary teachers took a negative attitude in opening of learning effect. specialty opening of test paper to parents of students was done under 30%. Sixth, fellow-up guidances were the most through the classroom guidances. but consulting with parents of students was not frequently conducted by teachers.

  • PDF

운동학습에 따른 대뇌 보조운동영역의 활성화 변화: fMRI 사례연구 (Change of activation of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in motor learning: an fMRI case study)

  • 박민철;배성수;이미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2호
    • /
    • pp.85-90
    • /
    • 2011
  • Purpose: The contribution of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to the control of voluntary movement has been revealed. We investigated the changesin the SMA for motor learning of the reaching movement in stroke patient using functional MRI. Methods: The subject was a right-handed 55 year-old woman with left hemiparesis due to an intracerebral hemorrhage. She performed reaching movement during fMRI scanning before and after reaching training in four weeks. The motor assessment scale and surface EMG were used to evaluate the paretic upper limb function and muscle activation. Results: In the fMRI result, contralateral primary sensorimotor cortex (SM1) was activa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SMA was only activated after training. In addition, muscle activation of the paretic upper limb was similar to that of the unaffected upper limb after train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SMA i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 novel movement pattern resulting in motor learning in stroke patients.

온라인 학습 공동체를 병행한 과학 교수-학습 방법이 한국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불만족토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Supplementary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유정문;이정선;오필석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3-93
    • /
    • 2006
  • PDF

21세기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교육과정 개발 - 제5차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 학습목표 개정 방향 - (Curriculum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for the 21st Century - The 5th Revision of Preventive Medicine Learning Objectives -)

  • 천병철;조수헌;최보율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293-301
    • /
    • 2006
  • The preventive medicine learning objectives, first developed in 1977 and subsequently supplemented, underwent necessary revision of the contents for the fourth time to create the fifth revision. However, the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have been changed by the new trend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PBL and integrated curriculum, the rapid change of the health and medical environment and the globalization of medicine. The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formed a task force, led by the Undergraduate Education Committee in 2003, which surveyed all the medical colleges to describe the state of preventive medicine education in Korea, analyzed the changing education dem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ealth environment and quantitatively measured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each learning objective in the previous curriculum. Based on these data, some temporary objectives were formed and promulgated to all the medical schools. After multiple revisions, an almost completely new series of learning objectives for preventive medicine was created. The objectives comprised 4 classifications and 1 supplement: 1) health and disease, 2) epidemiology and its application, 3) environment and health, 4) patient-doctor-society, and supplementary clinical occupational health.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objectives, contained within 13 sub-classifications, was 221 (including 35 of supplementary clinical occupational health). Future studies of the learning process and ongoing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new learning objectives should be undertaken with persistence in order to ensure the progress of preventive medicine education.

중학교 과학 실험수업에 적용한 심화.보충형, 심화형, 보충형 수업의 효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depth Level Only, and Supplementary Level Only Laborato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박종윤;최정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90-7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과 심화형 또는 보충형 획일적 수업의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200명으로 심화 보충집단, 심화집단, 보충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기본과정 이수 후에 치른 형성평가 점수에 따라 각 집단의 학생들을 심화수준과 보충수준으로 나누었다. 한 학기동안 심화 보충집단은 학생들의 수준에 해당하는 수준별 실험활동을 하였고, 심화집단은 모두 심화 실험활동을, 보충집단은 모두 보충 실험활동을 하였다. 수업처치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 탐구능력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과학 탐구능력 검사에서는 각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비교 결과 이러한 차이는 심화 보충집단과 보충집단의 차이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의견 조사 결과 심화 보충집단의 심화수준 학생들은 심화활동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보충수준 학생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학생들은 적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보충형 획일적 수업보다는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 보충 과정을 위한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분수의 연산을 중심으로 -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particular supplemented Process - The main theme is Fractional Computation -)

  • 김정태;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27-237
    • /
    • 2003
  • 기존의 CAI나 ITS 연구물은 문제 해결 과정이 일반화되어 있어, 특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동적인 입장을 가지고 불필요한 과정을 거쳐서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와 같은 분수의 연산과 분야에서는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문제 풀이 과정을 지원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보충학습자들을 위한 분수의 연산에 관한 ITS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습 오류를 진단하고 학습 오류 상태를 학습자가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지원하며, 학습자 자신의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으며 또한 분수연산 과정을 학습자의 수준에서 창의적으로 스스로 조정이 가능하다. 우리는 이 시스템이 학교 교사 부족으로 인해 보충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소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개선됨을 보여주었고, 학습자도 이 시스템으로 인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신장되어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얻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WBI를 위한 개별 학습 공간 시스템 (An Individual Learning Space System for WBI)

  • 홍현술;서인규;박문환;한성국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63-66
    • /
    • 2000
  • WBI provides new opportunities to realize the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hypermedia and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with a diverse interaction. The instructors or learners in WBI claim to be able to resolve reluctant fluctuations such as disorientation and cognitive overload. To overcome these phenomena, a supplementary tool able to manage learning space organized by the instructor's or learner's own way and offer effective navigation techniqu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A learning space management and navigation tool called HyperMap dynamically represents the learning space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labeled graph. This HyperMap also can be used for an instruction design tool, learner's portfolio for the exchange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assessment of WBI.

  • PDF

학습자의 학습 휴리스틱을 이용한 보충학습 푸쉬 시스템 (A Supplementary Learning Push System using Learning Heuristic of Leaners)

  • 신창하;이종희;이근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25-728
    • /
    • 2002
  • 현재, 웹기반 원격교육 시스템에서는 많은 학습자의 컨텐츠 및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기본 학습자료의 제공에 대한 많은 모형이 대두되고 있으나 기본 학습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보충학습 자료의 모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휴리스틱에 의하여 기계학습된 보충학습 내용과 위치를 웹과 이메일로 자동 푸쉬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휴리스틱에 의하여 보충학습 데이터의 트리를 구성한 후 시멘틱 네트를 이용한 속성을 정의하고 기계학습된 학습자의 반복 학습 경로를 분석하여 보충학습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PDF

공학인증 기초수학에서 학습부진 학생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Comments on mathematics diagnostic tests and education by level for under achieving first year engineering students)

  • 정상조;박중수;김태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93-606
    • /
    • 2011
  • 2008학년도 대전 소재 C 대학교 공과대학 신입학생 전체에 대하여 미분적분학 기초학력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충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하위 13%의 학생들에게 1 2학기 동안 수준별 기초보충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기초보충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학기말 성적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증가를 보였다. 특히 대학입학전형 방법의 다양화에 따라 고등학교에서 미분적분학을 이수하지 않고 입학한 학생들의 경우에서도 보충학습을 통하여 정규미적분학 수업을 따라 갈 수 있는 기초와 동기를 부여하였다. 본 논문은 미분적분학 학습 부진 공대 신입생들에게 학기별 다양한 형태의 수준별 보충수업을 실시한 후 성취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형태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과대학에서 수학 성적 부진 학생들에 대한 성취도 향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