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 김정희;현미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8-117
    • /
    • 2005
  • Purpose: This paper was attempted to focused on the analysi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 Data collected from 302 staff nurses in 2 general hospitals, wit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Wolfgang's HPSI, modified Hagihara's social support, and MSQ).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 The subjec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st level of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The perceived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and job satisfactions. Also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s.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s was 'work and patient conditions' and it was explained 35.5%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job satisfactions with 'the work load and disturbing factor',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Superviso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 and satisfactio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and the strategies of strengthening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it may be consid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other criterion variables.

  • PDF

직무소진, 사회적 지원과 지식창출, 공유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 조윤형;문명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1호
    • /
    • pp.21-43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also, social support are mode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haus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have negative effects on knowledge creation, but have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social support significant positively impact on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hird, both of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partial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especially, emotional exhaustion reduce supervisor' support to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reduce co-worker' support to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although job burnout preceded, if employees perceive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at have buff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 PDF

항공사 승무원의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Flight Attendant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Supervisory Support-)

  • 이정현;허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96-81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이직요인과 업무적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과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사지원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로는 직무탈진감 ${\rightarrow}$ 직무만족, 업무과부화 ${\rightarrow}$ 직무만족의 경로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탈진감 ${\rightarrow}$ 직무만족과 업무과부화 ${\rightarrow}$ 직무만족 경로에 대한 집단 간 영향력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낮은 집단의 영향력이 더 높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일 가정에 대한 갈등은 상시지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직무만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적 이직의도 중 경력개발/기회부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사지원의 조절효과에 따른 집단 분류에서 각 경로가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승무원 신입교육을 시작으로 상위 Class에서 필요한 직무교육을 받아야만 해당 Class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진급의 수요 공급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 내 상사의 지원은 진급과 직무자 업무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작용함과 조직의 충성도 또한 높아지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여성근로자가 대부분인 승무원 집단에서 상사는 개개인의 정서를 어루만져 더 나은 기회를 갖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로 인해 상사와의 진실되고 두터운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여야 한다.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ption of a Supervisor's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s Support: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s

  • Kang, Min-Jeong;Hwang, Hee-Jo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05-109
    • /
    • 2014
  • Purpose - Leadership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an organization. Contributing the efficiency of an organization, Especially, servant leadership focusing on meeting employees' hopes and desires positively affect success of the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airline servic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for an internal marketing on servant leadership that emphasizes the trust in the dignity of humans and spirit of service to subordinates as a factor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research, it is empirically analyzed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a supervisor's support play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and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s support using multiple and hierarchal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243 employees working in D Airline. Result - As a result, Employees'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of a supervisor and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a supervisor perceived by employees constitutes an important preceding variable in enhancing the employee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support.

미용실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Beauty salon work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 유은주;심선녀;김순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27-439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미용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높으며, 연령, 학력, 경력, 직위가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높고, 연령과 학력이 낮고 휴무일이 적을수록 이직의도가 많았다. 둘째, 원장/디자이너는 감정절제, 감정부조화, 심리적 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의도가 유의미하고 스텝은 감정부조화, 심리적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전체는 원장/디자이너는 감정절제, 역할스트레스, 상사지지와 동료지지가, 직장관련 이직의도에는 감정절제, 역할스트레스, 동료지지, 비인격화가 영향을 미친다. 스텝은 이직의도전체와 직장관련 이직의도에는 상사지지, 동료지지, 비인격화가, 직업관련 이직의도는 상사지지가 영향을 미친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in Clinical Nurses)

  • 김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09-316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내면행위(r=.290, p<.01)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r=.389, p<.01)와 동료지지(r=.160, p<.05)는 직무배태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직무배태성에 대한 영향에서 감정노동의 내면행위(${\beta}=.236$, p<.001)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beta}=.319$, p<.001)는 직무배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촉진하기 위해 감정노동의 내면행위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들이 임상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에 따른 효과성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Company HRD Education & Training Program)

  • 류석우;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97-507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된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학습, 전이, 결과수준을 효과성의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8월 16일부터 9월 9일까지 국내 상장 및 코스닥 등록 증권사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상시 재직자 온 오프라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5개 기업의 임직원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3차로 나누어 총 340부가 배포되었으며, 총 164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검증 결과, 가설 1. 조직지원 특성이 반응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반응수준에 대해서 모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2. 조직지원 특성이 학습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학습수준에 대해서 p<0.05,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3. 조직지원 특성이 전이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전이수준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조직지원 특성이 결과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결과수준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도 중요하지만,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지지체계와 학습한 것을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실시하는 기업이나 전문가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특성도 중요하나, 조직지원 특성이 교육훈련 효과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구성원의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사의 지원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역할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and Perceived Internal Equity)

  • 장옥진;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71-579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내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상의 요인은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의 두 하위차원으로, 내적 공정성은 분배공정성과 상호 작용 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 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상사의 지원에 따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 그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는 다양한 기업의 157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외적 및 내적 보상은 직무만족, 지각된 내적 공정성, 상사의 지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구성원의 심리적 영역인 내적 공정성의 지각을 통해 영향관계가 형성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구성원에 대한 보상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관계에서 상사의 지원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보상의 공정성에 주목하여 개인간 상대적인 보상 차이에 대한 합리적인 논리와 메커니즘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관리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at Work Affecting Work Stress)

  • 박경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1-108
    • /
    • 2003
  • Psychological stress is a growing issue in work stress research because work stressors are closely related to depression; and depression, in turn, decreas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dering such causal relationships of work stress, a comprehensive source to control work stress is needed for worksite mental well-be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social support at work controlled work stress and which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were effective on work stress reduc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40 workers employed in a public hospital in Georgia, U.S.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given to employees with their pay slips, and followed by a hospital wide voice reminder for 7 days. Surveys were conducted over a 20-day period. The questionnaires asked about job demands, job control, social support at work, depression, job performance, absenteeism, and demographics. The social support construct was structured on the source of support at work and the kinds of support were provid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Social support at work was directly related to high job control, low depression, and high job performance. High score of social support at wor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job control, low depressive symptoms, and high job performance. By source of support, only organiza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high job control. Organizational support was more effective than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Any stressors and their outcomes were not differenciated by the kinds of support. This result indicated that job control was influenced more by the source of support than the kinds of support provided at work; and the most efficient source of support was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al support was a strong factor in improving workers"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their jobs from a work stress reduction perspective.tive.

콜 센터에서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마트워크와 상사지원 융복합 서비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verging smart work and supervisor's support in the study of turnover on job satisfaction in call centers)

  • 김계철;정기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01-114
    • /
    • 2015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콜센터 상담사의 이직요인을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에 대한 완화방안으로 콜센터 서비스에 스마트워크 기술과 상사지원 서비스의 융복합이 상담사의 직무만족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상담사의 이직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마트워크 효과와 상사지원효과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고, 금융분야의 콜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영향관계 검증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담사의 개인적 이직요인에 대한 스마트워크 조절효과와 업무적 이직요인에 있어 업무 과부하는 상사지원이 상담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탈진감에 대한 상사지원 조절효과는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상담사의 속사정을 모르는 지나친 상사의 지원은 오히려 상담사 개인의 자존심에 역효과를 주어 이직율 완화에 부정적인 영항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