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Mu

검색결과 2,997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s of Avocado Yoghurt, Three Beans Cookie, and Tiger Nut Galsu Drink on Fibroblasts (Hs68) and Keratinocytes (HaCaT)

  • Park, Seung-Yong;Jung, Eun-Kyung;Joo, Nami;Shin, Hyun-Soo;Shin, Ji-Sun;Myoung, Da-Bin;Lee, Kyung-Tae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36-153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kin care foods on the synthesis of pro-collagen type I C peptide and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secretion through an in vitro study using fibroblasts (Hs68 cells) and keratinocytes (HaCaT cells). Among the three skin care foods developed in this study, three beans cookie and avocado yoghurt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pro-collagen type I C peptide and suppressed MMP-1 secretion; however, tiger nut Galsu drink did not exhibit these effects. All skin care foods, including three beans cookie and plain yoghurt ($50{\mu}g/mL$, p<0.001) influenced the suppression of MMP-1 in addition to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breast milk production support foods examined, such as Heath Heather ($50{\mu}g/mL$, p<0.001), Happy Mama ($50{\mu}g/mL$, p<0.01), BioLys ($50{\mu}g/mL$, p<0.001), Enfamama ($25{\mu}g/mL$, p<0.0001), and Pregnagen ($25{\mu}g/mL$, p<0.001). Avocado fruit yoghurt ($25{\mu}g/mL$, p<0.05), avocado fruit jam yoghurt ($50{\mu}g/mL$, p<0.01), Enfamama ($100{\mu}g/mL$, p<0.05), and Pregnagen ($100{\mu}g/mL$, p<0.05)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pro-collagen type I C peptide and suppressed MMP-1 secre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only avocado jam yoghurt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the prevention of skin keratinization and acceleration of recovery of skin fibrous structure. Therefore, avocado is a favorable ingredient for nutrition-balanced dietary foods or an essential ingredient in products for revitalization of human skin.

국내 콩 유전자원의 Isoflavone 함량 변이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Germplasms)

  • 정명근;강성택;한원영;백인열;김현경;신두철;강남숙;황영선;안영남;임정대;김관수;박시형;김선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46-151
    • /
    • 2006
  • 고 isoflavone 함유 콩 유전자원 선발 및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콩 주요품종 43계통 및 보존 유전자원 648계통의 isoflavone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콩 주요 43품종의 평균 isoflavone 함량은 daidzein이 $484.4{\pm}223.9{\mu}g/g$, genisteinol $448.0{\pm}156.2{\mu}g/g$, glyciteinol $84.9{\pm}48.7{\mu}g/g$, total isoflavoneol $1,017.3{\pm}390.0{\mu}g/g$을 나타내었다. 2. 공시된 주요 품종의 isoflavone 함량은 석양풋콩이 $2,002{\mu}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황금콩이 $277{\mu}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콩 주요 43품종을 용도별로 분류하여 isoflavone 함량을 비교한 결과 풋콩 및 올콩이 $1,438{\pm}493.7{\mu}g/g$을 나타내어 조사된 용도별 콩 분류 중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국내 보존 콩 유전자원 648계통을 대상으로 isoflavo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IT 180001계통이 $3,479{\mu}g/g$의 함량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고, IT 910878 계통은 $82.61{\mu}g/g$의 total isoflavone을 함유하여 가장 낮은 계통으로 조사되어 보존 유전자원간에 큰 함량변이를 나타내었다.

돼지 난포란의 단위발생에서 Cytochalasin B의 영향 (Effects of Cytochalasin B on Parthenogenetic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김현종;손동수;최선호;조상래;최창용;김영근;한만희;류일선;김인철;김일화;임경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49-52
    • /
    • 2005
  • 도축된 돼지의 난소에서 난포란을 채취하여 체외 성숙시킨 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이배체 배발달을 유기하기 위해 cytochalasin B를 2.5, 5.0, $7.5\;{\mu}g/mL$ 농도로 3, 5, 7 시간 처리한 후 NCSU23 배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여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체외 성숙된 돼지 난모세포를 활성화 처리하여 2일째 분할율을 관찰한 결과 각 처리의 분할율은 $39.0{\sim}48.9%$로 나타났으며, 처리별로 유의차가 없었다. 7일간 배양하여 상실배기 이상으로 발달한 난자들의 처리별 발달율 차이를 관찰한 결과는 cytochalasin B를 $5.0\;{\mu}g/mL$ 농도로 3시간 처리구(19.7%)에서 $2.5\;{\mu}g/mL$ 농도로 3, 5시간 처리한 구(9.4%)의 배발달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별과 농도별로 분석한 결과 $2.5\;{\mu}g/mL$ 처리구가 5.0, $7.5\;{\mu}g/mL$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배발달율을 보였다. 배반포기까지 발달한 난자들의 처리별 발달율 차이를 관찰한 결과는 cytochalasin B를 $5.0\;{\mu}g/mL$ 농도로 3시간과 5시간 처리구들의 배반포기 발달율은 9.4%와 9.0%로 $2.5\;{\mu}g/mL$ 농도로 3시간 처리구의 배발달율인 0%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배발달율을 보였다. 시간별과 농도별로 분석한 결과 농도에 따라 $5.0\;{\mu}g/mL$ 처리구가 2.5와 $7.5\;{\mu}g/mL$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기 배발달율을 보였으며, 3, 5, 7시간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돼지 난모세포를 65시간 체외 성숙 후 활성화 처리할 때 cytochalasin B $5.0\;{\mu}g/mL$$3{\sim}5$ 시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처리 농도가 배발달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작용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 김선영;김채린;김현민;공명;이지희;이현준;임명선;조나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5-18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3.54\;{\mu}g/mL$)과 aglycone 분획($2.15\;{\mu}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8.98\;{\mu}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mu}g/mL$)과 aglycone 분획($0.12\;{\mu}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mu}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sim}25\;{\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mu}g/mL$, $5.88\;{\mu}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mu}g/mL$)에 비해 약 40배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근경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 방면호;송정춘;김선림;허한순;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202-205
    • /
    • 2001
  • 건강을 80% MeOH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그 중에서 뚜렷한 활성을 보인 EtOAc 분획으로부터 DPPH(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포획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추적하여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2종을 분리하였다. 각각을 NMR 및 MS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6-shogaol 및 12-shogaol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EC_{50}$값은 26.4 ${\mu}M$과 22.5 ${\mu}M$로 상용항산화제인 BHA, BHT 및 ${\alpha}-tocopherol$보다 뚜렷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크릴(Euphausia superba) 불소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on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cell)

  • 김정균;윤호동;박시향;김풍호;목종수;홍유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82-688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out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of HepG2 cell by treatment of sodium fluoride (NaF) and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Euphausia superba meat, shell, whole body and krill meal. The cell toxicity showed significant at 300 and $500{\mu}g/mL$ NaF treatment group. But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KFE) treatment in all groups were not toxic. The superoxide radical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NaF trea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KFE treated group.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a significant increase 21.5% at $100{\mu}g/mL$ and 24.7% at $300{\mu}g/mL$ treatment group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and 8.7% at $300{\mu}g/mL$ in krill mea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hydroxy radical flux an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did not change. As a result, for a short period of time, NaF treatment in HepG2 cells affect th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but in the case of KFE, these were not recognized. Thus,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ingested with fluorid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be different.

산벚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Prunus sargentii)

  • 양선아;조주현;표병식;김선민;이경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9-164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75%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Prunus sargentii.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branch extract was 277.92 mg/g as the highest level.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C_{50}$ values of the cork layer and branch extract were 26.79 ${\mu}g/m{\ell}$ and 30.13 ${\mu}g/m{\ell}$. In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SC_{50}$ values of the branch and leaf extract were 49.19 ${\mu}g/m{\ell}$ and 55.55 ${\mu}g/m{\ell}$. All extracts exhibited higher NO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used as positive control. On the other hand, i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taphylococcus aureus by disc diffusion assay, the pure bark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Moreo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ork layer, pure bark and branch extract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rbutin used as positive control. In the cytotoxicity measurement by MTT assay, leaf extract was exhibited Raw 264.7 cell viabilities of 44.68~61.83% as cytotoxic result in tested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branch extract of Prunus sargentii will be a functional materials without damage compared to other parts such as pure bark or cork layer in the plant.

A COMPREHENSIVE VIEW OF LARGE-SCALE MAGNETIC FIELDS, WITH EMPHASIS ON THE GALACTIC MAGNETIC FIELD NEAR THE SUN

  • HEILES CARL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151-154
    • /
    • 1996
  • We examine the observations of large-scale magnetic fields in the Universe. We begin at the largest scale with clusters of galaxies and work our way down through galaxies and finally to the Milky Way. on which we concentrate in detail. We examine the observations of the Galactic magnetic field, and their interpretation, under the philosophy that the Galactic magnetic field is like that in other spiral galaxies. We use pulsar data. diffuse Galactic synchrotron emission, and starlight polarization data to discuss the Galaxy's global magnetic configuration and the uniform ($B_u$), random ($B_r$), and total ($B_t$) components of the field strength. We find disagreement among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various data sets and argue that the pulsar data are not the best indicator for large-scale Galactic field. Near the Solar circle, we find that the azimuthal average of $B_t$ is 4.2$\mu$G and we adopt $B_u\~$2.2 and $B_r\~3.6{\mu}G$. $B_t$ is higher in spiral arms, reaching $\~5.9{\mu}G$. $B_t$ is higher for smaller $R_{Gal}$, reaching $\~8.0{\mu}G$ for $R_{Gal}$ = 4.0 kpc. The pattern of field lines is not concentric circles but spirals. The inclination of the magnetic spiral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Galaxy's spiral arms if our sample, which refers primarily to the interarm region near the Sun, is representative. However, it is not inconceivable that the local field lines follow the Galaxy's spiral pattern, as is observed in external galaxies.

  • PDF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 김현복;김선여;이항영;김선림;강석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20-223
    • /
    • 2005
  •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_2O_2$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mu}g/ml$의 농도 처리시 $37\%$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mu}g/ml$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mu}l$농도보다 $100{\mu}l$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