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Risk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위기관리경영 능력향상에 관한연구 - 청소년 자살 위기관리 시스템 중심으로 (A Study on School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 Focus On Effects to Teenage's Suicide Thinking)

  • 강성옥;하규수;양영미;임현승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223-233
    • /
    • 2013
  • 학교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활동은 학교경영의 주요활동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교 경영을 위하여 청소년들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청소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을 차단하고 보호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청소년의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고 자살생각으로부터의 보호요인으로 추정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상생활 스트레스 전체와 자살생각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로서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자살생각이 많아짐을 나타내었다. 둘째, 우울과 자살생각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심할수록 자살에 대한 생각이 많아짐을 나타내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은 부적인 관계성을 보여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의 자살은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분석결과는 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지지체계의 형성, 이를 통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 자살생각 강화요인에 대한 대안적 프로그램의 접근, 사례관리 및 집단프로그램의 방법활용 등 청소년 관련기관과 전문가의 개입과 통합적 관리, 학교환경의 개선과 변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Medical Care Expenditure in Suicides From Non-illness-related Causes

  • Sohn, Jungwoo;Cho, Jaelim;Moon, Ki Tae;Suh, Mina;Ha, Kyoung Hwa;Kim, Changsoo;Shin, Dong Chun;Jung, Sang Hyu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6호
    • /
    • pp.327-335
    • /
    • 2014
  • Objectives: Several epidemiological studies on medical care utilization prior to suicide have considered the motivation of suicide, but focused on the influence of physical illnesses. Medical care expenditure in suicide completers with non-illness-related causes has not been investigated. Methods: Suicides motivated by non-illness-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the investigator's note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which was then link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 We investigated the medical care expenditures of cases one year prior to committing suicide and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area of resid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Among the 4515 suicides motivated by non-illness-related causes, medical care expenditures increased in only the last 3 months prior to suicide in the adolescent group. In the younger group, the proportion of total medical expenditure for external injur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lder group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being a suicide completer and having a rural residence,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high medical care expenditure. After stratification into the four age group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medical care expenditures and being a suicide completer was found in the adolescent and young adult groups, bu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elderly groups for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s: Younger adults who committed suicide motivated by non-illness-related caus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external injuries and more medical care expenditures than their controls did. This reinforces the notion that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suicidal risk factors are needed.

자살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실태 분석 -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and Empirical Analysis -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 이승지;이은진;노태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5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청소년기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이 젊은 성인 남성의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treated Depression in Adolescence on the Suicide Risk and Attempt in Male Young Adults)

  • 양찬모;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20
  • 연구목적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자살위험성을 높인다는 여러 선행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에 발병한 기분 장애가 치료받지 못한 경우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어서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면연구로, unipolar 혹은 bipolar depression으로 진단된 260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가보고형 검사도구를 이용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우울 및 자살 관련 특성을 평가하였다. 과거력 상 우울 삽화 치료 여부에 따라 untreated군과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을 비교했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 및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의 예측 인자를 분석했다. 결 과 총 260명의 환자 중 untreated군 189명,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은 71명 이었으며 untreated군에서 자살 시도한 비율, 우울 점수, 자살 위험성 및 자살시도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시도를 예측하는 인자로는 과거력 상 치료받지 못한 경우[Adjusted Odds Ratio (AOR)=4.19, 95% Confidence Interval (CI)=2.25~7.81, p<0.001]와 양극성 우울증의 진단(AOR=2.60, 95% CI=1.52~4.46, p<0.001)이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우울증의 86.7%에서 치료를 받지 못했음이 확인되었고,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높은 자살위험성과 연관되었다. 향후 청소년기 우울증의 조기 선별 뿐 아니라 적극적인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 지도록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후속 장기 추적관찰 연구가 기대된다.

청소년 자살 중재연구 동향 (Trends in Research o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s)

  • 조헌하;강정미;김원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93-40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recent trends i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 research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area. Methods: Studies Thirty-four studies selected from http://www.riss4u.net over the for last 20 years were analyzed by field and design of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an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 intervention studies. Results: Nineteen (55.9%) of the 34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s of welfare (9), psychology (5) and nursing science (5). Ordinary adolesc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participa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wenty one (61.7%) of the 34 studies.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outcome variables were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 o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 programs is expanding with a focus on ordinary adolescents as and subjects. In order to prevent suicide, research on family, teachers, and friends, who all are important parts of a teenager's support system, is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post-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recurrence in high-risk teenagers who have attempted suicide.

자살 행동과 연관된 생물학적, 유전적 예측인자 (Biological and Genetic Prediction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 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1호
    • /
    • pp.3-12
    • /
    • 2005
  • Most suicides(about 90%) occur in the context of psychiatric disorders. Prediction of suicide risk in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is very important in preventing suicide attempts. However, current approaches to predict suicidality are based on clinical history and have low specificity and biological markers are not yet included. Many studies have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biological parameters and suicidality. Studies of cerebro-spinal fluid(CSF) demonstrated that 5-HIAA and HVA level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suicide. Platelet serotonin transporter and the 5-HT2 serotonin receptor have also been studied in relation to violence and suicide. Depressive patients with greater suicidal tendency had significantly lower cholesterol concentrations but some researchers failed to find the correlation. DST non-supression is reported to predict suicidality in major depression. Several studies demonstrated a relationship between intron 7 polymorphism of tryptophan hydroxylase and suicidal behavior. Since suicide is not occurred in a single disease,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y in large samples with various diagnoses is necessary to find the biological and genetic predictors of suicidal behavior.

  • PDF

자살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자살 위험성과 양극성 장애 가능성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ossibility of Bipolar Disorder and Suicidal Attempt in Emergency Room)

  • 허량;김건형;전진호;박영민;김영훈;이봉주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07-113
    • /
    • 2015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살 시도자를 대상으로 자살 생각의 심각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자살 시도로 내원한 환자 중 50명을 대상으로 임상가가 면담, Columbia Suicide Severity Rating Scale(C-SSR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Korean Version of Mood Disorder Questionnaire(K-MDQ),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BSDS)를 시행하였다. 결 과 자살 경향이 높은 고위험군은 C-SSRS의 자살 생각의 심각성 점수와 BDI 점수가 높았고(p<0.001), MDQ에서 양극성 장애 가능성의 양성으로 판정된 자는 자살생각의 심각성 점수가 높았다(p=0.033). 결 론 자살 시도자의 자살 생각의 심각성과 양극성 장애의 가능성은 서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nd Suicidal Type)

  • 김효창;손영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2호
    • /
    • pp.1-19
    • /
    • 2006
  • 본 연구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토대로 노인 자살의 독특한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고, 자살의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자살의 취약성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과 가족환경적 요인이 밝혀졌다.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인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정신건강문제, 신체건강문제, 문제행동으로 분류되었다. 가족환경적 요인은 취약성 요인 중, 가정환경과 관련된 요인들로 가족관계문제와 경제적 문제로 나뉘어졌다. 자살의 촉발사건은 촉발사건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대인관계적 사건만이 나타났다. 대인관계적 사건은 자살자가 자신에게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과의 관계단절 등을 경험하는 대인관계상실 사건과 대인관계상 갈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 된 대인관계갈등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의 상호 영향력에 따라 자살을 유형화하였으며 자살의 촉발사건은 언급되지 않고 취약성 요인만 언급된 취약형 자살, 촉발사건만이 언급된 사건반응형 자살,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이 동시에 언급된 복합형 자살로 분류하였다. 자살유형에 따른 특성과 각각의 자살 예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노인 자살의 특성을 보다 명백히 살펴보았다.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Suicide and Suicidal Type)

  • 김효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1호
    • /
    • pp.15-33
    • /
    • 2006
  • 성인 자살의 폭발적인 증가와 부정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성인 자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토대로 성인 자살의 독특한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고, 성인 자살의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자살의 취약성 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 밝혀졌다.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개인의 정신건강문제, 신체건강문제, 문제행동으로 나뉘어졌다. 가족환경적 요인은 취약성 요인 중, 가정환경과 관련된 요인들로 이는 가족관계문제와 경제적 문제로 나뉘어졌으며,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문제로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는 무직이 포함되었다. 자살의 촉발사건은 촉발사건의 성격에 따라 좌절경험이나 개인적 문제 행동에 의한 개인적 위기사건과 대인관계와 관련되어 있는 대인관계적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개인적 위기사건은 좌절사건과 문제 행동으로 나뉘어졌으며, 대인관계적 사건은 자살자가 자신에게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의 죽음이나 관계단절 등을 경험하는 대인관계상실 사건과 대인관계상 갈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 된 대인관계갈등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의 상호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자살을 유형화하였으며 자살의 촉발사건은 언급되지 않고 취약성 요인만 언급된 취약형 자살, 촉발사건만이 언급된 사건반응형 자살,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이 동시에 언급된 복합형 자살로 분류하였다. 자살유형에 따른 특성과 각각의 자살예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uicidal Tenden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n Care Services

  • Seo, Hwoyeon;Sohn, Jee Hoon;Cho, Sung Jun;Sung, Su Jeong;Cho, Maeng Je;Ahn, Seung Hee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3호
    • /
    • pp.72-78
    • /
    • 2018
  • Objectives The high suicide rate has risen as a main concern in South Korea. Given the complexity of the mechanism resulting in complete suicide, studies targeting various populations are needed for broader understanding of its risk fact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endency in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Seoul depending on basic elderly-care services. Methods A total number of 415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Home-visit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by trained interviewers. Suicidal tendency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a brief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of-life Scale (WHOQOL-BREF). Alcohol problem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Among total subjects of 415 interviewees, the actual responses of 408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uicide risk was high in persons isolated from social support [odds ratio (OR) = 4.49], having depression (OR = 14.85), and having low quality of life (OR = 4.39). Conclusions We found that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re associated with suicidal tendency in the elderly living alone on basic services. Our evidence will contribute to suicide prevention policy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on care ser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