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nd Suicidal Type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6.02.17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ere are less studies on the elderly suicide even though it's steep increa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elderly suicide and to categorize them. For these purpose, A total of 23 case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Specifically, on the basis of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we scrutinized vulnerability factors(classified personal, family-environment factors) and precipitating events(classified interpersonal events) influencing on the elderly suicide. Personal factor was to be classified into personal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problematic behavior. Family-environment factor was divided family relationship problem and economic problem. Interpersonal events belonging to the precipitating events was to be classified into interpersonal loss and interpersonal conflic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elderly suicide classified into 3 types, that is, 'risk type suicide', 'event-response type suicide', 'complex type'. And then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al types and suggestions for reduction of elderly suicide.

본 연구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토대로 노인 자살의 독특한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고, 자살의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자살의 취약성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과 가족환경적 요인이 밝혀졌다.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인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정신건강문제, 신체건강문제, 문제행동으로 분류되었다. 가족환경적 요인은 취약성 요인 중, 가정환경과 관련된 요인들로 가족관계문제와 경제적 문제로 나뉘어졌다. 자살의 촉발사건은 촉발사건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대인관계적 사건만이 나타났다. 대인관계적 사건은 자살자가 자신에게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과의 관계단절 등을 경험하는 대인관계상실 사건과 대인관계상 갈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 된 대인관계갈등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의 상호 영향력에 따라 자살을 유형화하였으며 자살의 촉발사건은 언급되지 않고 취약성 요인만 언급된 취약형 자살, 촉발사건만이 언급된 사건반응형 자살,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이 동시에 언급된 복합형 자살로 분류하였다. 자살유형에 따른 특성과 각각의 자살 예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노인 자살의 특성을 보다 명백히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2. 김승용 (2004).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 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81-205.
  3. 김정진 (1998). 동반자살에 대한 사회보장 차원에서의 정신보건정책 및 예방프로그램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6, 99-119.
  4. 김진혁 (2003). 최근 자살의 실태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7호. 131-164.
  5. 김형수 (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4-44.
  6. 김형수 (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2-172.
  7.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5-33.
  8. 문국진 (1995). 자살의 판단과 판정. 한국법의학회지.
  9. 박경애 (1996). 성과 자살: 가족과 문화, 1, 149-171.
  10.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11. 박동식 (1991). 신문에 기제된 한국인 자살 기사 내용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회논문.
  12. 박상칠, 조용범 (1998).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학지사.
  13.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1991).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0(1), 286-297.
  14. 심영희 (1986). 한구사회의 자살: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이론과 실태. 정신건강연구, 제4집, 49-69.
  15. 오세진, 김병선, 김재휘, 김정인, 김지호, 김청송, 김형일, 김효창, 박유진, 양돈규, 유제민, 이장한, 이재일, 임영식, 현명호 (2005). 인간행동과 심리학. 서울: 학지사.
  16. 원호택 (1997).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17. 이장희, 박계열, 이혜리, 윤방부 (1990). 자실기도자에 대한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가정의, 11(3).
  18. 임수영 (1996).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심리학 석사학위 논문.
  19. 통계청 (2005). 통계정보시스템. http://kosis.nso.go.kr/에서 2005, 12, 10일 인출.
  20.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청소년 자살의 원인 및 예방정책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21. Conwell, Y. (2001). Suicide in later life: A review and recommendation for prevention.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1, 32-47.
  22. Felner, R. D., & Silverman, M. M. (1995). Suicide Prevention Program: Issues of design, implementation, feasibility,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In M. M. silverman & R. W. Maris (Eds.), In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ord Press.
  23. George, S. A., & Martha, L. B., & James, H., & Jo Anne, S., & Tatsuyuki, K. (1999). Clinical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ion and behavior in geriatric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6(11), 1048-1053.
  24. Hawton, K., Cole, D., OGrady, J., & Osborn, M. (1982). Motivational aspects of deliberate self-poisoning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 286-291.
  25.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2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27. McCall, P. L. (1991). Adolescent and elderly white male suicide trends. Journal of Gerontology, 46, 643-651.
  28. Mclntosh, J. L. (1995). Suicide prevention in elderly(age 65-99). Suicded and Life Threatiening behavior, 25(1), 180-188.
  29. Moscik, E. K. (1995). Epidemiology of suicidal behavior. In M. M. Silverman & R. W. Maris (Eds.), In suicide Prevention :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0. NIH. (1992).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Later Lif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8, 1018-1024.
  31. Patricia, A. H. (2003). Evidence-based protocol: Elderly suicide-secondary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9(JUN), 6-6.
  32. Poland, S. (1989). Suicide Intervention in the Schools. New York: The Gulford Press.
  33. Sarason, I. G., Johnson, J. H., & Siegel, J. M.(1978). Assessing the inpact of life change: Development of the life experiences surve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 932-946.
  34. Shaffer, D. (1988). The epidemiology of teen suicide: An examination of risk factor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49, 36-39.
  35. WHO. (1995). World Health Statistics Annual(Su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