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al pla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현재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15th(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현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138
    • /
    • 2020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current allergic disea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57,303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χ2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hile controlling the a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Smoking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smoking days, liquid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number of liquid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days,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e-cigarette smoking days, amount of smoking, second-hand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s were lifetime drinking, drinking days, the amount of drinking, and severe drinking. Variables such as physical activity exceeding 60 minutes days, intake of energy and sweet drinks, water intake, habitual drug use and mental health behavior such as stress perception, weekday sleep time,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plan/ attempts affect current allergic diseases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rrent allergic disease relate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may be helpful to facilitate a health promotion plan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ch diseases and to promote evidence-based health practices at school.

Paraquat 중독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f Paraquat Poisoning)

  • 전경홍;강명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09
  • Purpose: Paraquat, a globally used herbicide, is highly toxic to human beings. Hence, we reviewed some cases of paraquat poisoning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50 patients poisoned with paraquat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the Eumseong KeumWang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8. Results: Among 50 cases of paraquat poisoning, 28 cases were male. Twenty-four cases (48%) were over 60 years old. Fourty-nine patients ingested paraquat on purpose as suicidal attempts, while 1 patient underwent accidental ingestion. Seven patients swallowed less than one mouthful of paraquat, of which 4 patients survived. Eleven patients swallowed two mouthfuls of paraquat, of which 8 patients survived. Thirty-two patients swallowed over three mouthfuls of paraquat and they all died. Thirty-one patients with leukocytosis died. Twenty-one patients with metabolic acidosis died. Increased levels of blood amylase and glucose were related to high mortality, and increased level of blood creatinine was related to severe mortality. Hemoperfusions were accomplished in 27 patients of paraquat poisoning, of which 12 patients survived. Conclusion: Paraquat is a highly toxic herbicide. When patients arrive at the hospital, laboratory findings, urine paraquat concentrations, arrival time, and the amount of paraquat consumed must be considered for treatment plan.

  • PDF

임부 및 모유수유부와 가임기 여성의 건강행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in Pregnant Women and Breast-feeding Mothers vs Non-pregnant Women)

  • 주현실;김춘배;남은우;이민영;박명배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5-194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ealth-related behavior of pregnant women and breastfeeding mothers by investigating relevant risk factors. Methods: Data of 10,396 women (age 19 to 49 year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from 2007 to 2012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behavio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pregnant women; breastfeeding mothers; and non-pregnant women. Bottle feeding mothers were excluded. Results: Current smoking rate including self-reported smoker and/or positive cotinine urine test were lower for pregnant or breast-feeding group than non-pregnant group. Heavy-drinking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while monthly drinking rate was higher in non-pregnant group. Rate of stress recognition was lower in pregnant and breast-feeding group than non-pregnant group. Rate of experience for depressive symptoms and rate of suicidal ideation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Conclusion: Pregnant women and breast-feeding mothers maintain a good pattern of health- related behavior compared to non-pregnant women. However, substantial proportion of pregnant women and breast-feeding mothers continue to drink and smoke. This shows the need for a plan that will modify health-related behavior.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적 경험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roblematic experiences of smartphone use among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 김기봉;문원희;권명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84-92
    • /
    • 2021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적 경험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스마트폰 사용 문제적 경험 문항에 답한 남녀 청소년 54,603명이었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25.0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적 경험의 관련 요인은 학업성적, 경제수준, 고민을 상담해 주는 사람,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우울, 자살사고, 자살계획, 행복, 주관적 신체상,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었다. 음주와 흡연은 여학생에게만 유의한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자살계획은 남학생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적 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2005년 전국 자살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uicide Rate in Korea during 2005)

  • 김기정;곽정식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22
    • /
    • 2007
  • 자살은 불균형적인 사회발달로 인해 발생된 많은 사회문제들과 사회 전반적인 생명 경시적인 흐름에서 그 원인을 엿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다른 사회문제들에 대한 부수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 왔던 것이 현 실정이다. 지금까지 자살의 정의와, 자살의 원인 및 자살의 예방법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 왔으나 자살문제는 다른 사회문제와는 달리 치료, 해결이란 거의 불가능하다. 치료, 해결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자살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전체 변사사건 중 자살사건이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고 실제적인 원인을 자살수단, 직업, 연령, 학력 등의 연관성에 따라 나타난 특성분석을 실시하여 날로 심각해져만 가는 자살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5년 전체변사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2.4%를 차지하였고 남성이 69%로 31%를 차지하는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사회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자살방법에 있어서도 남성은 투신, 독극물, 목맴 등 적극적인 방법(80%)을 택하는 반면, 여성은 수면제나 손목동맥절단 등의 소극적인 방법(60%)을 선택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원인에서는 비관, 병고, 부정, 정신이상 등이 75% 이상으로 대부분 우울증세를 표출 후 자살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정생계형 비관 관련 대학교 이하 저학력의 직접 노동형 종사자 등 무직자들의 자살이 많았으며, 최근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들과 정년 이후의 사회적 위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신병비관 등의 우울증 관련 자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최종 자살하기까지는 대부분 우울 증세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돼 정신과적인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현재의 자살추이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을 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 정책을 유도하는 한편,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의 계속적인 지원으로 개인적인 갈등차원을 떠나 하나의 유행처럼 번질 수도 있으며, 지금보다 더욱 더 큰 형태의 문제로 다가올 수 있는 현실적인 사회문제에 대처할 국가 차원의 대비책 및 관리책 마련과 연구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