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al method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자살충동 - 평일/주말 수면시간 효과에 대한 성별 분석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mpulse of Korean Adolescents: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Effects and Gender Difference)

  • 김경미;염유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14-325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했다. 전국 규모의 자료를 사용해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평일 수면시간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자살충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평일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남학생이 자살충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약 1.9배 높았으며, 이 효과는 관련 변인을 통제했을 때도 유의했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평일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학생이 자살충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약 1.3배 높았지만, 이 효과는 스트레스 변인 등을 통제했을 때 유의하지 않게 변했다. 한편, 주말 수면시간은 성별에 관계없이 자살충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주말에는 일반적으로 등교부담이 없어 수면부족을 덜 경험하기 때문에 수면시간의 자살충동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수면시간의 자살충동 효과에서 나타나는 평일과 주말 수면시간, 성별 집단에 따른 차이를 밝힘으로써 수면시간 연구에서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노인의 결혼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우울을 매개로 하여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신열;장영은;서효정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05-31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만족 정도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노인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94명을 대상으로 1:1면접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혼만족도는 자살생각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살생각도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중년 남성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Men's Suicidal Ideation)

  • 이선영;허명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77-4785
    • /
    • 2015
  •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자살생각 정도를 확인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고위험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2012년에 질병 관리 본부에서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 5기 3차 자료를 이용 하였고, 40-64세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19.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년남성의 10%가 자살 생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소득 수준이 낮은 경우 보통에 비해 1.972배 자살 생각이 높았다.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에 비해 미혼이 2.587배, 배우자 없는 경우가 1.482배 자살 생각이 높았고, 비만인 대상자에 비해 저체중 대상자는 18.183배 자살 생각이 높았다. 화이트 칼라 직종에 비해 블루 칼라와 무직은 각각 1.349배, 13,342배 자살 생각이 높았다. 또한 높은 활동 정도를 보이는 대상자에 비해 낮은 활동을 보이는 대상자는 2.998배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이 낮은 대상자, 미혼 또는 배우자가 없는 대상자, 우울감이 있는 대상자, 무직이나 블루칼라 종사자, 활동 정도가 낮은 대상자는 자살 생각이 높은 고위험으로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중년 남성의 자살 예방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이러한 고위험 대상자를 선별하여 관리 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에게 스트레스, 우울, 체중을 고려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 정책적 차원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한국 성인의 주관적 계층인식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7
    • /
    • 2017
  •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ntal healt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adults with mental health experience over the age of 20 from the Korea Health Panel in 2013 (n=5,126). Methods :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ntal health. Results : Lower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was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xperience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gender, age, marital status, type of medical care,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current smoking and frequency of drinking. Experience of suicidal ideation was, by contrast, associated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y, private insur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requency of drinking. Conclusions : Health policies and institutions must be established to optimize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approaches, especially or mental health as well as the provision of services.

고등학생들의 자살에 대한 태도 유형 - Q방법론적 접근 - (Types of Attitude toward Suicide in High School Students: A Q-Methodology Approach)

  • 최혜정;이종화;정혜경;권성복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6-288
    • /
    • 2011
  • Purpose: The rate of suicide is rising most rapidl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eenage suicide is no longer just a personal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lassified high school students concerning in South Korea with an aim of identifying suicidal ideation and types of teenage suicide. Method: A Q-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 suicidal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A Q-sample was collected from in-depth and objective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A P-sample consisted of 37 high school students : selected Q-samples were sorted on a 9-point scale. Results: Three types of suicidal attitudes were evid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 abomination(Type 1),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ype 2), and social responsibility(type 3). Conclusion: Precautionary measures against high school students suicide should b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ttitudes toward suicide in south Korea.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기도자의 임상적 변화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Suicidal Attempters to Change Who Visited Emergency Medical Center)

  • 최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28-8737
    • /
    • 2015
  • 본 연구는 과거와 현재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기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여, 향후 환자 발생시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과 자살예방 연구의 토대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저자는 1998년 1월부터 12월과 2013년 8월부터 2015년 7월에 원광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기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발생률에서는 1998년도에는 남성(1.1:1)이 더 많았으나 2013-2015년도에는 여성(1.3:1)이 더 많았고, 1998년도에는 20대, 30대, 60대 이상에서 많았던 반면에 2013-2015년도에는 30-50대에 많았다. 자살 시도 방법에서 가장 많았던 것은 중독이었다(90.8%;1998, 72.7%;2013-2015). 자살기도로 인한 사망률은 1998년에 16.9%(남성 23.1%, 여성 10.0%)에서 2013-2015년에는 13.8%(남성 18.1%, 여성 10.5%)로 감소하였다. 전체 자살기도자(총 516명) 중 재발한 환자는 37명이었으며, 자살기도자 중 48.3%는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을 의뢰하였으나, 재발한 환자 전수에서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정신질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자살률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 발생하는 모든 자살기도자는 정신건강의학과와의 협진과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Relationships Affecting Youth Suicide)

  • 김운삼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63-78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서베이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인 거리감을 좁히고 가족 내에서 더욱 화합하기 위한 각 가정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며, 부모 자녀 간에 때때로 무심코 가해지는 신체적, 언어적인 폭력을 의식적으로 줄여야 한다. 둘째, 자살시도를 하는 청소년이 발생할 때, 학교나 교육기관, 지역사회의 상담관련 기관에서는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자살예방교육 및 자살태도 교육 등 그 후속조치를 반드시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모방 자살이나 충동적인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청소년의 자살예방 및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자살예방 교육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밖 청소년에게도 실시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우울이 높은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여 개입하는 것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 데에 필요하리라 본다.

자살위험성과 생의 의미가 생의 주기별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공공의료기관 이용환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Suicidal Risk, Meaning in Life on Age-dependent Life Respect in Patients at Public Hospital)

  • 왕미숙;황선숙;정현철;한숙정;강경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3-12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uicidal risk, meaning in life, and life respect in various ages of patien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life respect.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29 patients in a public hospital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with Duncan post hoc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life respect in the old age group (r=-.23, p=.02) and all subjects (r=-.14, p=.01) after controlling for ag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life respect were gender (${\beta}$=0.11, p=.050) and educational status (${\beta}$=-0.17, p=.022),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6.7% of the variance in all subjects (p<.001). In the early adulthood group,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ife respect were gender (${\beta}$=0.18, p<.001) and suicidal thoughts (${\beta}$=0.21, p=.028),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explained 6.8% of variance in all subjects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icidal preven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increasing an appreciation of life should consider subject'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educational status.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 신미경;이혜련;원종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9-42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level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SI)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questionnaire from 124 students in 2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tudy participants reported low level of SI, depression, and life stress ($44.45{\pm}19.21$, $8.40{\pm}5.94$, $40.65{\pm}32.17$). The 53% of variance in SI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life stress related value (${\beta}=.41$, p<.001), life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family (${\beta}=.19$, p=.014), life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friends (${\beta}=.34$, p<.001), and depression (${\beta}=.36$,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o decrease the SI in these students, an active interest in the students is needed to lower stress leve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in life stress related to value, and for relief of depression. Suicide prevention programs specific to the level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need to be developed for nursing students.

일개 도 지역 자살 시도 환자에 대한 병원전 단계 분석 (The pre-hospital analysis of patients with suicide attempts in Gangwon-do)

  • 김기환;조준휘;문중범;박찬우;신명철;김가을;이준석;박윤수;옥택근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7-69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ttempters, including pre-hospital patients and those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Suicidal attempters who had been reported to the 119 call center were selected between July 2015 and June 2016. Sex, age, place, methods of suicidal attempt, season, time, and suicide success rate were reviewed in the fire center records. Results: A total 961 suicide attempters were enrolled. Among them, 53.6% were males who had an approximately 2.6 times higher mortality than that of females (9.2%). The most preferred place to commit suicide was the home in both sexes (68.0% in male, 82.8% in female) and the most preferred methods was drug intoxication, particularly pesticide. The method with the highest mortality was hanging and the lowest was self-harm. The season of the highest mortality was spring. The success of suicide and the time variation were similar. Most of the un-transferred patients also selected fatal suicide attempts compared to transfer patients. Conclus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cludes information on un-transferred patients. Overall, the probability of death was highest as more than 50 years men chose hanging as a method,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un-transferred patient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