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icidal metho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8초

고등학생의 자살위험성, 자아존중감 및 영적 안녕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icidal Risk,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 권영숙;박경민;김영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12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uicidal risk,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76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academic high schools and two technical high schools in Daegu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3th to the 25th of September 2004. The research tools were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developed by Go. Kim and Lee (2000), the Self-Esteem Inventory modified by Choi and Jeon (1993), and the tool of Spiritual Well-Being modified by Yoo (2002).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dows 11.0. Result: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icidal risk were school type, whether to have the best friends, the number of close friends, current relationship with close friends, experience of school violation, respect for the teacher, grades, financial condition, parents marital status, fa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home atmosphere, conversation with father, conversation with mother, smoking, drinking, experience of counseling for problems, whether to have physical illnesses,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suicide, experience of attempting suicide. Suicidal risk was in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The researcher identified many differ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uicidal risk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icidal risk.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suicidal prevention programs.

  • PDF

노인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 송민선;양남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Method: Subjects consisted of 115 elderly person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rch 2013,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for health status ($2.41{\pm}.68$), health-promoting behavior ($2.38{\pm}.43$), and self-esteem ($2.87{\pm}.69$) among the elderly fell in the average range, whereas scores for suicidal ideation ($.48{\pm}.36$) among the elderly fell in the below average range. Health statu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job, and number of people living in the household. Suicidal ide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age,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self-esteem may b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ecrease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한국 성인에서 간접흡연노출과 우울증상 간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 진선권;한규만;남민;장지순
    • 생물정신의학
    • /
    • 제27권2호
    • /
    • pp.101-111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SHS) exposur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self-rated health (SRH) and perceived usual stress (PU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suicidal ideation and SHS exposure.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n 2014 and 2016 was analyzed for 10539 participants aged 19 years or older.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djustment for the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We also adopted the mediation analysis method by Hayes and Preacher.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HS at home and at public places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non-smokers. After adjusting for the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HS at home and at public places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non-smokers. Meanwhile SHS at workplaces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former smokers an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current smokers. There was an additive effect of SHS on depressive symptoms only among non-smokers. SRH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H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non-smokers. We did not obser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RH nor PU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H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ormer and current smokers. Conclusions SHS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ults. Our study elucidated how SHS interac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non-smokers through the mediation by SRH.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한 노인들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 규칙 개발 (A Development of Suicidal Ideation Prediction Model and Decision Rules for the Elderly: Decision Tree Approach)

  • 김덕현;유동희;정대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249-27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and decision rules for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data. By utilizing this data, we obtained many decision rules to predict the elderly's suicide ide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classification analysis to derive decision rules to predict on the basis of decision tree technique. Weka 3.8 is used as the data mining tool in this study. The decision tree algorithm uses J48, also known as C4.5. In addition, 66.6% of the total data was divided into learning data and verification data. We considered all possible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inally, 99 variables including the target variable were used. Classifi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troducing sampling technique through backward elimination and data balancing. Finding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sets. The selected data sets have different, various decision tree and several rules. Based on the decision tree method, we derived the rules for suicide prevention. The decision tree derives not only the rules for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depressed group, but also the rules for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non-depressed group. In addition, in developing the predictive model, the problem of over-fitting due to the data imbalance phenomenon was 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data balancing. We could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data on the target variables in order to perform the correct classification analysis without over-fitting. In addition, although data balancing is applied, it is shown that performance is not inferior in prediction rate when compared with a biased prediction model.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 Age: Verification of Double Mediation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 이은진;김성희;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27-546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 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자살 고위험군 노인: 원인 파악 및 예측 모델 개발 (High Suicidal Risk Group of Elderly: Identification of Causal Factors and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 박가연;신우식;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59-81
    • /
    • 2023
  • 한국의 노인(65세 이상) 자살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 흐름에 따라 이러한 고령층의 자살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노인 자살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 개인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의 원인 요인을 파악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 한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제공하는 7개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자살의 대인 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과 사회 해체 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을 바탕으로 노인 자살의 잠재 원인 요인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원인 요인 파악을 위해 패널 로짓 모형 분석을 진행하고 노인 자살 생각의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해 딥 러닝과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연구는 계량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한 주요 원인 요인들을 활용하여 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노인 복지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 모델은 자살 고위험군 노인을 선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시너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진다.

일상생활에서의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순간평가 일기법 연구 (Factors affecting Non-suicidal self-injury: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using a Daily Diary Method study)

  • 권호인;김선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321-340
    • /
    • 2023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가 발생하는 정서 및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 60명이, 14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전자일기에 접속하여 그날의 긍정 및 부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자해 사고 및 행동 여부에 대해 기록하였다. 수집된 총 663건의 엔트리를 활용하여 비자살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된 개인의 정서, 스트레스 사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간 수준의 높은 부정 정서와 낮은 긍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총점은 각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부정 및 긍정 정서와 스트레스 모두가 투입된 모형에서는 개인 간 수준의 낮은 긍정 정서가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 경험자의 정서 조절 개입에 있어 부정 정서 관리뿐 아니라 긍정 정서 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방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 요인을 탐색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국 경제활동자의 구강 건강과 자살 생각의 관련성 융합연구 (Convergenc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 Economic activity)

  • 박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68-272
    • /
    • 2020
  • 본 연구는 경제활동자의 구강 건강과 자살 생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하여 경제활동자의 자살 예방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자료분석은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0.0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강 건강과 자살 생각과의 관련성은 저작 불편 있는 경우 2.49배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활동자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킬수 있는 요인으로 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사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Predictors of Depression of Widowed Elders)

  • 이규은;염영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2-39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coping strategies, dependency,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widowed elders,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Method: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questionnaire with 162 elders from welfar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located in 3 cities, Seoul, Gangneung and Seosa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Depres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health (r=-.525, p<.001), and coping strategies (r=-.253, p=.005)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endency (r=.430, p<.001), and suicidal ideation (r=.473, p<.001). The explained variance for depression was 47.5%. Of the variables, perceived health (${\beta}=-.237$, p=.003), suicidal ideation (${\beta}=.398$, p<.001) and dependency (${\beta}=.341$,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the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for widowed elders in Korea. However, further study with a larger random sample and more a detailed research design is necessary.

정신장애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송승연;이용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65-7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 사회적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96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우울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자신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미등록장애 집단일수록, 폭력 및 차별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생각에 대한 설명력은 26.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도출한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에 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개입 프로그램을 강구하는데 있어 개인심리적요소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요소를 같이 평가하고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 정책을 강구하는데 있어, 폭력과 차별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권익옹호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신장애등록 제도를 개편하여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제도 안으로 포섭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강구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