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 Age: Verification of Double Mediation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 Lee, Eunjin (The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
  • Kim, Sunghee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Social Welfare Policy, Yonsei University) ;
  • Nam, Seok I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이은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 김성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정책협동과정) ;
  • 남석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21.04.27
  • Accepted : 2021.06.14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nd verifie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The responses of 329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past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ing attitude, the aging attitude on the depression, and the depression on the suicidal idea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the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cceptanc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e in old ag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 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NRF-2020M3C1B6113681) 및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BK21 FOUR '공정한 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혁신과 협력 역량을 갖춘 통합형 인재양성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임.

References

  1. 강동훈. (2019). 노인의 박탈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분석. 사회과학연구, 58(1), 197-245. doi.org/10.22418/JSS.2019.6.58.1.197
  2. 고영, 김지연. (2020).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에 대한 융합연구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융합정보논문지, 10(7), 108-115. doi.org/10.22156/CS4SMB.2020.10.07.108
  3. 고정은. (2016).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들의 이야기치료 집단 상담. 가족과 가족치료, 24(1), 27-46. doi.org/10.21479/kaft.2016.24.1.27
  4. 권오균, 허준수. (2013).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1(4), 65-93.
  5. 김미진. (2017.12.04.). 출범 1년 만에 1,600명의 회원단체로 성장 '서울시교육인생이모작센터'. M이코노미뉴스.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20867
  6. 김소영, 강민희. (2021). 노인의 품위 있는 노화 인식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노년학, 41(1), 1-24. doi.org/10.31888/JKGS.2021.41.1.1
  7. 김은정, 민주홍. (2020). 독거여부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38(4), 97-109. doi.org/10.7466/JFBL.2020.38.4.97
  8. 김은하, 배정이. (2020). 수용전념치료를 적용한 노인 우울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020년 국가위기관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100-101.
  9. 김정순. (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정현, 김욱. (2012). 노화태도척도(AAQ)의 한국 노인 적용을 위한 타당성 연구. 한국노년학, 32(4), 1181-1197.
  11. 김준표, 김순은. (2018). 노인의 노화태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결석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38(3), 521-536. doi.org/10.31888/JKGS.2018.38.3.521
  12. 김지현, 강연욱, 유경, 이주일. (2009). 성공적 노년기의 자아통합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죽음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4), 115-130.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4.007
  13. 김지훈, 김경호. (2018).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유발요인의 영향력 분석: 6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344-360. doi.org/10.5392/JKCA.2018.18.02.344
  14. 김충련. (2012). SPSS 데이터 분석: Spss statistics 20. 파주: 21세기사.
  15. 김현지, 권정혜. (2012).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2), 589-606.
  16. 김형수. (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9-172.
  17. 김형숙, 전경자, 김윤미. (2013).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2), 349-363.
  18. 남석인, (2018). 철학, 보건기술과 융합한 사회복지 실천. 한국노년학회 2018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45-248.
  19. 남석인, 남효진, 이준민, 장채원. (2019a). 전기.후기노인의 노후불안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7(2), 67-96. doi.org/10.24301/MHSW.2019.06.47.2.67
  20. 남석인, 시지혜, 정예은, 채주석. (2019b). 노년기 삶의 의미와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74(2), 163-192. doi.org/10.21194/kjgsw.74.2.201906.163
  21. 남일성. (2018). 노인 독거와 자살생각 경로분석: 사회참여와 좌절된 소속감의 간접효과 설명. 사회과학연구, 29(2). 211-226. doi.org/10.16881/jss.2018.04.29.2.211
  22. 남효진, 강수진, 남석인. (2018). 한국판 의미 있는 활동참여 척도 타당화 연구. 노인복지연구, 73(2), 79-105.
  23. 류희선. (2004). 대학생들의 노화에 관한 지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문동규. (2012).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노인복지연구, 55, 133-157.
  25. 박동순, 현은민. (2010).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질환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망감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7, 1213-1238. doi.org/10.35594/kata.2010.17.5.006
  26. 박소영, 윤가현. (201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회상기법에 관한 소고. 한국노년학연구, 28(2), 95-108. doi.org/10.25280/kjrg.28.2.4
  27. 박영란, 손덕순, 박경순. (2017). 노인정신건강 정책 및 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입법과 정책, 9(2), 275-298.
  28. 박종원, 정혜숙. (2018).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70(2), 197-222.
  29. 박주형. (2018).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12), 758-764. doi.org/10.5762/KAIS.2018.19.12.758
  30. 배문조. (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31. 보건복지부. (2020).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32. 보건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 (2019). 2019 자살예방백서. 서울: 중앙자살예방센터.
  33. 서인균, 이연실. (2016).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2), 219-247.
  34. 손신영. (2014).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2), 149-160. doi.org/10.12811/kshsm.2014.8.2.149
  35. 송나경, 문하늬, 채철균, 이명수, 정은희. (2018). 중고령자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환경적 요인. 가정과삶의질연구, 36(2), 17-167. doi.org/10.7466/JKHMA.2018.36.2.157
  36. 양미자, 조성제. (2013).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자살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2, 345-360.
  37. 양민아, 임승주, 한대성, 박지혁. (2020). 중.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3), 531-541. doi.org/10.31888/JKGS.2020.40.3.531
  38. 양정남, 최은정, 이명호, 김영, 김남희. (2018). 노인의 차별경험인식과 자살사고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3), 215-239.
  39. 엄태완. (2007).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2), 355-379.
  40. 오영이, 이숙민. (2016).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1(2), 79-86. doi.org/10.21186/IPR.2016.1.2.079
  41. 오정아, 심의보, 한규량. (2018).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노인의 생애사 연구. 사회과학연구, 1, 3-21. doi.org/10.16881/jss.2018.01.29.1.3
  42. 유경, 김지현, 강연욱, 이주일. (2012).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 32(1), 207-222.
  43. 유정인, 조해경, 김병석. (2012). 집단 자서전쓰기가 노년기 자아통합,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와 체험적 의의. 한국노년학, 32(2), 559-576.
  44. 윤현숙, 이강, 차민호, 권종희. (2011). 노년기 우울증에 대한 구조적 인생회고 (Structured Life Review)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53, 133-158.
  45. 이덕남, 김나예. (2018). 노인의 경제 및 심리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2), 997-1009. doi.org/10.22143/HSS21.9.2.79
  46. 이묘숙(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231-259.
  47. 이미진. (2012).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패널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4(1), 101-124.
  48. 이종형, 이준배. (2020).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Risk of Korean Elderly: Using a Panel Logit GLMM. 보건사회연구, 40(4), 264-294. doi.org/10.15709/hswr.2020.40.4.264
  49. 이한나, 양은아. (2015). 회고적 노래 만들기가 시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1(1): 177-197.
  50. 임병권. (2021. 03. 30). 구리시, 4월부터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국제뉴스, https://www.mimint.co.kr/bbs/view.asp?strBoardID=media&bbstype=&bidx=3182517
  51. 임연옥, 윤현숙, 황지성. (2016).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부부관계와 자녀관계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1-28. doi.org/10.17997/SWRY.50.1.1
  52. 임연옥, 윤현숙. (2017). 노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 사회적지지, 삶에 대한 통제감, 우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2(1), 123-149.
  53. 임종린, 김종성. (2020). 자살위기를 벗어난 여성독거노인의 회복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8). 304-314.
  54. 임주영. (2020). 노인의 자기용서와 타인용서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34, 165-191. doi.org/10.22589/kaocm.2020.34.165
  55. 장현정, 유지영. (2020). 노인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1597-1614. doi.org/10.23844/kjcp.2020.11.32.4.1597
  56. 전정아. (2006).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7. 정현숙, 임현우, 조선진, 김철민, 정소나, 송후림, 정영은, 고기동. (2012). 일차의료에서 우울증의 선별과 사후관리. 가정의학, 2(1), 15-23.
  58. 지행중, 한정란, 박성희. (2011).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노년학, 31(2), 223-241.
  59. 질병관리본부(2017).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충북: 질병관리본부.
  60. 차유진. (2016).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8), 605-614. doi.org/10.5762/KAIS.2016.17.8.605
  61. 추경진, 이승연. (2012).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31-53.
  62. 최수현, 김혜리. (2016). 노년기 자아통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 36(2), 199-214.
  63. 최해경. (2018). 지역사회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509-519. doi.org/10.5392/JKCA.2018.18.03.509
  64. 최현옥. (2014).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비교한 자아통합 척도 연구. 한국노년학, 34(3), 539-553.
  65. 최혜정, 백순기. (2015).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여성노인의 여가력, 가족상태에 따른 우울경향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5), 295-302. doi.org/10.15207/JKCS.2015.6.5.295
  66. 편보경. (2018). 입원 중인 노인 우울 환자에 적용한 이야기치료 기반 회상요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7. 허원무. (2013).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 방법. 기업과혁신연구, 6(3), 43-59.
  68. 홍성희, 곽인숙. (2011).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유배우노인과 무배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77-91. doi.org/10.6115/khea.2011.49.4.077
  69. 홍주연. (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0. Bryant, C., Bei, B., Gilson, K. M., Komiti, A., Jackson, H., & Judd, F. (2016). Antecedents of attitudes to aging: A study of the roles of personality and well-being. The Gerontologist, 56(2), 256-265. doi.org/10.1093/geront/gnu041
  71.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 doi.org/10.1037/0033-295x.97.1.90
  72.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and Row.
  73. Butler, R. N. (1963).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Psychiatry, 26(1), 65-76. doi.org/10.1080/00332747.1963.11023339
  74. Chachamovich, E., Fleck, M., Laidlaw, K., & Power, M. (2008). Impact of major depression and subsyndromal symptoms on quality of life and attitudes toward aging in an international sample of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48(5), 593-602. doi.org/10.1093/geront/48.5.593
  75. Chang, Q., Chan, C. H., & Yip, P. S. F.(2017) A meta-analytic review on social relationship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Social Science & Medicine. 191, 65-76. doi.org/10.1016/j.socscimed.2017.09.003
  76. Dean, P. J., & Range, L. M. (1996). The escape theory of suicide and perfectionism in college students. Death studies, 20(4), 415-424. doi.org/10.1080/07481189608252790
  77. Dormann, C. F., Elith, J., Bacher, S., Buchmann, C., Carl, G., Carre, G., ... & Munkemuller, T. (2013). Collinearity: a review of methods to deal with it and a simulation study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Ecography, 36(1), 27-46. doi.org/10.1111/j.1600-0587.2012.07348.x
  78. Erikson, E. H., & Erikson, J. M. (1997). The Life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New York: W.W. Norton & Company.
  79.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80. Giblin, S., Clare, L., Livingston, G., & Howard, R. (2004). Psychosocial correlates of late-onset psychosis: life experiences, cognitive schemas, and attitudes to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7), 611-623. doi.org/10.1002/gps.1129
  81. Harlow, L. L., Newcomb, M. D., & Bentler, P. M.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1), 5-21. doi.org/10.1002/1097-4679(198601)42:1<5::aid-jclp2270420102>3.0.co;2-9
  82. Havighurst, R. J., & Glasser, R. (1972). An exploratory study of reminiscence. Journal of gerontology, 27, 245-253. doi.org/10.1093/geronj/27.2.245
  83.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 역). 서울: 신영사. (원서출판 2013).
  84. Ho, H. C., Yeung, D. Y., & Kwok, S. Y.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3), 187-197. doi.org/10.1080/17439760.2014.888577
  85. Ingrand, I., Paccalin, M., Liuu, E., Gil, R., & Ingrand, P. (2018). Positive perception of aging is a key predictor of quality-of-life in aging people. PLoS ONE, 13(10), Article e0204044. doi.org/10.1371/journal.pone.0204044
  86. James, J. B., & Zarrett, N. (2005). Ego integrity in the lives of older women: A follow-up of mothers from the Sears, Maccoby, and Levin (1951) patterns of child rearing study.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2(4), 155-167. doi.org/10.1007/s10804-005-7084-y
  87. Kernberg, O. F. (2012). Resenha: The inseparable nature of love and aggression: clin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60(6), 1334-1339. doi.org/10.1177/0003065112465645
  88. Kohout, F. J., Berkman, L. F., Evans, D. A., & Cornoni-Huntley, J.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2), 179-193. doi.org/10.1177/089826439300500202
  89. Krause, N. (2004). Stressors arising in highly valued roles, meaning in life, and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59(5), S287-S297. doi.org/10.1093/geronb/59.5.S287
  90. Lai, D. W. (2009). Older Chinese'attitudes toward aging and the relationship to mental healt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48(3), 243-259. doi.org/10.1080/00981380802591957
  91. Laidlaw, K., Power, M.J., Schmidt, S., & WHOQOL-Old Group (2007). The attitudes to ageing questionnaire(AAQ):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 367-379. doi.org/10.1002/gps.1683
  92. Lee, H., Seol, K. H,, & Kim, J .W. (2017). Age and sex-related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elderly suicide: Differentiating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3(2), e300-e306. doi.org/10.1002/gps.4794
  93. Lester, D., & Young, L. (1999). External versus internal attributions in suicide and their implications for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Psychological reports, 85(2), 393-396. doi.org/10.2466/pr0.1999.85.2.393
  94. Levy, B. R., Slade, M. D., Kunkel, S. R., & Kasl, S. V. (2002). Longevity increased by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2), 261-270. doi.org/10.1037/0022-3514.83.2.261
  95. Luoma, J. B., Kohlenberg, B. S., Hayes, S. C., & Fletcher, L. (2012).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argeting shame in substance use disord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0(1), 43-53. doi.org/10.1037/a0026070
  96. Oh, D. J., Park, J. Y., Oh, M., Kim, K., Hong, J., Kim, T., ... & Kim, K. W. (2015). Suicidality-based prediction of suicide attempts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Osan Mental Health Surve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84, 286-292. doi.org/10.1016/j.jad.2015.06.010
  97. Pan, Y., Chan, S. H., Xu, Y., & Yeung, K. C. (2019).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perception of ageing among elderly people in China: An exploratory study in comparison between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84, 103910. doi.org/10.1016/j.archger.2019.103910
  98.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doi.org/10.3758/brm.40.3.879
  99. Quinn, K. M., Laidlaw, K., & Murray, L. K. (2009). Older peoples' attitudes to mental illnes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 Practice, 16(1), 33-45. doi.org/10.1002/cpp.598
  100.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101. Ryff, C. D., & Heincke, S. G. (1983). Subjective organization of personality in adulthood and ag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4), 807-816. doi.org/10.1037/0022-3514.44.4.807
  102. Rylands, K. J., & Rickwood, D. J. (2001). Ego-integrity versus ego-despair: The effect of "accepting the past" on depression in old er wome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3(1), 75-89. doi.org/10.2190/1ln2-j92c-2168-thph
  103. Santor, D. A., & Zuroff, D. C. (1994). Depressive symptoms: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and failing to accept the pas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3(2), 294-312. doi.org/10.1207/s15327752jpa6302_9
  104. Smith, J. L., & Bryant, F. B. (2019). Enhancing positive perceptions of aging by savoring life lessons. Aging & mental health, 23(6), 762-770. doi.org/10.1080/13607863.2018.1450840
  105. Stanley, I. H., Hom, M. A., Rogers, M. L., Hagan, C. R., & Joiner Jr, T. E. (2016). Understanding suicide among older adults: a review of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theories of suicide. Aging & mental health, 20(2), 113-122. doi.org/10.1080/13607863.2015.1012045
  106. Stinson, C. K., & Kirk, E. (2006). Structured reminiscence: an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increase self-transcendence in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2), 208-218. doi.org/10.1111/j.1365-2702.2006.01292.x
  107. Torges, C. M., Stewart, A. J., & Duncan, L. E. (2008). Achieving ego integrity: Personality development in late mid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4), 1004-1019. doi.org/10.1016/j.jrp.2008.02.006
  108. Tornstam, L. (2005). Gerotranscendence: A developmental theory of positive aging. New York: Springer.
  109. Van Hiel, A., & Vansteenkiste, M. (2009). Ambitions fulfilled? The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 attainment on older adults' ego-integrity and death attitud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8(1), 27-51. doi.org/10.2190/ag.68.1.b
  110. Waern, M., Rubenowitz, E., & Wilhelmson, K. (2003).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49(5), 328-334. doi.org/10.1159/000071715
  111. Weissman, M. M., Sholomskas, D., Pottenger, M., Prusoff, B. A., & Locke, B. Z. (1977). Assessing depressive symptoms in five psychiatric populations: a valid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6(3), 203-214. 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2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