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capularis tea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 수술전 기능의 예비 보고 (The Proprioceptive Function of Rotator Cuff Tear Patients: Preliminary Report of Pre-operative Function)

  • 이현일;허재원;유재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6
    • /
    • 2013
  • 목적: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은 견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 대하여는 크게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고 특히 파열크기, 견갑하근의 파열 유무 등에 따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회전근개의 파열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 76예(남자 28명, 여자 48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나이는 61.7세(범위, 38세~76세)였다. 수술전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 평가를 위하여 외회전 및 내회전에 대한 위치 감각(joint position sense)를 측정하였고 방식은 능동적 재위치법(active re-positioning)을 사용하였다. 정해진 회전 각도와의 편차의 절대값을 측정하였다. 회전근개의 파열 크기, 견갑하근의 파열 유무, 통증(pain visual analogue scale), 견관절 기능 점수(American society of elbow and shoulder score), 견관절 운동 범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외회전의 경우 정상 관절은 $4.9^{\circ}{\pm}2.9^{\circ}$, 이환된 관절은 $4.9^{\circ}{\pm}3.0^{\circ}$의 절대 편차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p=0.87). 내회전의 경우 정상관절은 $4.0^{\circ}{\pm}2.7^{\circ}$인데 비하여 이환된 관절은 $4.8^{\circ}{\pm}3.7^{\circ}$로 편차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3). 회전근개의 파열 크기에 따라 파열이 더 큰 경우(중파열 이상)가 파열이 더 작은 경우(부분파열 및 소파열)에 비하여 내회전의 고유감각기능 감소가 더 뚜렷한 경향을 보였으며(5.0 vs. 4.0, p=0.061), 견갑하근의 파열이 있는 환자군에서 내회전의 고유감각 기능 감소가 더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4.8 vs. 4.0, p=0.065). 통증이 클수록, 견관절 기능 검사 점수가 낮을수록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이 감소하였으며(각각 p=0.04 및 p=0.005) 견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있는 환자군에서 내회전 고유감각기능이 더욱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5.3 vs. 3.7, p=0.041). 결론: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이는 회전근개의 파열 정도가 심하고 견갑하근의 파열이 동반된 경우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통증이 심하거나 견관절 기능 점수가 낮으며 운동 범위의 제한이 있는 경우 내회전에 대한 고유감각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상부 견갑하 건 완전파열의 관절경 하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의 전향적 비교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Arthroscopic Repair Versus Debridement for the Full-Thickness Tear of Upper Subscapularis)

  • 고상훈;차재룡;이채칠;박한창;신승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79-85
    • /
    • 2010
  • 목적: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 부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을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을 시행한 69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3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UCLA 와 ASES 중 일상생활지수 (ADL)과 통증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1군과 2군 모두 UCLA, ASES score, ASES score 중 통증에 대한 VAS 점수, 5점을 만점으로 한 내 회전 근력평가평가에서 술 전 보다 술 후 결과가 향상되었다. 1군과 2군의 비교에서 술 후 UCLA 및 VAS 점수는 p>0.05로 차이가 없었고, ASES점수 및 내 회전 근력에 대한 평가는 p<0.05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상부 완전파열 시 견갑하근 봉합술은 단순 변연절제술보다 좋은 치료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시행한 관절경하 봉합 나사를 이용한 봉합술 (Arthroscopic Treatment with Suture Anchor for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ar)

  • 문영래;안기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37-141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의 하나인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부 봉합술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의 단독손상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이 없는 견갑하근 단독 손상이었고,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가 19예, 상부 2/3인 경우가 7예, 완전 파열인 경우가 3예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2.2개월 (6~26개월) 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constant shoulder score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후 constant shoulder score 는 술 전 평균 $49.9\pm7.3$ 에서 술 후 평균 $73.8\pm3.0$으로 constant shoulder score 중 pain points 는 술 전 평균 $4.3\pm3.2$ 에서 술 후 평균 $11.2\pm3.0$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단독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견갑하근 봉합술은 좋은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of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for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s: A Preliminary Report

  • Cho, Nam Su;Shim, Hee Seok;Nam, Ju Hyun;Rhee, Yong Gir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3호
    • /
    • pp.130-136
    • /
    • 2016
  • Background: A novel technique for the repair of tears of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has been introduced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of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27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for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s. Finally, a total of 10 patients who could participate in at least a 6 month follow-up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and in a least 1-year follow-up on an outpatient basis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 mean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60.7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4.7 months. Two patients had concomitant tears of the supraspinatus tendon and 8 patients had concomitant tears of the supraspinatus and the infraspinatus tendons. Result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mproved after the patients had undertaken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The mean visual analogue scale score for pain during motion improved from 6.7 preoperatively to 1.4 at the final follow-up (p<0.001). The mean Constant score improved from 59.3 preoperatively to 79.6 at the final follow-up, and the mea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core, from 21.7 to 30.2, respectively (p<0.001 and p<0.001).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 was healed in every patient except one (90%), for the patient had suffered from a postoperative trauma that resulted in a retear. Conclusions: We found that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gives good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for the repair of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s. Arthroscopic intraarticular knotless fixation provided such a reliable and efficient restoration of the subscapularis tendon footprint that we anticipate it will become a widely-used procedure for upper subscapularis tendon tears.

Dynamic three-dimensional shoulder kinematics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s: a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subscapularis tears

  • Yuji Yamada;Yoshihiro Kai;Noriyuki Kida;Hitoshi Koda;Minoru Takeshima;Kenji Hoshi;Kazuyoshi Gamada;Toru Morihara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4호
    • /
    • pp.265-273
    • /
    • 2022
  • Backgrou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MRCTs) with subscapularis (SSC) tears cause severe shoulder dys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 of SSC tears on three-dimensional (3D) shoulder kinematics during scapular plane abduction in patients with MRCTs was examine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praspinatus (SSP) and infraspinatus (ISP) tears with SSC tear (torn SSC group: 10 shoulders) or without SSC tear (intact SSC group: 5 shoulders). Single-plane fluoroscopic images during scapular plane elevation and computed tomography (CT)-derived 3D bone models were matched to the fluoroscopic images using two-dimensional (2D)/3D registration techniques. Changes in 3D kinematic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The humeral head center at the beginning of arm elev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orn SSC group than in the intact SSC group (1.8±3.4 mm vs. -1.1±1.6 mm, p<0.05). In the torn SSC group, the center of the humeral head migrated superiorly, then significantly downward at 60° arm elevation (p<0.05). In the intact SSC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he superior-inferior translation of the humeral head between the elevation angles. Conclusions: In cases of MRCTs with a torn SSC, the center of the humeral head showed a superior translation at the initial phase of scapular plane abduction followed by inferior transl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SSC musc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 a superior-inferior direction in patients with MRCTs.

외상성 견갑하건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Subscapularis Tendon Tear)

  • 조수현;조형래;구정회;황태혁;박만준;최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0-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 중 견갑하건의 파열은 극상건이나 극하건의 파열 보다는 드물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생한 견갑하 건의 단독 파열에 대해 관절경하 봉합술 후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외상 후에 발생한 편측 견갑하건 파열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15예(남자 13예, 여자 2예, 평균 연령 46.2세, 범위: 35~52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견갑하건 이외의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의 동반은 없었고 견갑하건의 완전 파열이 9예, 상부 2/3의 파열이 6예였으며 술 후 최소한 2년간 추시 하였다(평균 28개월, 범위: 25~38개월). 술 후 최종 추시 상에서 기능적 평가는 Constant 점수와 미국 견주관절 학회 점수(ASES index)로 판정하였고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기능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Constant 점수는 술 전 41.5점에서 술 후 81.3점으로(P<0.05) ASES 점수는 술 전 46.4점에서 89.6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13예(87%)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완전 파열의 경우가 부분 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술 후 평균 13개월에 촬영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15예 중 12예(8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었고 봉합부의 연속성이 있는 경우보다 재파열된 예에서 술 후 견관절 기능적 점수가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외상성 견갑하건 단독 파열환자에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결과 동통, 견관절 운동역 및 근력의 유의한 향상 을 보였다. 술 후 봉합부의 연속성은 견관절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으며, 비록 완전파열의 경우가 부분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측와위에서 견인 기구 없이 시행하는 견관절경하 회전근 개 수술 (Arthroscopic rotator cuff surgery without traction system in the lateral position)

  • 문영래;정혁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50-54
    • /
    • 2003
  • Object: To evaluate the efficiencies of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surgery which is Performed without the traction system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Methods: Twenty-nine cases of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surgery performed without the traction system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were studied from February, 2002 to January, 2005. We performed a repair using the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or using the mini-open incision technique after the confirmation of rotator cuff tear, then, the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was performed after the confirmation of subacromial lesions Results: We could easily find the subscapularis tear which was often overlooked in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surgery performed with the traction surgery by the relaxation of the subscapularis, as the arm position was internally rotate about 45 to 70 degrees from abducted position. We found that the operation time was reduced 14 minutes shorter than the operation time of the controlled group which had the surgery with the traction system on the average.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no neurovascular complications from all cases. Conclusions: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surgery without traction system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provided the better visual field, easy manipulation of the joint and reducing operation time.

수술이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기 위한 수술 전 어깨 MRI 소견 (Preoperative Shoulder MRI Findings to Predict Subscapularis Tendon Tear Requiring Surgical Repair)

  • 정지훈;조영훈;김여주;이승훈;류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71-183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MRI의 다양한 간접 소견 중 어떤 소견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는 데 가장 주요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견갑하건 파열의 직접평가,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 상완골두의 후방위, 상완골 회전, 견갑하근의 지방변성과 위축을 평가하였다. En-face 보기에서 부리돌기의 끝과 관절오목의 기저를 연결한 base-to-tip line (이하 BTL)을 이용한 육안 등급 및 두께 측정을 통해서 위축을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 시술에서 31명(36%)의 환자가 Lafosse type III 또는 IV의 견갑하건 파열을 보여, 재건수술을 받았다.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p = 0.002),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2), 견갑하근의 지방 변성(p < 0.001), BTL 등급(p = 0.003)은 견갑하건 파열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1, odds ratio [이하 OR] = 5.14)와 견갑하근의 지방변성(p = 0.046, OR = 2.81)은 견갑하건 파열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결론 상완골두의 후방위와 지방변성은 견갑하건 파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판독하는 것은 최적의 수술 전략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