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bjective level of health

검색결과 816건 처리시간 0.031초

여성지체장애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ly Challenged Women's Health Condition On Quality of Life)

  • 김소희;김초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9
    • /
    • 1999
  • A human being's pursuit is that of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the disabled naturally want to do so. But challenged people's lives have not improved apace with the general development of our society as a whole. Specially, in a patriarchal society like Korea, challenged women are in a less favorable situation. Challenged women can enjoy more healthy and more happy life in a given condition. Thus, in this research, we closely examined the women's general characteristics, disabled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ubjective health condition, experiences of diseases, stress value, etc), satisfaction value of life who have handicaps of limb or/and body. On the 17th of September through the 14th of October '98, a nation-wide retardation compaign was held and 200 people were served by telephone. Then we analysed primary factors on quality of life. As results, monthly income, how they think of their economic level,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the stress level that the success depends on self influenced quality of life.

  • PDF

주관적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 김수린;김주현;주경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65-92
    • /
    • 2018
  • 노년기 건강과 우울의 긴밀한 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열악한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위험을 높이는 것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목적하에,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과 고령층의 연령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조사된 "2017연령통합설문조사"에 참여한 전국 55세 이상 성인 492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였는데, 이 같은 경향은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더 양호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의 경우 완화되었다.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경향이 고령층의 모든 연령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고령층의 연령이 평균(66.6세) 및 그 이상인 경우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 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취약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는 완충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을 통해 고령층의 건강증진과 우울예방에 기여할 몇 가지 제언을 논의하였다.

일지역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 우울, 삶의 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 박형숙;김상금;조규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79-488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women from 40 to 64 years of age. Climacteric symptoms were measured with Neugarton's tool(1965) and depression with Zung's tool. Quality of life was related to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were education level (F=3.011, p=.035), income measured by Rho's tool(1988). Result: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level (F=2.670, p=.057), income satisfaction (F=3.413. p=.011), perceived subjective health condition(F=28.623, p=.000).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were age(t=-2.476, p=.014), education level (F=4.492, p.013). income satisfaction (F=2.845, p.026), perceive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 = 8.468, p=.00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income level (F= 5.010, p=.000), income satisfaction (F=6.314, p=.000), perceive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3.516, p<=.032). menstruation cycles(t=-2.66, p=.02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had a statistically a positive correlation (r=.357, p=.000).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had a statistically with a negative correlation(r=-.397, p=.000).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Therefore, health programs for prompting climacteric women´s health should be a planned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PDF

노인의 연령별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y Age)

  • 홍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20-430
    • /
    • 2022
  • 이 연구는 전기노인(65세~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태, 질병이환, 의료이용,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해 보고자 하였다. 평가를 위해 2015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5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SAS 9.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전기노인이 후기노인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경제활동 유무, 중등도 신체활동 유무, 스트레스인지 유무, 주관적 건강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건강 수준,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이 나쁨과 좋음의 차이는 변수들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세대유형에서 전기노인은 3세대인 경우, 후기노인은 1세대 인 경우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는 특징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여러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으로 노인을 위한 정책적인 프로그램이 시행된다면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성공적인 노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 전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98-3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여가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60세 이상의 농촌노인들로부터 324부의 구조화된 설문서를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에서 경제활동, 종교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종교 활동과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주관적 건강만족에, 경제활동은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농촌 노인의 여가활동에서 취미활동, 학습활동 및 사교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 소일거리가 주관적 건강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이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비고령 근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in Elderly Workers: A Comparison with Non-Elderly Workers)

  • 이복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2-48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working condi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work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extracted from the 2014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For the present analysis, 15,980 elderly workers over the age of 55 and 32,037 non-elderly workers under the age of 55 were selected. Results: The prevalence of subjective unhealthy status and poor mental health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elderly workers than the non-elderly workers. The elderly wor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an the non-elderly workers. They also reported less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nagers, however, have more decision authority. Among the elderly workers, long working hours, awkward posture, physical environmental risks, quantitative demand, decision authority, social support, age discrimination,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r mental health. Conclusion: For keeping elderly workers healthy and productive, work environment needs to become more age-friendly. An age-friendly workplace may include: accommodative support, workers' participation, minimization of environment risk, etc.

스트레스 인지 성인의 나이에 따른 우울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by Age)

  • 권명진;김선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47-758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20-50대 성인 3,333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20대의 경우 학력, 건강 관련 삶의 질, 비만, 체중변화, 흡연,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3%였다. 30대의 경우 성별,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와 동거,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음식섭취량, 비만, 음주, 흡연,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3%이었다. 40대는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 동거, 경제활동여부, 건강 관련 삶의 질, 흡연, 유산소 운동,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34.4%이었다. 50대에서는 성별, 학력, 소득,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단백질 섭취, 지방 섭취, 고혈압, 당뇨병, 체중조절, 유산소운동, 주관적 건강,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2.3%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을 낮추고자 할때 연령별 중재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Community)

  • 백경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01-107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충북 제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48명을 대상으로 단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7월 3일부터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동거인 유무, 치아 수, 교육수준 및 종교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들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44.3% 설명했다. 따라서 건강관리 제공자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치아 상실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0대 성인의 우울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7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ve Mood Experience of Adults in Their 20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or 2017)

  • 김경숙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1-230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ve mood experience of adults in their 20s.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hat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which is conducted annually in Korea. The study targets 21,324 adults in their 20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reating a composite sample plan file that reflected layering variables, colony variables, and weights. Results: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ve mood experience were suicide thought experience, subjective stress level, gender, monthly household income, smoking status, subjective health level, breakfast statu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whether the Internet, games, and smartphone interfered with daily life (p<0.05).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alize a system that enables early detection and support of depression and suicide high-risk groups at the individual, home,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치과위생사의 실내공기질에 의한 자각증상 특성 (A subjective symptom on indoor air quality in dental hygienist)

  • 최미숙;손부순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4호
    • /
    • pp.1-10
    • /
    • 2006
  • This research is based on self-filling survey which 220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seoul participated on July 2006 through August 2006. This survey was analyzed the experience item and occurred time of the symptoms and the time of acute and vanish of the symptoms that dental office's working environment effects on physical subjective symptom. We suggest a plan to minimizing physical subjective symptom for health manage of dental hygienist. We found out the fact that dental hygienists were unsatisfied with hospital air condition and this polluted air condition cause them physical subjective symptom in work place. As follows analyzed results ventilation time is below the 3-times a day, this may be have some trouble in indoor air quality. The experience the symptoms level is higher then non-experience level in "Fatigue and sleepiness", "Dorsalgia, omarthralgia, cervicodynia", "Hypersensitivity", "Dry eye, itch, smarting", "Headaches" and a subjective symptom is occurred at after 11:00(am) more then 60%, 50% of the dental hygienist. This experience the symptom' pain is vanished after the work and reduced when go out the office and building,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experience the symptoms and starting time the symptoms is anywhere from 12 noon to 4 pm (73.2%) in a day. The time of acute pain the symptoms is anywhere from 12 noon to 4 pm (78.7%) refer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