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and Contents

검색결과 1,877건 처리시간 0.032초

소규모 사업장 산업간호사의 업무활동 분석 (A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Activities in Small Scale Industries)

  • 김현리;이명숙;김명순;정문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occupational health nursing of support-project of health management skill for small-scale industries. The 2 subject centers were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and data collection period was 2weeks from September 1 to 13. 1997 and time and motion study method was used. Data was handled by SPSS win 7.5 program. results were worked out number. percentage. F-value. (1) The weekly time spending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was distributed into indoor service 46.9%, outdoor service 26.6%, movement 26.5%. The mean visiting times were 2-3 times per week. and spending time was about 1 hour per industry. (2)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stribution of time spending according to industrial works(F=23.08. p=.000). and the special education for occupational disease prevention takes the most mean time.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pending time for the health coach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F=188.79. p=.000). and the activity time for workers (58.4%) was more than that of for monitors(41.6%). The frequency of health coachs were 155 times for monitors during two weeks. but health coach for worker was 87 times. As a results. the contents of health coach for workers was proved to take more time than that for monitors. Perhaps we think that monitors has limitation for health management. therefore we should be consider flexible management of visiting time and health coach guidelines for occupational health nurse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stribution of time spending according to health coach methods for industrial health nurses(F=66.31. p=.000). The most frequent method of all was guide transmission. 159 times(65.7%), and the mean spending time for instruction was 19.78 min. the longest time. Our suggestion for occupational health nursing of support-project of health management skill for small-scale industry is that the need of each industry is very complex because of various conditions. therefore need assessment for industries should be conducted professionally. And occupational health nurses should apply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rocess autonomously. and their activities be guaranted by the guideline

  • PDF

대학생의 도서관불안 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asing Library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 박현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1-42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양과목으로 도서관이용교육을 5주간 실시한 후, 대학생의 도서관불안에 대한 사전과 사후의 차이와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서관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대학의 1학년 교양필수교과를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도서관이용교육 내용은 도서관의 조직 및 기능 이해, 도서관 자료의 조직, 학술정보의 종류 및 이용방법,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기술, 도서관에서의 저작권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2차례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교육 첫주인 2006년 9월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는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로 교육 마지막 주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 수는 92건이었다. 측정도구는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는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불안도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중에서 4개 요소가 교육이전보다 교육이후에 완화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기억력, 우울,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Foo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on Subjective memory,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Elders Attending Senior Citizen Clubs)

  • 김소영;김다현;박은진;변지연;진민경;홍민초;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71-1179
    • /
    • 2020
  • 본 연구는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주관적 기억력, 우울,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은 S시에 위치한 2곳의 경로당 이용 노인 대상자 36명이 참여하였으며, 2020년 1월 8일부터 2월 17일까지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 자기표현의 변화를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적 이완활동, 인지활동 및 다양한 '푸드'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과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주관적 기억력(t=2.67, p=.011), 우울(t=3.88, p<.001), 자기표현(t=2.09, p=.044)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우울 감소와 기억력 및 자기표현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원로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An Interpretive Inquiry into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 이정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11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losely to explore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had over 3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interpretive(or hermeneutic) inquiry. The entry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like?' Seven senior elementary teachers working for O elementary School in G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luntarily.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wice in a consecutive manner. 14 periods of interview were completed all together and each period took about 40-60 minut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guidance experiences of the senior elementary teachers(participant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guidance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conceptualized as 1) supporting and car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lead joyful school life, 2) assist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grow on good basic life habits, 3) character build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lead integrative growth. Second, the fields and contents of guidance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conceptualized as basic life habits, manners, and health & safety. Interestingly, these concepts were evolved in connection with their personal,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s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ird, the guidance methods frequently used by the participants were co-work with parents, exemplary storytelling, counselling, and praise. The participants applied these method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ade, individual difference, and school curriculum policy to some degree. Fourth,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a lot of struggles with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doing their guidance practices throughout the whole teaching career. Their guidance experiences commonly shifted from more teacher-centered or authoritative to more student-centered or relational way as their teaching years accumulated. Interestingly, all the participants more or less lived as lifelong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right space as senior teachers in today's competitive and challenging landscap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responsible teacher education can playa great role of enabling senior teachers to cope with guidance issues successfully. Compared with the speedy social change, the teacher education in Korea had been so authoritative, provider-based, subject-based until recently and it have not met the needs and wants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field. This trend has significantly hindered them from catching up with the needs of the speedy social change in terms of contemporary guidance issue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data is solely collected based on interview. So, an observational research is strongly suggested in order to uncover the situated understanding of the guidance experiences of elementary senior teachers.

  • PDF

유학에서 나타나는 심성구조 및 특성 (A specific character and structure of human nature in Confucian)

  • 박영목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41-251
    • /
    • 2005
  • 유학은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탐구를 2,000여 년에 거쳐 해온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유학에서의 인간의 심성에 대한 관점과 연구방법은 현대의 감성과학에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학에서의 인간심성을 유학의 전반적 개념과 퇴계 이황의 개념으로 고찰하여본 결과 현대의 감성과 유사한 정(情)이라는 개념이 있었으며, 본 마음(性)의 발로의 결과인 정의 좋음과 나쁨의 관점은 정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좋은 정과 나쁜 정으로 구분된다고 하여 정의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왜곡됨 없이 발현된 정이 좋은 정, 즉 감성이라 하고 있어 현대의 감성의 호악과는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성을 파악하는 구조는 심성작용이 일어나는 형식구조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내용과 작용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관점으로 파악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인지, 감성, 생리, 철학 등의 관점이 총체적 ·종합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심성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종합결론으로서는 유학에서도 인간의 심성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오랜 기간 수준 높게 진행되었으며, 현재 감성과학에 부분적인 참고와 도움뿐만이 아니라 감성과학의 지향점을 찾는 데 중요한 관점과 지식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알 수 있었다.

  • PDF

그린커피교육 교과과정 기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iculum standards model of Green Coffee Education)

  • 신혜경;백현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03-122
    • /
    • 2013
  • 커피는 산지와 재배 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지고 결정되어지므로, 커피의 향미와 품질은 그린커피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커피교육은 커피 로스팅, 추출, 서비스 등의 바리스타 실무교육에만 주력하고 있고 그린커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그린커피 교육을 위하여 교과과정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교과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커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린커피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 현황을 살펴본 후 그린커피교육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고, 또 현재 커피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그린커피교육의 필요성과 교육현황을 설문하였다. 또한 커피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그린커피의 교육 방향 및 학습 요인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린커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교과명 및 학습 단원을 조직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제안하였다.

고구마의 저장(貯藏)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V. 품종(品種)에 따른 저장성(貯藏性), 수지함량(樹脂含量) 및 고구마칩의 가공조건(加工條件)- (Studies on the Storage and Utilization of Sweet Potatoes -IV. Storing Capacity, Resin Content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Sweetpotato Chips of Different Varieties-)

  • 김호식;이춘영;김재욱;이서래;이계호;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23-130
    • /
    • 1969
  • 고구마의 장려품종(奬勵品種)인 충승 100호, 수원(水原) 118호(號), 수원(水原) 147호(號), 신미(千美), 신미(新美)의 오품종(五品種)에 대하여 저장성(貯藏性), 가공적성(加工適性) 및 새로운 가공식품(加工食品)으로서 고구마칩의 제조조건(製造條件)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 중에서 냉해(冷害) 및 연부병(軟腐病)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을 보면, 천미(千美), 수원(水原) 147호(號)가 가장 컸고 기타 3품종(品種)은 비교적 적었다. 2) 고구마중의 수지함량(樹脂含量)과 polyphenol 함량(含量)은 품종(品種)에 따라 많은 차이(差異)가 있었다. 3) 고구마의 품종(品種)에 따라 색상(色相)이 다른 고구마칩을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튀김용 기름으로는 채종유(採種油)가 최적(最適)임 을 알았다. 4) 고구마칩 제조방법(製造方法)으로는 두께 $1{\sim}2mm$의 박편(薄片)을 $40^{\circ}C$의 0.25% 산성아황산(酸性亞黃酸) 소다 수용액에 $30{\circ}40$분 침지(浸漬)한 후 $150{\sim}160^{\circ}C$의 유용(油溶)에서 $2.5{\sim}3.5$분간(分間) deep frying 하는 것이 선명(鮮明)한 색과 적당한 texture의 고구마칩을 얻는데 최적조건(最適條件)임을 확인(確認)하였다. 5) 고구마칩의 포장재료(包裝材料)로서는 polyethylene-cellophane film 이 방습도(防濕度) 및 파열강도(破裂强度)에 있어서 가장 우수(優秀)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GC-MS를 이용한 석유제품 중의 식별제 분석 (Determination of fuel marker in petroleum products using GC-MS)

  • 연주민;도진우;임의순;이정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73-1080
    • /
    • 2018
  • 연료유로 사용되는 석유제품은 각각의 품질기준, 등급,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국가별로 유류에 세금을 부과하는 정도에 따라 동일한 석유제품이라 하더라도 가격차이가 발생한다. 가격이 저렴한 비과세의 석유제품을 상대적으로 고가인 수송용 연료에 불법적으로 혼합하는 행위로 인하여 탈세, 환경오염, 차량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석유제품간 불법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석유제품에 미량의 식별제(Marker)를 법적으로 첨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가정용 및 상업용 연료로 사용되는 등유를 자동차용 경유에 불법적으로 혼합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제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UV-Vis 분광광도계나 HPLC를 이용하여 식별제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식별제 함량 분석을 위해 발색제를 첨가하거나 시료를 전처리하는 조작없이 GC-MS로 석유제품에 첨가된 식별제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업의 증거기반 설명책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for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of Corporations : Focusing on Sustainability Reports)

  • 정미리;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45-92
    • /
    • 2016
  • 기업은 자신들의 경제 환경 사회적 영향 및 성과에 대해 설명책임의 수단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법적 규제인 재무 공시와는 달리 '지속가능성' 보고는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기업들의 성과를 보고하는 것이기에 이에 대한 신뢰성은 기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발간되는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지표 데이터에 대한 증거나 출처를 포함할 수 없는 유형으로,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신뢰성에 대한 의혹이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업무에 대한 내용과 맥락이 담긴 기록으로 기업의 설명책임을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기반 설명책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해 보았다. 증거기반 설명책임이란 행위에 대한 증거 기록을 생산 및 축적하고 이용가능한 정보로 관리하여 설명책임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 기업에서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지표데이터 유형과 영국 보다폰의 웹 기반 보고서 사례를 살펴보고, 업무 기록을 지표 데이터의 증거로 연결할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록을 증거로 확보할 수 있도록 기록의 생산체계를 재설계하였다. 업무 중 생산된 기록을 SR(Social Responsibility)설명책임정보로 취합 및 관리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SR시스템(Social Responsibility System)과 기록관리시스템(RMS)의 연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직체계 및 규정을 통해 기업의 전문적인 기록관리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관련 업무 담당자와의 협업을 통해 기업의 신뢰성 있는 설명책임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이야기했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정리단계에 적용한 창의적 과학연극 수업의 효과 (Impact of Creative Science Drama during the Class-closing Stage on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 김지숙;최선영;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409-420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과학 수업의 정리단계에서 창의적 과학연극을 사용하는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창의적인 과학연극은 수업의 정리활동으로서 교사가 학습주제에 대한 기본 대본을 제공한 후 나머지 이야기를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대본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윤혜경(2016)의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과학연극 수업을 고안하였고, 이 연구의 과학수업 내용은 3학년 1학기의 자석의 이용, 지구의 모습단원을 중심으로 지도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에 있는 H초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연극을 통한 과학학업성취도에서는 실험반에서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태도는 ANCOVA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과학연극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연극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들 면담 결과, 과학연극 대사를 작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과 모둠활동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맞추는 토론과 협동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과학연극을 한 경험은 즐겁고 재미있었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고, 배운 내용을 과학연극으로 하게 되어서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