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Specialist Educa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Review on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Vestibular Disorder

  • Kwon, Yong Hyun;Ko, Yu 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9권6호
    • /
    • pp.316-323
    • /
    • 2017
  • Effort to improve balance abilit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has been constantly issued and developed up to now. A variety of subcomponent of postural control including function and cognition should be needed in many body systems and be complicatedly linked to each system. In South Korea, although decreased postural dysfunction due to neurological or musculoskeletal disorders has been well documented, we do not have many experience and knowledge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for maintain and improve balance function. In the United States, vestibular physical therapy is already acknowledged as clinical subspecialty by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However, there is no curriculum subject related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standard education of physical therapy and no specialist who has clin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is realm. Therefore, we reviewed general information and basic knowledge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such as current state of vestibular disorder in South Korea, pathology, major causes of vestibular dysfunction including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s, vestibular neuritis,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nd central disorder, evaluation of vestibular dysfunction, and treatment for vestibular dysfunction new approaches. We expect that physical therapist in South Korea recognize clinical significance of vestibular exercise and that clinical concern and research will be begun in near future.

영어체험센터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Activation plan and Status of English Experience Center)

  • 김정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61-470
    • /
    • 2012
  • 글로벌 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공용어인 영어의 필요성이 끈임 없이 논의되는 현재 상황에서 정부는 1997년 영어를 초등학교의 정규교과로 채택하였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영어전담교사는 물론 원어민 영어 강사까지 배치하는 정책 변화가 있어 왔다. 또한 영어교육은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사설 기관 및 정부차원의 영어 관련 교육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지자체에서 영어교육의 관심이 증대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런 현상들을 반영하여 나타난 것이 대표적으로 영어마을 이라 하겠다. 서울 경기지방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각 지역에 맞는 영어마을을 직접운영하거나 민간업자에게 위탁 경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체험센터 및 영어마을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고 또한 영어체험 센터를 수료한 학생들의 성취도등을 선행연구로 조사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현재 운영중인 영어마을, 그리고 체험센터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 대부분의 영어마을 체험센터는 나름대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분석 자료로 사용한 서울과 경기 부산 영어마을 그리고 전라남도 영어체험 프로그램의 자세한 내용과 그것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가족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건강가정사의 관점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Perspectives on Family Service Practice)

  •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7호
    • /
    • pp.21-35
    • /
    • 2012
  • Based on the premise that perspectives or the frame of cognition may affect the ways that family practitioners support or intervene in famil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CHFS) on family practice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 total of 9 CHFSs gave information about their beliefs and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in in-depth interview. Additionally, 5 CHF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gave information about their values, beliefs, and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Through qualitative analyses, four perspectives were found to be explicitly or implicitly carried by CHFSs: System theory perspective, Strengths perspective, Family cognition perspective, and Public intervention perspective. These four perspectives are currently leading themes of family research and are prospected to prevail in family support and intervention practice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es, directions and range of influence in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perceived by CFHS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subject of Healthy Family Project, the CHFSs' aims, and emphasis on family practice were dealt with, and developmental direction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CFHSs in the dimension of practice and policy in the future were implied.

통계적 가설검증의 이해를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 집단간의 평균비교를 중심으로 - (Developmemt of a Program to Understand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 with mean comparisons between groups -)

  • 최숙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7-11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가설검증을 학습자 스스로 실행시켜 보면서 배울 수 있는 통계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통계적 가설검증은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주장이나 예측을 하고자 하는 학문분야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개념이며 이의 정확한 적용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실제 적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통계학의 오용과 남용의 폐해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계학을 쉽고도 올바르게 교육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통계 비전공자들이 좀 더 쉽게 통계적인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소리, 동영상과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환경 하에서 구현된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계산결과가 아니라 원리와 과정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따라 하면서 자연스럽게 통계적 가설검증의 절차와 의미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9-282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Meaning of Good Dying of Chines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Taiwan

  • Chao, Co-Shi Chantal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2-17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hermeneutic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good dying" of Chines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Taiwan; the factors related to this morning; and the strategies cancer patients used to ensure "good dying".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prolonge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review of clinical records were selected as the methods for data collection. In the four and one-half month period of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was in the role of a full time clinical nurse specialist who directly took care of the subject patients in 4 hospitals and in patients' homes. The 20 subject were selected purposively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and various demographic backgrounds. Interview transcripts and field notes comprised the data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composed by 3 constitutive patterns and 12 themes. Achieving inner peace appeared to herald the good dying state. The "good dying" for Chines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Taiwan meant peace of body, peace of mind, and peace of thought. The constitutive pattern of peace of body included 4 themes: (1)minimizing the agony of physical symptoms; (2)short period of dying process without lingering death; (3) cleanliness, neatness, and integrity of the body; and (4) mobility. The constitutive pattern of peace of mind included 5 themes: (1) yielding; (2) non-attachment; (3) not to be lonely; (4) settle down all affairs; and (5) being in a preferred environment and enjoying nature. The third constitutive pattern of peace of thought included 3 themes: (1) getting through day by day without thinking; (2) meaningful life; and (3) expectation that the suffering would be ending.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needs in their meanings of "good dy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humanistic 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recommendations for care givers daily contact with dying patients and for medical and nursing education.

  • PDF

사서교사 직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on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 이승민;임정훈;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7-1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IP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서교사들은 교사와 경영자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정보 전문가, 협력적 리더 영역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전문가 영역에서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데이터 사이언스, 코딩, 사물인터넷 영역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영역에서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경영자 영역에서 미래교육을 위한 시설 디자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메이커스페이스 및 러닝커먼스 구축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한 실행 평가 역량, 교과 연계 정보자료 컬렉션 구축 역량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여섯 번째,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요구 역량을 각 직무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창의·컴퓨팅사고 교육내용 기본 설계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mbin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design thinking)

  • 오경선;서응교;정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65-73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현 시대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대학에서 진행하는 비전공자 대상 소프트웨어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씽킹 개념과 컴퓨팅사고요소간의 관계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길러내기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방향을 알아보고 디자인씽킹 기반의 컴퓨팅사고를 위한 두 개 수준별 교육내용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수준에서는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디자인씽킹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전체 내용을 구성하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프로세스부터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컴퓨팅사고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2수준에서는 수렴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1수준의 내용인 다양한 아이디어와 스토리를 컴퓨팅으로 구체화하여 실현하기 위한 컴퓨팅사고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의 비전공 대상의 SW기초교양으로서 교육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Formation of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Culture Among the Students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 Vakulyk, Iryna;Koval, Valentyna;Lukiianchuk, Inna;Romanenko, Nataliia;Grygorenko, Tetyana;Balalaieva, Olena;Oros, Ildik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75-82
    • /
    • 2022
  • Analyzing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 we found th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problem posed. The concept of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which is interpreted as the level of realization of creative abilities, exchange of messages, organiz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mutual knowledge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ly directed interaction between subjects, in whic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ise, manifest and form. The concept of "professional culture of communication of a teacher" is interpreted. The motives that are socially significant in the professional communication of the teacher are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forming a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in particular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present, is clarified. The interactive component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people in everyday life (ritual and entertainment interaction, joint purposeful activity, no interaction, game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are identified. Traditional and specific forms and methods of teaching are written out. All interactive technologies carried out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onvention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form of educational activity appropriate for their use (pair (work of the subject with the teacher or peers one on one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rontal (the teacher simultaneously teaches a group of subjects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or cooperative (all subjects teach each other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dividual (independent work of the subject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future specialists should learn knowledge, acquire skills on the basic rules of the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s of interaction and their effective use, which is possible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Recommendations for optimal professional communication have been developed that help you express your thoughts easily and beautifully, and conduct a dialogue in a relaxed and harmonious way.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2-4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