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aeda japonica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and environment factors in salt marshes along the eastern Yellow Sea

  • Chung, Jaesang;Kim, Jae Hyun;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64-276
    • /
    • 2021
  • Background: Salt marshes provide a variety of ecosystem services; however, they are vulnerable to human activity,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climate chang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nt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alt marshe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diction of changes during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the current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evaluated in the tidal flat at the southern tip of Ganghwa, Korea, where salt marshes are well-developed. Results: The vegetation structure in Ganghwa salt marshe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cluster analysis: group A, dominated by Phragmites communis; group B, dominated by Suaeda japonica; and group C, dominated by other taxa. As determined by PERMANOVA,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altitude, soil moisture, soil organic matter, salinity, sand, clay, and silt ratios. A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based on the percent cover of each species in the quadra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and increased as the altitude increased and S. japonica appeared in soil with a relatively high silt proportion, while P. communis was distributed in soil with low salinity. Conclusions: The distributions of three halophyte groups differed depending on the altitude, soil moisture, salinity, and soil organic matter, sand, silt, and clay contents. Pioneer species, such as S. japonica, appeared in soil with a relatively high silt content. The P. communis community survived under a wider range of soil textures than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species was distributed in soils with relatively low salinity, with a range expansion toward the sea in areas with freshwater influx. The observe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may provide a basis for conservation under declining salt marsh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ix Halophytes in Korea

  • Lee, Jeong Min;Yim, Mi-Jin;Choi, Grace;Lee, Myeong Seok;Park, Yun Gyeong;Lee, Dae-S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40-4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ix halophytes (Limonium tetragonum,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Salicornia europaea, Triglochin maritimum, and Sonchus brachyotus). Depending 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pl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1) a high total polyphenol content group that included L. tetragonum, S. brachyotus, and S. europaea, and, (2) a low total polyphenol content group consisting of S. glauca, T. maritima, and S. japonica.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ssays, and by measuring ROS.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NO and $PGE_2$. L. tetragonum and S. brachyotus, that have high polyphenol content, also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L. tetragonum, S. brachyotus, and S. europaea showed goo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nsequent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refore, S. brachyotus and L. tetragonum are good candidates for use in pharm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일대의 식생 분포에 대한 연구 (Vegetation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n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 김은규;정영상;정형근;주영규;천소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4-505
    • /
    • 2007
  • 간척이 식생 분포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앞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서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식생과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의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 출현한 식생은 모두 염생식물로, 조간대는 3종의 염생식물이 출현하여 단순하였고, 만조대와 기수 지역은 각각 9종과 8종이 출현하여 조간대에 비하여 다양하였다. 식물종은 조간대에서 해홍나물(Suaeda maritima),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및 칠면초(Suaeda japonica)가, 기수 지역의 비침수 지역에서는 해홍나물, 갯질경 및 갯개미취(Aster tripolium)가, 기수 지역의 침수 지역에서는 갯댑싸리 (Kochia scoparia var. littorea)가 우점하였다. 토양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조간대 내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양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Na^+$$Cl^-$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식물종 간의 EC 농도는 동일지역 내에서는 유사하였으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는 동일종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식물종의 출현 유무는 토양환경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조간대 및 기수 지역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성과 토양화학성에 따라 다름으로써, 식생의 분포는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 이점숙;임병선;명현호;박정원;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2-110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18개 해안 염습지에서 생육지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서남해안 염습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염습지의 생육지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와 하구성 염습지로 구분하고, 2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는 점토성 염습지, 사질성 염습지, 사구성 염습지, 하구성 염습지는 염소택지와 기수성 염습지로 구분하였다. 생육지 유형별 주요 식물군락은 점토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칠면초군락, 사질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퉁퉁마디군락, 큰비쑥군락, 해홍나물군락, 사구성 염습지에서는 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염소택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하구 염습지에서는 칠면초군락,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나문재군락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 군락분포지역의 토양 환경은 염생식물의 생육지 특성에 따른 염생식물군락과 토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해안 염습지를 복원할 경우, 염습지를 대상으로 생육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 이화학적특성을 파악하여 생육지 조건에 맞는 염생식물을 선정하고, 이식한 후 자연식생이 형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시킴으로써 염생식물이 안정적으로 정착, 발아, 생장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V) - 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o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 Kim, Cheol Soo;Tae Gon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67-176
    • /
    • 1983
  • Species composition, life form, biomass and soil propertie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rom July to September, 1982. At the reclaimed land of Sanho-ri, sand dune of Jido, salt marsh of Suncheon Bay, and Somjin River estuary of Baealdo, species numbers were 26, 14, 13 and 7, dominant species were Salicornia herbaceae, Carex pumila and Suaeda japonica, respectively. Species composition of the 4 investigated areas was 13 families, 25 genera and 39 species, and of them, 10 families, 21 genera and 24 species were attributed to halophytes. Out of 22 life forms, the representative for Jido was $ G-D_4-R_1-3-e.t$and those for the other sites were Th-G4-R5-e. Above ground biomass of all species for Sanho-ri, Jido, Suncheon Bay and Baealdo were 441.3, 202.0, 150.7 and 353.3 g.dw/m2 and the ratios of above ground biomass halophytes to all species were 93.5, 92.7, 90.8 and 100%, respectively. The leading dominant species formed a continuum according to the salt gradiant. The similarity between Baealo and Suncheon Bay was relatively high, and Jid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species composition. Aster tripolium was stenohaline and appeared at the low salt concentration, but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were duryhaline and occured at the relatively high salt concentration.

  • PDF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lophyte Extracts

  • Jae-Bin Seo;Young-Jae Song;Sa-Haeng Kang;Se-Woong-Ko;Dong-Keun Kim;Tae-Hyun Kim;Jeong-Hyang Park;Ju-Ryun Soh;Jong-Sik J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9-79
    • /
    • 2020
  • Halophyte is a plant that has evolved to grow well in salty places, and is mainly distributed in coastal wetlands, sand dunes, salt fields, and reclaimed lands in tidal flats and river estuaries. Because it grows in the soil where seawater enters and exits, it is very abound in natural minerals and produces certain metabolites to survive sustainably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15 kinds of halophyte to secure data on halophytes of infinite value as functional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group of halophytes that regulate iNOS expression, which is involved in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s. Among the 15 species of halophyte, except for Triglochin maritimum, Suaeda japonica, and Carex pumila, NO production was reduced in 12 species of halophytes, and 7 species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Artemisia fukudo, Spergularia marina, Aster tripolium, Suaeda australis, Atriplex subcordata, Calystegia soldanel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NF-α and IL-1β.

  • PDF

칠면초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Fusarium solani에 의해 생산된 지베렐린 A4 (Gibberellin A4 Producted by Fusarium solani Isolated from the Roots of Suaeda japonica Makino)

  • 서영교;유영현;윤혁준;강상모;김현;김미애;김창무;이인중;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718-1723
    • /
    • 2012
  •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인 칠면초의 뿌리로부터 형태적으로 다른 내생진균을 분리하였다. 10종의 내생진균의 식물생장촉진활성검증을 위하여 내생진균의 배양여과액을 난장이벼 유묘에 처리하였다. Bioassay 결과, Sj/7/4 균주가 다른 내생진균류들보다 난장이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j/7/4 균주가 생산하는 GA를 확인하기 위하여 GC/MS SI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GA_4$를 생산하는 것이 정량분석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분리된 내생진균은 universal primers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분석하였다. Sj/7/4 균주의 염기서열분석은 Fusarium solani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칠면초의 뿌리로부터 분리한 Sj/7/4 균주는 F. solani Sj/7/4로 명명하였다.

干拓地 植物의 無機營養素 蓄積에 對하여 (On the Accumulation of Minerals with the Plant Species in a Reclaimed Land)

  • Min, Byeong 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9-18
    • /
    • 1990
  • For reaserching the factors of plants micro-distribution, accumulation of 5 minerals-total-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sodium and calcium-for 19 plant species was investigated in reclaimed land, in western coast of Korea, In the five minerals, sodium contents were quite different among the species. Plant speci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sodium accumulation and accumulation site in plant tissue: Na accumultion type above-ground part>below-ground part : Triglochin maritimum, Chenopodium virgatum, Atriplex subcordata, Salicornia herbacea, Suaeda japonica, suaeda asparagoides, Limonium tetragonum, Aster tripolium, Artemisia scoparia, Sonchus brachyotus above-ground partbelow-ground part : Zoysia sinica, amagrostis epigeiosa bove-ground part

  • PDF

고창·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칠면초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 염성 세균 분리와 그 특성화 (Isolation of salt-tolerant bacteria from rhizosphere and rhizoplane of halophyte plant Suaeda japonica in Gochang·Buan tidal flat)

  • 기민규;이혜리;조아현;운노타쯔야;이지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25-131
    • /
    • 2017
  • 고창 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칠면초의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염성을 지니는 9 균주를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분석으로 분리된 균주는 Vibrio 속과 Bacillus 속으로 분류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Vibrio와 Bacillus로 나누어 각각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균주를 선택하여 염 농도에 따른 최적 생장조건을 평가한 결과, 균주 JRS-1 (Vibrio neocaledonicus)은 총 염분 4-6%에서 높은 생장률을 보였다. 균주 JRL-2(Bacillus thuringiensis)는 염분 농도 증가에 따라 생장이 증가하였으며, 7%에서 최대 생장률을 보이고 8%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기존에 서식하던 토양의 염 농도인 3% (w/v) 보다 더 높은 염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염성을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기질 이용 형태에 분석을 통해 triglyceride, ${\rho}$-nitrophenyl-${\alpha}$,$\text\tiny{D}$-glucoside, ${\rho}$-nitrophenyl-${\beta}$, $\text\tiny{D}$-glucoside 이용 등 식물과의 특이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반응들을 확인하였다.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Analyz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lt Marsh Vegetation Around Donggumdo Tidal Flat in Ganghwado, Korea)

  • 이윤경;엄진아;유주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75-581
    • /
    • 2007
  • 칠면초는 서해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염생식물 중 하나이다. 이런 염생식물들은 유입되는 퇴적물의 고착능력을 향상시켜 해안 습지의 수직적인 발달에 영향을 준다. 또한 조간대의 탈염화가 지속적으로 진행이 되면 염생식물의 서식지는 염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해안 쪽으로 나가게 된다. 이런 염생식물 서식지의 대상분포변화는 조간대의 육지화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환경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염생식물의 분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강화도 남단에 위치한 동검도 주변에서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갈대, 퇴적물의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반사도에 미분을 하여 연안의 다른 식생이나 방조제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과 구별이 되는 반사도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칠면초의 경우 600-650nm가 적색반사도 피크영역이, 갈대의 경우 500-570nm가 녹색반사도 피크 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경우 클로로필에 의한 흡수대가 존재하지 않고 350-550nm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스펙트럼이 칠면초나 갈대와 확연히 달라 쉽게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