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aeda japonica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새만금 간척지일대 염습지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 염생식물 발아 전략 및 특성 -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Germination Strategies and Character of Halophytes -)

  • 김창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1-462
    • /
    • 2009
  •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and the surrounding regions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efforts to determine the expected ecological changes in the salt marshes, to restore their vegetation, to explore the restoring force of halophyte, to examine the community mechanism and, ultimately, to rehabilitate marshy land vegetation along the lakeside, coastal dune and salt marshes of the Saemangeum Project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ve species such a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ster tripolium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stuar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halophyt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plants for survival and the cause of forming community structure, a research was made as for appearance ratio of young sapling. From the results of laboratory analysis into dynamics of the saplings of halophyte, it was revealed that the germination ratio of the dry area and submerged area decreases in the order of Suaeda asparagoide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수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munity maintenance Mechanism of five Halophytes on the distribution in Mankyung River Estuary)

  • 김창환;조두성;이경보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68-84
    • /
    • 2005
  • 2005년 2월부터 9월까지 만경강하구역 염습지에 있는 5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5종 염생식물(칠면초,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나문재)의 발아기, 최대 발아률, 생물량, 줄기와 뿌리 길이생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염생식물 군집 유지기작은 저위염습지에 칠면초, 중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그리고 고위염습지에 나문재가 분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칠면초는 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수분공급이 원할한 저위염습지에, 퉁퉁마디는 부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고염분 토양의 중위염습지에서, 나문재는 정기적인 수분공급이 적은 고위염습지에, 이들 중간의 중위염습지에는 갯개미취와 가는갯능쟁이가 군집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염성 식물 칠면초 (Suaeda japonica )가 갖는 자색 색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Purple Pigment Compound in Halophytic Plant, Suaeda japonica)

  • 정상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2
    • /
    • 2013
  • As one of the steps toward understanding how the plant is well adapted to strongly saline habitats, the purple pigment compound that is accumulated in Suaeda japonica was extracted and characterized.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exhibit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betacyanin that were represented by water solubility, pH- and temperature-dependent color changes, sensitivity to light, UV-Vis spectra, and gel electrophoretic migration pattern. LC-MS of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showed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at m/z 651.1 and m/z 827.1. According to the DPPH assay, it was found to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action time for up to 30 min, and the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trol BHA at 9.0 mg/ml. The cytotoxic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 lines was also examined following the MTT assay. The significant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on two tumor cell lines,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and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Probably, the pigment compound may function as an osmolyte to uphold halotolera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saline environment.

  • PDF

Features and Functions of Purple Pigment Compound in Halophytic Plant Suaeda japonica : Antioxidant/Anticancer Activities and Osmolyte Function in Halotolerance

  • Chung, Sang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2-354
    • /
    • 2018
  • Suaeda japonica is a halophytic plant that lives in mudflat at intertidal zon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seawater-living plants showed a purple color during their whole life. In contrast, freshwater-living plants displayed a green color in leaves. When seawater-living plants were transferred to potting soil, the purple color was gradually changed to green in the leaves. The extracted purple pigment compound exhibit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betacyanin that were represented by water solubility, pH- and temperature-dependent color changes, sensitivity to light, UV-Vis spectra, and gel electrophoretic migration pattern. The LC-MS analysis of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showed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at m/z 651.1 and m/z 827.1.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igment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table free radical DPPH assay. It was found to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action time for up to 30 min, and the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trol BHA at 9.0 mg/ml. The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 lines was also examined following the MTT assay. The significant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on two tumor cell lines,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and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Probably, the pigment compound may function as an osmolyte to uphold halotolera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saline environment.

칠면초(Suaeda japonica) expansin 유전자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pansin Genes in a Halophyte, Suaeda japonica)

  • 황숭택;김석규;나종길;이점숙;최동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2-1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에서는 최초로 expansin 유전자를 분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염생식물 중 생리활성물질 등으로 최근 들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칠면초로부터 expansin 유전자의 cDNA 3종을 분리, 합성하였다. 확보한 3종의 칠면초 expansin cDNA 염기서열 분석 및 단백질 1차 구조의 비교분석 결과 시스테인 잔기의 위치 및 배열간격과 트립토판의 위치, 그리고 활성부위의 일부로 생각되는 HFD 도메인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alpha}$-expansin (EXPA)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식물들과 칠면초의 expansin 단백질을 대상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목본성인 딸기와 대추나무의 expansin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칠면초는 일년생 초본이지만 생육초기에는 초본성으로 자라다가 나중에 목질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칠면초의 expansin이 목본 식물의 expansin과 유사한 기능을 가질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고염도 환경에서의 칠면초 유식물의 생육 실험결과에 따르면 실험에 사용된 NaCl 농도범위 내에서 유식물의 생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expansin의 발현량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내염성을 가진 식물에서는 expansin과 같은 생장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NaCl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식물의 생장이 저해되지 않는다고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염생식물인 칠면초가 고염도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데 expansin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엽록체 DNA 및 핵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한국산 나문재속(명아주과)의 분류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the Genus Suaeda(Chenopodiaceae) based on chloroplast and nuclear DNA sequences from Korea)

  • 김석규;정상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66-574
    • /
    • 2018
  • 한국산 나문재속 식물에 대한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밝히고,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나문재속 종간 유연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찾아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핵 리보솜 DNA ITS와 엽록체 DNA matK, psbA-trnH 그리고 trnL-trnF를 분자마커로 사용하였다. ITS 영역은 칠면초와 해홍나물 그리고 해홍나물과 방석나물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psbA-trnH와 trnL-trnF 영역의 염기서열은 칠면초와 방석나물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4종의 분자마커 영역을 조합하여 분석한 결과 나문재속 식물 5종이 각각 독립적인 계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나문재속 계통관계 분석을 위해서 여러 개의 분자마커 조합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문재속 내 분류군 간의 계통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차후에 좀 더 많은 생태학적, 형태학적 자료를 조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칠면초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송범석;윤요한;변명우;권중호;전순실;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1-135
    • /
    • 2009
  • 칠면초(Suaeda japonica)를 식품 및 공중보건 산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항산화성을 측정해 보았다. 칠면초 분획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21.33 mg/g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butanol(17.31 mg/g), methanol(2.33 mg/g) 순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는 폴리페놀이 검출되지 않았다. $\beta$-carotene bleaching assay를 측정한 결과 칠면초 butanol 추출물의 흡광도 감소 정도가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ethyl acetate, methanol 및 water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칠면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butanol, ethyl acetate, methanol 및 water 추출물 순으로 각각 77.46, 74.43, 47.99 및 27.70%로 나타났다. FRAP 측정결과 butanol 추출물의 FRAP value가 2.42 m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칠면초 추출물은 모두 무처리군보다 낮은 지질산패도(TBARS)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이 높은 지질산패 저하능을 나타내었다. Butanol 추출물은 전자공여능,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및 FRAP 실험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고, ethyl acetate 추출물은 폴리페놀 및 TBARS 측정 실험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칠면초 각각의 추출물에 다양한 항산화를 갖는 항산화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안갯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내생진균류에 대한 유전학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om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uaeda japonica and S. maritima for the Restoration of Ecosystems in Buan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서영교;김미애;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295
    • /
    • 2012
  • 부안갯벌에서 채집된 염생식물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뿌리로부터 84종의 내생진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염생식물 샘플은 칠면초와 해홍나물이 부안갯벌로부터 분리되었다. 모든 내생진균류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영역의 서열에 의해 분석되었다. 내생진균류들은 Pleosporales (45%), Eurotiales (27%), Incertae sedis (11%), Dothideales (6%), Capnodiales (5%), Hypocreales (5%), 및 Agaricales (1%)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생진균류는 자낭균문과 담자균문의 Alternaria속, Ascomycota속, Aspergillus속, Aureobasidium속, Cladosporium속, Eupenicillium속, Fusarium속, Gibberella속, Hocrea속, Lewia속, Macrophoma속, Penicillium속, Peyronellaea속, Phoma속, Pleospora속, Pleosporales속, Pseudeurotium속, Schizophyllum속, 그리고 Talaromyces속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우점종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칠면초와 해홍나물로부터 내생진균을 분리한 결과 Pleosporales 목과 Eurotiales 목의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 계절에 따른 칠면초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uaeda japonica Extracts on Harvest Season)

  • 최종일;김연주;김재훈;권중호;안동현;전병수;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9-104
    • /
    • 2010
  • 본 연구는 칠면초를 식품 및 공중 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확계절에 따른 칠면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름에 수확한 칠면초의 총 미네랄 함량은 89.8 g/kg로서 겨울철 칠면초(86.7 g/kg)보다 약간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칠면초의 Na 함량은 현저한 계절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여름철 칠면초의 K와 Ca 함량은 겨울철 칠면초에서 50%로 감소하거나 두 배로 증가하였다. 한편, 칠면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수확시기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름 칠면초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겨울 칠면초에서는 but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FRAP value에서는 여름철과 겨울철 칠면초 모두에서 but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항산화 활성에 비례하였다. B16BL6 세포를 이용한 tyrosinase 저해능 실험과 멜라닌 생합성 실험에서 hexane 추출물이 채취 계절에 관계없이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칠면초를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할 때 추출 시기에 따라 적당한 추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ypical Coastal Vegetation of Korea

  • Min, Byoeng-Mee;Je, Jong-Gee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79-86
    • /
    • 2002
  • It was found that 14 coastal habitats in South Korea have comparetively natural vegetation. Th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intertidal flats, sand dunes, and estuaries. There were four intertidal flats, five sand dunes and five estuaries. Except for Cynodon dactylon and Tetragonia tetragonoides, all of the main halophytes and sand dune plants were found in the habitats. These two species were mainly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This study identified coastal vegetation, such as pure stands of Suaeda japonica on intertidal flats, mixed halophyte communities around the high-water mark, pure stands of Vitex rotundifolia on stable sand dunes, mixed communities dominated by Carex kobomugi on unstable sand dunes, and pure stands of Phragmites communis in estuaries. The types of coastal vegetation may depend on sediment types, the inundation time of seawater and the stability of sed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