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Centered Instruc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학습자 중심 수업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on English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 송명석
    • 영어어문교육
    • /
    • 제7권1호
    • /
    • pp.89-11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ethod of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student-centered environmental instruction. I've been skeptical about the traditional instruction, which is composed of the teachers-centered instruction, because of the lack of creativity. Until now, I've always wished to have an alternative method that can be substituted for routine's style. To achieve it, I selected 90 students from 2 classes, in the 3rd year at a girls' high school in Chungnam as the subject of study.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the student-centered environmental instruction and the teacher-centered traditional instruction.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a preliminary English achievement test,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test and two teaching plans. For this test, a high school text book was assigned. I have treated 20 times of the test each for two groups using two types of teaching-learning plans which I made for this purpose. To verify the hypotheses after administrating the test, I selected t-verification for post test result. Based on this test result, I could conclud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English proficiency and a chang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lso the student-centered environmental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eachers-centered instruction.

  • PDF

학생중심 초등수학 교실문화의 구현과 난제 (Successes and Difficulties in Transforming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459-479
    • /
    • 2006
  •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concern of whether a real instructional change happens in a way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dealt with successes and difficultie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ent through as she moved on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analysis drew on classroom observations for one year to illustrate how the teacher and students established social norms, sociomathematical norms, and classroom mathematical practices that could emphasize mathematical sense-making and justification of ideas. Close analysis showed many gradual but dramatic changes in terms of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This led to consider possibly subtle but crucial issues with regard to implement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PDF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 정영란;이정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193-2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성취 수준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 보았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208명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험집단1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반씩, 실험집단 2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 "자극과 반응" 단원으로 15차시 수업처치를 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측정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는 이경훈이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이용한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01).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성별과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 .05).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01). 수업의 반 정도만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해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업 성취 수준이 상위인 학생보다 중위와 하위인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p< .05).

  • PDF

교사 중심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강조한 수업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eacher-Centered Instruction Stressed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 김진호;이남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5-53
    • /
    • 2005
  • 본 연구는 교사중심의 수업틀을 유지하면서 학습자의 사고활동을 강조한 대안적인 교수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수업으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은 학업성취도면에서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대안적인 교수법은 학교 현장에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교수법이며, 또한 교사 중심의 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현장에 적용가능한 교수법이다.

  • PDF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Focusing on Earth Science)

  • 채동현;임성만;이효녕;한제준;이상균;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school.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ooks, surveys, and then developed a textbook model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e have selected the three elementary school, three grades, fifty-seven students to apply the model developed textbooks. Textbook model of Earth was developed as a center of student activity. Applying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ield, students were interested about the student-centered textbooks and they were felt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ere textbook that students can study on their own.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confirm that it should be provided feedback to causes of the reflective thinking of students in the textbook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textbook.

A Comparison of Two English Reading Classes: With a Focus on Cooperative Learning

  • Suh, Jae-S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3호
    • /
    • pp.79-98
    • /
    • 2006
  • As one way of changing a teacher-fronted, grammar-based reading class into a meaningful, fun-creating one, this paper compared teacher- fronted reading with student-centered reading framed upon cooperative learning. In a study in which each type of reading method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in an EFL reading course for a period of one semester,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ough each type of reading instruction came with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student-centered reading instruction was preferred for various reasons. Most important, through an active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work, subjects were motivated and interested in L2 reading much, were exposed to various reading strategies and skills, and practiced them in a friendly, low-anxiety learning climate.

  • PDF

TIMSS 2011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effects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ased on TIMSS 2011 results)

  • 김성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95-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sing data from TIMSS 2011.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clude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lessons, and confidence in their mathematics ability. Teacher factors include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idence in teaching mathematics,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enhancing student mathematical thinking. The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actors and student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confidence about their mathematics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systems and mathematics educators need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research-based practices and knowledge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change their mathematics classroom.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오해와 진실 (Misunderstandings and Truth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81-94
    • /
    • 2008
  •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의 신념은 여전히 이전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에 적합한 신념들을 형성하고 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교사들은 자신의 신념을 바뀌어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패러다임적 전환이 이루어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들이 형성해야 할 신념들 중 학습자관, 차시별 학습목표, 교육과정상의 모든 지식의 지도가능성, 학급당 인원수, 학업성취도 등 몇 가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런 논의가 학습자 중심 수업의 실천을 더욱 강조하는 2007개정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공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문제해결식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 김익수;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aboratory instruction's approaches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process was composed with identifying problems, generating alternative solutions, investigation and research, choosing a solution, acting on a plan, modeling of problem solving, testing and evaluating, redesigning and improving. The skills schema combines a four domain of skilled activity, that is, cognitive skills, psychomotor skills, reac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as composed with five major learning systems-emotional, social, cognitive, physical, and reflective-that can be used extensively as generic lesson plashing. The teacher serves as a coach or guide for student learning. As a facilitator, the teacher challenges, questions, and stimulates the students in their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this process, students represent problem with think aloud,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and mov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education.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Student-Centeredness of the Modality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Discourse language Code)

  • 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6-136
    • /
    • 2009
  • 학교 과학 수업은 그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주체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내용, 구조, 기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교수법적 실천 양태의 차이를 명료화하고, 수업의 사회적 상황을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수업의 이러한 특징은 과학 수업의 언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도입하여 광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에 대하여 수업 담화 언어 코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사례의 수업 담화 장면 별로 담화의 맥락 및 담화 참여자에 대한 권력 관계를 나타내는 범주구분의 정도와, 담화 주체간의 위계적 관계 및 담화 주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다른 범주구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담화 언어 코드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물 단원의 수업 담화 사례는 6가지 유형의 담화 언어 코드가 형성되어, 수업 담화의 측면에서 학생 중심 수업과 교사 중심 수업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부이고 있었다. 담화 언어 코드이 변화 경향에 따라 과학수업 양태의 변화 양상은 '통제된 학생 중심성 유도 수업'에서 '지위적인 학생 중심성 허용 수업'으로, 그리고 '통제된 학생 참여 허용 수업'을 거쳐, '통제된 학생 중심성 촉진 수업'과 '학생 중심성 강화 수업'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의 담화 주도가 보장되는 약한 담화적 통제와 담화 주체간의 약한 위계적 관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언어 코드에 대한 교사의 자각이 구성주의 수업, 학생 중심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과 맞물려 강화될 수 있다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수업의 실행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