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granul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흰쥐 소뇌 정상 연접에서 열충격단백질70(HSP70)의 표현 (The Inducible form of Heat Shock Protein 70 (Hsp70) is Expressed in the Rat Cerebellar Synapses in Normal Condition)

  • 조선정;정재섭;진익렬;정승현;박인식;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7-612
    • /
    • 2005
  • 열충격단백질 70 (HSP70)은 복수유전자족으로서 통상적으로 표현되는 Hsc70와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Hsp70가 있다. 포유동물의 신경계통에서는 상당한 량의 HSP70가 정상조건에서도 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소뇌 세포의 연접에서 Hsp70의 표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소뇌절편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Hsp70와 Hsc70 모두 표현되었는데, 소뇌 조롱박세포에서 가장 강하게 표현되었으며, 다음으로 소뇌 과립세포에서 강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깊은소뇌핵의 신경세포들도 강하게 염색되었다. 배양한 P1 소뇌신경 세포를 Hsp70 항체로 염색한 결과 Hsp70는 조롱박세포와 과립 세포에서 모두 표현되었으며, 세포체와 가지돌기를 따라 점박이를 형성하였다. 이들 점 박이들은 PSD95 점박이와 같이 위치하였다. 그리고 PSD 분획을 이용한 면역염색에서도 PSD70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sp70이 정상조건에서도 소뇌신경세포의 연접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RNA-Binding Protein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Zhao, Melody;Kim, Jihye Rachel;van Bruggen, Rebekah;Park, Jeehy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9호
    • /
    • pp.818-829
    • /
    • 2018
  • Significant research efforts are ongoing to elucidate the complex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which may in turn pinpoint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ment. The ALS research field has evolved with recent discoveries of numerous genetic mutations in ALS patients, many of which are in genes encoding RNA binding proteins (RBPs), including TDP-43, FUS, ATXN2, TAF15, EWSR1, hnRNPA1, hnRNPA2/B1, MATR3 and TIA1. Accumulating evidence from studies on these ALS-linked RBPs suggests that dysregulation of RNA metabolism, cytoplasmic mislocalization of RBPs, dysfunction in stress granule dynamics of RBPs and increased propensity of mutant RBPs to aggregate may lead to ALS pathogenesis. Here, we review current knowledge of the biological function of these RBPs and the contributions of ALS-linked mutations to disease pathogenesis.

Salt treatment for recovery of th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from transport stress

  • Yu, Jin-Ha;Kim, Dae-Hyun;Han, Jung-Jo;Park, Sung-Woo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15-221
    • /
    • 2016
  • Due to the shortage of the fingerling/juvenil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n Korea, these fish have been imported from China. However, the mortality rate during and after their transportation is very high.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lt treatment on the survival and recovery of mud loaches in holding farms during the quarantine process. Glucose, osmolality, $Na^+$, $Cl^-$,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assessed for three different salinities. Non-treated fish (control 0.0%) exhibited lower levels of osmolality, and $Na^+$ and $Cl^-$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those kept in solar salt solution (0.5% and 1.0%). Glucose levels in control fish were higher than those in fish exposed to 0.5% and 1.0% solar salt solution. Histologically, control fish showed thinner epidermis of skin, branchial hyperplasia and lamellar fusion with an abundance of eosinophilic granule cell-like cells. After solar salt solution treatment, damaged gill structures in the fish almost recovered within 5 day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mud loaches transported from China suffer from skin and gill damage and physiological dysfunction which may increase the mortality and morbidity. Moreover, saline treatment might alleviate the stress responses and ionic/osmotic imbalances, and help heal gill damage.

Poly (ADP-ribose)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s disease

  • Lee, Yunjong;Kang, Ho Chul;Lee, Byoung Dae;Lee, Yun-Il;Kim, Young Pil;Shin, Joo-Ho
    • BMB Reports
    • /
    • 제47권8호
    • /
    • pp.424-432
    • /
    • 2014
  • The defining feature of Parkinson's disease is a progressive and selective demise of dopaminergic neurons. A recent report on Parkinson's disease animal model demonstrates that poly (ADP-ribose) (PAR) dependent cell death, also named parthanatos, is accountable for selective dopaminergic neuronal loss. Parthanatos is a programmed necrotic cell death, characterized by PARP1 activation, apoptosis inducing factor (AIF) nuclear translocation, and large scale DNA fragmentation. Besides cell death regulation via interaction with AIF, PAR molecule mediates diverse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genomic stability, cell division, transcription, epigenetic regulation, and stress granule formation. In this review, we will discuss the roles of PARP1 activation and PAR molecules in the pathological processes of Parkinson's diseas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PAR molecule and Parkinson's disease protein interactome are briefly introduced. Finally, we suggest promising poin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pathological PAR signaling cascade to halt progression in Parkinson's disease.

Suboptimal Mitochondrial Activity Facilitates Nuclear Heat Shock Responses for Proteostasis and Genome Stability

  • Dongkeun Park;Youngim Yu;Ji-hyung Kim;Jongbin Lee;Jongmin Park;Kido Hong;Jeong-Kon Seo;Chunghun Lim;Kyung-Tai M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6호
    • /
    • pp.374-386
    • /
    • 2023
  • Thermal stress induces dynamic changes in nuclear proteins and relevant physiology as a part of the heat shock response (HSR). However, how the nuclear HSR is fine-tuned for cellular homeostasis remains elusive. Here, we show that mitochondrial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nuclear proteostasis and genome stability through two distinct HSR pathways. Mitochondrial ribosomal protein (MRP) depletion enhanced the nucleolar granule formation of HSP70 and ubiquitin during HSR while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damaged nuclear proteins and impaired nucleocytoplasmic transport. Treatment of the mitochondrial proton gradient uncoupler masked MRP-depletion effects, implicating oxidative phosphorylation in these nuclear HSRs. On the other hand, MRP depletion and a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er non-additively decreased mitochondrial ROS generation during HSR, thereby protecting the nuclear genome from DNA dam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optimal mitochondrial activity sustains nuclear homeostasis under cellular stress, providing plausible evidence for optimal endosymbiotic evolution via mitochondria-to-nuclear communication.

Ohmic Heating에 의한 가열속도 변화가 옥수수전분의 물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ing Rate by Ohmic Heating on Rheological Property of Corn Starch Suspension)

  • 이석훈;장재권;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38-442
    • /
    • 2005
  • 전분의 가열, 호화과정에서 ohmic heater를 이용하여 가열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가열속도가 전분현탁액의 팽윤특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3% 옥수수 전분현탁액을 가열속도를 변화시키면서 $90^{\circ}C$까지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현미경 관찰과 입도분포를 측정한 결과 생옥수수 전분입자의 평균 직경은 $13.7{\mu}m$이었으며 $0.6^{\circ}C/min$의 가열속도로 가열했을 경우 $30.97{\mu}m$, $16.4^{\circ}C/min$로 가열한 경우는 $37.88\;{\mu}m$로 평균직경이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16.4^{\circ}C/min$ 이상의 가열속도에서는 완만히 증가하여 $45.5^{\circ}C/min$일 때는 $41.56\;{\mu}m$로 증가하였다. 즉, 가열속도는 전분입자의 팽윤에 영향을 주며, 가열속도의 증가는 전분입자의 팽윤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5^{\circ}C/min$ 이하의 낯은 속도로 가열한 3% 옥수수 전분현탁액은 Newtonian fluid에 가까운 유동곡선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가열속도 $16.4^{\circ}C/min$ 이상에서는 전분현탁액이 pseudoplastic fluid의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yield stress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겉보기 점도는 가열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15%의 옥수수전분현탁액을 각각 다른 가열속도로 $90^{\circ}C$까지 가열한 후, 전분겔을 조제하여 가열속도에 따른 전분겔의 견고성(hardness)을 측정한 결과, 완만 가열하여 제조한 전분겔의 견고성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가열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츰 감소하다가 가열속도 $9.4-23.2^{\circ}C/min$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가열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분겔의 견고성이 다시 증가하였다.

물리적 변성에 의한 쌀변성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Properties of Modified Rice Starch by Physical Modification)

  • 금준석;이현유;신명곤;류미라;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8-435
    • /
    • 1994
  • 쌀전분의 다각적 이용을 위하여 고순도의 멥쌀전분과 찹쌀전분을 Alkali 침지법에 의해 제조하여 각각 드럼 건조기와 압출성형기로 변성전분을 제조한 후 특성을 검토하였다. 청값은 찹쌀전분이 가장 낮았으며 변성 후 L값이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압출성형기로 제조한 변성전분들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수지수는 드럼건조기로 제조한 변성전분들이 높았다. Cold-Water-Solubility는 측정에서는 드럼건조기를 이용한 멥쌀변성전분이 가장 높았다. 각 시료들의 광투과도는 온도 증가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드럼건조기로 제조한 멥쌀변성전분은 전단속도의 증가에 따라 점조성지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항복응력도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하면 전분을 변성시킴에 따라 분자길이의 절단과 아밀로오스 분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X-선 간섭도형측정(XRI)에 의한 간섭도형은 피크를 상실한 V도형의 X-선 회절양상을 보임으로서 결정구조가 무정형으로 변화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A 및 MA 저장이 수삼 및 홍삼의 외관품질 및 사포인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 and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n the Apparent Quality and Saponin Component of Fresh and Red Ginseng)

  • 전병선;성현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62-72
    • /
    • 1995
  • During the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CA), fresh ginseng showed good appearance in quality, and other deterioration of freshness was not observed until 12 weeks. On the other hand, MA storage had kept freshness only in treatment of 1 until 8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ed and non-treated sample with preservatives, and not treated sample was not infected with various different fungi. Moisture contents and hardness of ginseng in all treatments were not changed much until 12 weeks, and surface shrinkage did not occur either. But shear stress increased somewhat in all treatments after 12 weeks. The granule of microstructure in tissue diminished slightly. The apparent Quality of red ginseng was good until 4 weeks of treatment. But as time passed, white skin and wrinkled skin were generated and darkened in its color. B-1 in CA and E-1 in MA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able one. The content of crude saponi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of CA or MA by preservation conditions and period. Though a small increase in saponin content from 4.92% to 5.43% was recognized in B-1, which was treated with preservative and 6.0% In B-2, control, this could rather explain increment of soluble component by butanol. Thus, there was no change in total contents of ginsenoside pattern and composition of each content. The Rbl content in B-1 and B-2 were 0.98%, and 0.97%,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control was 0.96%. E-1 of MA, treated with preservative was 5.32% after 12 weeks, but was 5.73% in control, indicating that ginsenosides pattern was quite similar to that of CA storage.

  • PDF

한약복합처방(韓藥複合處方) 약침(藥鍼) 및 경구투여(經口投與)가 Streptozotoin에 의한 흰쥐의 당뇨병(糖尿病)과 항산화능(抗酸化能)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Oral Administration and Herbal -Acupuncture Stimulation with Several Herb-combind Prescription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사현;조수인;채우석;조명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5
  • 한약복합처방(SHP)의 약침 및 경구투여가 STZ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병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n vitro 에서 SHP은 ${\alpha}$-glucosidase 저해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t-BHP에 의한 신장 피질 조직에서의 지질 과산화 생성을 억제하였다. 2. SHP은 대조군에 비해 STZ에 의한 혈청 중 insulin 함량 저하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혈청 중 glucose 함량변화에 있어서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3. SHP은 대조군에 비해 STZ에 의해 상승된 혈청 중 triglyceride 함량을 유의성있게 감소시켰고,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4. STZ 투여로 인해 혈청 내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SHP의 약침 및 경구투여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5. STZ에 의해 증가된 catalase 활성은 SHP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glutathione 활성 역시 SHP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 PDF

루게릭병 및 전측두엽성 치매 연관 단백질 Fused in Sarcoma (FUS)의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도메인 분석 (Analysis of domain required for aggregates formation of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FTD (Frontotemporal dementia)-linked FUS in mammalian cells)

  • 전미희;이진아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31-340
    • /
    • 2015
  • DNA/RNA결합 단백질로 다양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진Fused in Sarcoma (FUS)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루게릭병 및 전측두엽성 치매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정상적인 FUS는 핵에 위치하지만 병리상황에서 FUS는 세포질로 잘못 타기팅 되어 스트레스 응집체와 결합된 단백질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에 의한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 기전 및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의 도메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루게릭병 연관 FUS 미스센스 돌연변이(P525L, R521C, R521H, R521G)의 세포내 위치 및 세포질 FUS의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내 도메인을 분석하고 동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FUS 미스센스 돌연변이의 세포내 위치를 분석한 결과, P525L대부분은 세포질로 위치하여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하는 반면, R521C, R521H, R521G는 핵과 세포질에 위치하였다. 이를 통해 FUS의 핵으로의 이동에는 FUS의 마지막 2개의 아미노산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질로 빠져 나온 FUS의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도메인 분석을 위해서 핵 위치서열이 결손되어 대부분 세포질 응집체를 형성하는 FUS-∆17를 이용하여, 다양한 도메인 결손 돌연변이를 제작하고, 이들의 응집체 형성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YGQ-RGG1나 RGG2-ZnF-RGG3없는 세포질 FUS (FUS-∆SYGQ-RGG1-∆17, FUS-∆RGG2-ZnF-RGG3-∆17)는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하지 않은 반면, RRM이 없는 FUS-∆RRM-∆17은 FUS-∆17에 비해 많은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메인 분석결과 세포질의 FUS는 SYGQ-RGG1나 RGG2-ZnF-RGG3 도메인을 통해 FUS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이 촉진되고, RRM도메인은 FUS 응집체 형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US의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과 연관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기전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이들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 후보 타겟 물질 발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