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ess care

검색결과 1,510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 행정직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 이정민;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01-210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상자 186명에게 설문지를 시행했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했다. 분석결과,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적 지각, 심리적 유연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 지각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행정직원의 스트레스가 통제 상실과 같은 부정적 지각보다는 긍정적 기능 감소와 같은 긍정적 지각과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논의했다. 또한, 심리적 유연성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우울을 예방할 수 있음을 논의했다.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문제에 대한 개입 방안으로서 심리적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수용전념치료를 제안했다.

의료서비스조직 여성근로자의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le Conflict, Childcar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emale Workers at Hospital Settings)

  • 조희정;지재훈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5-14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ole conflict, childcar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emale workers at hospital settings, and thu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roductivity and quality of working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195 female employe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by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mong study variables, role conflict(-) and direct-positive stress coping typ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results imply that role conflict, and stress coping type are crucial for managing desirable job attitude of female employees. Therefore,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sultation programme for diminishing role conflict and adopting appropriate stress coping type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유아 스트레스의 관련 변인 연구 (Relevant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Stress)

  • 박소영;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1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sex, age, birth order, temperament), parents (education level, employed or unemployed mother,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mily (income) relate to young children's stress levels and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str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87 young children, aged from 3 to 5 years old, select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Young children's stress was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s sex, age, birth order and temperament. (2) Young children's stress was correl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3) Young children's stress was not correlated with income. (4) Children's emotionality and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stress experienced by boys and girls, respectively. (5)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 variable affected both sibling and only children's stress.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 박형숙;강은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10-821
    • /
    • 200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job stress and coping of ICU Nurses. Method: Data was accumulated from 206 ICU nurses serving at least more than one year in 500 bed order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three months from June1, to August 30, 2006. Results: The average job stress was $2.96{\pm}.95$ points, which was relatively high. The average coping was $2.55{\pm}.23$ points. Conclusion: The extent of the job stress of ICU nurses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received the heaviest stress from job circumstances. For the prevention of job stress, every effor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auses of stress caused by job circumstances and to pose an appropriate solution. Meanwhile, job stress, needs to be controlled using a solution for the central problem, and search for social support.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 전현숙;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43-65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과와 보건계열학과 졸업예정자 51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일부터 13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경제 수준은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과 선택 동기와 학과 선택 결정을 학생 스스로 했는지의 여부는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간에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었고 그 외 요인은 취업처, 전공만족도, 전공계열로 24.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 보건계열 학생에게 전공계열과 취업처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일반병원과 요양병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with the Types of Hospital Influencing Job Stress by Health Care -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 정연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59-666
    • /
    • 2020
  • 본 연구는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G광역시, J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8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병원종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월 소득, 현 병원근무경력에서 유이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학력, 현 병원근무경력, 설립구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학력, 음주여부,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병원종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종별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ttenuates Traumatic Brain Injury by Inhibition of Edema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 Zhang, Bo;Wang, Bing;Cao, Shuhua;Wang, Yongqi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6호
    • /
    • pp.491-497
    • /
    • 2015
  • Traumatic brain injury (TBI) is a major cause of mortality and long-term disability, which can decrease quality of life. In spite of numerous studies suggesting that Epigallocatechin-3- gallate (EGCG) has been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a broad range of disorders, the effect of EGCG on TBI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a weight drop model was establish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EGCG on TBI. Rats were administered with 100 mg/kg EGCG or PBS intraperitoneally. At different times following trauma, rats were sacrificed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EGCG (100 mg/kg, i.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brain water content and vascular permeability at 12, 24, 48, 72 hour after TBI. Real-time PCR results revealed that EGCG inhibited TBI-induced IL-$1{\beta}$ and TNF-${\alpha}$ mRNA expression. Importantly, CD68 mRNA expression decreasing in the brain suggested that EGCG inhibited microglia activation.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showed that administering of EGC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evels of aquaporin-4 (AQP4)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expression. TBI-induced oxidative stress was remarkably impaired by EGCG treatment, which elevated the activities of SOD and GSH-PX. Conversely, EGCG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tents of MDA after TBI. In addition, EGCG decreased TBI-induced NADPH oxidase activation through inhibition of $p47^{phox}$ translocation from cytoplasm to plasma membrane. These data demonstrate that EGCG treatment may be an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for TBI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involves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n Quality of Service of Care Givers)

  • 성지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82-9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5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들은 서비스 질을 총 42.0% 설명하였으며, 산출된 서비스 질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13.86, p=<.001).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0.56, p=<.001)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그 효과에 대해 추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준고령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경험 연구 (Study of the Care Labor Experience of Semi-Aged Caregivers)

  • 이치숙;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08-4918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준고령 요양보호사의 경험을 통해 돌봄노동의 특성과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질적연구 방법에 의한 분석을 하였다. 면접은 '준고령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에 대한 인식', '돌봄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 '돌봄노동이 주는 성찰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 준고령 요양보호사들은 돌봄노동을 통해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준고령 요양보호사에 의한 돌봄노동의 성격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중환자실 환자의 간호지속성 유지를 위한 중환자실-병동간 연계형 전환간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 손연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143-15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collaborat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improving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Methods: 18 years and older who were hospitalized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at A university affiliated medical center was recruited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for patients transferred from an ICU consisted of 33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34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for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utilize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was administered in transfer process.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by interviews,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using questionnaire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relocation stress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satisfaction of caring (p=.011), physical domain (p=.022) and mental domain (p<.001) of the Q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milies of the two groups on burden (p<.001) and satisfaction of caring (p<.001). Conclusion: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s administered in transfer process to general wards from an ICU have positive effects on patients and families'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This program will be able to be utilized in clinical fields to improve continuity of care for patients and families between ICUs and general 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