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with the Types of Hospital Influencing Job Stress by Health Care -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일반병원과 요양병원

  • Jeong, Yeon-Ja (Department of Compulsory Administration,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정연자 (원광보건대학교 의무행정과)
  • Received : 2020.09.24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s of workers' emotional labor influencing job stress by health care and the types of hospitals. The research used 387 questionnaires as final assay data, which were obtained by health care workers who work for hospitals or higher-level hospitals located in G-metropolitan city, JD through the direct survey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In case of general hospital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is shown based on monthly earnings and the years of employment at current hospital,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is shown based on an academic career, the years of employment at current hospital, and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In case of nursing hospita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based on an academic career, alcohol use, and monthly earnings. Second,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tress and job stress by the type of hospital,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observed at both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Third, after comparing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y the type of hospital, it was shown that emotional lab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stress at both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본 연구는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G광역시, J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8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병원종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월 소득, 현 병원근무경력에서 유이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학력, 현 병원근무경력, 설립구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학력, 음주여부,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병원종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종별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성희, 이계하(2014).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간호조무사의 업무현황 및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의료경영학연구지, 8(1): 1-10.
  2. 이승영, 김덕호(2019).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7(3): 215-223.
  3. 염재광, 강창렬(2007). 의료기관 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한국경영학회지, 12(1): 1-30.
  4. 정연자(2020). 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1(4): 1591-1604.
  5. Brotheridge, C.M., Lee, R.T.(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 Occup. Organ. Psychol. 76: 365-379.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6. 안지영, 정혜선, 김형아(2007). 일개 병원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6(2): 139-146.
  7. 김윤정(2014).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복합연구, 12(9): 245-253.
  8. 정명숙, 김광점(2006).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11(4): 1-18.
  9. 고유경, 강경화(2006). 일반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2(2): 276-286.
  10. 박순영, 정은경2018).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학논집, 23(1): 37-45.
  11. 김희진, 김혜영(2017).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직 삶의 질. 성인간호학회지, 29(3): 290-301. https://doi.org/10.7475/kjan.2017.29.3.290
  12. 김영수, 정은영, 김주나, 서영준(2014).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40(4): 75-88. https://doi.org/10.22900/KPHR.2014.40.4.007
  13. 김수정(2013). 일 대학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강상구(2017). 아동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문희, 김지영(2018).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2(2): 173-181.
  16. 안은미(2013).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한금선, 김태윤(2015). 일 병원 간호사의 감정 노동, 직무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3(1): 39-48.
  18. 서영숙, 성기월(2011).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련성. 노인간호학회지, 13(3): 196-203.
  19. 김경숙(2016). 공공병원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중심으로. 국민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한숙정, 윤오순, 권명순, 송명선(2011).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정도 비교.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1): 55-64.
  21. 김자숙, 정선영, 김수현, 김자옥(2014).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예측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6(2): 130-140.
  22. 여대중, 이준형, 양윤준, 윤영숙, 이언숙, 김정일, 김성은, 김동준(2015). 병원 종사자의 업무에 따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학회, 23(4): 197-204.
  23. 황다혜, 엄숙(2016).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6): 67-74. https://doi.org/10.15207/JKCS.2016.7.6.067
  24. 정이화(2018).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380-38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380
  25. 배석연(2014). 재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8(3): 65-75.
  26. 김현아(2010). 학교급식 영양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1): 41-53.
  27. 황경일, 심현진, 이현실(2017). 의료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설립형태와 직종의 조절효과, 11(2): 17-27.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