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Parking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vying Garage Option on Car Buyers Policy Compliance Model)

  • 김경범;황경수;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26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대상자의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을 계획된 행동이론에 적용하여 영향력의 정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모형을 구축하였다. 독립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는 매개변수(자기차고지 확보노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자기차고지 확보노력)는 종속변수(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 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에는, 독립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는 종속변수(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 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행동통제력(단속조치와 처분강화)은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운전자의 과거행동(이면도로 주차, 무료 주차공간을 찾아서 배회)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지역 면소재지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5개 지자체의 일반읍·거점면소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Main Street in Rural Area - Focused on General Town and Base Seat of a Myeon Office of 5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

  • 박성진;강인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6-34
    • /
    • 2020
  •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hat improves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main street in rural areas. The main streets of five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general towns and bases seat of a myeon office, we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under investigation required multi-purpose activities on main street.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aintenance of the main street with vehicle-centered maintenance, thereby revising the walking space around essential activities. Second, the simple size of the sidewalk width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it is judged that the pedestrian space should be maintain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loating population, acceptable activities, and proper sidewalk width. Third, the center where pedestrian space and streetscape are maintained has spatial constraints on sidewalks and lanes, so there should be spatial flexibility. Also,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inimize the occupancy of pedestrian roads due to ground parking lots in relation to pedestrian continuity. Fourth,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 should involve community activities other than physical improvement.

당재길 걷고싶은 녹화거리 설계 (The Walkable Green Street Design for "Dangjae-Gi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2-6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streetscape design for "Dangiae-Gil"which is located at 126-1 Yangpyung-2dong, Yeongdeungpo-gu, Seoul and is about 500m in length and about 24m in width. The design goals are to make a green street on which people want to walk and people can walk and rest safely and pleasantly. To achieve these goals, concepts of environmentally-friendliness, placeness, safety, amenity, vitality, connectivity, and democracy are developed. For pedestrian safety, shared street concepts, such as crank, slalom etc. are adopted. The site is divided into 5 thematic spaces, such as "Village Entrance Space", "Culture Street", "Dangsan Park", "Nature Street", and "Ferry Space". The Village Entrance Space, which is an entrance of the Dangjae-Gil and a welcoming space, i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Dangnamu"(zelkova tree) and signs are introduced here. The Culture Street is for experiencing past and present culture of the area. Colored tiles and plant boxes attached to benches are introduced. The Dangsan park is a sacred space where modem people can feel the sacredness of nature arid of being in a refuge. Dangjib, Dangnamu, multi-purpose plaza, athletic facilities, and playground for infants are introduced. The Nature Street is a space for feeling and teaming nature which has disappeared from the area leading to the river and a space for community participation. The elementary school walls were demolished and nature education spaces, such as butterfly and dragonfly garden, ecological pond, wildflower garden, etc., which ar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are introduced. The Ferry Space is a space symbolizing a old ferry crossing and an entrance plaza to a bridge for "Sunyu-do\" . A boat-shaped deck, an elevator for handicap people, and parking space are introduced. In conclusion,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s for the site are suggested.sted.

제주시 거주자우선주차제 문제해결 요소 탐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nalyzing Factors to Resolve Problems of Jejusi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 황경수;임수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거주자우선주차제 사례를 통하여 최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거주자우선주차제도의 문제점을 찾고, 그에 대한 성공요인을 모색하는 것이다. 제주시는 2005년 10월부터 거주자우선주차제를 시범운영하였고, 2007년 10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도심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 도입 배경을 보면 첫째, 주택가 이면도로의 무분별한 주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사고의 확산 방지로 주민의 안녕 유지, 둘째, 쾌적한 주차환경 조성으로 주민의 생활 영위권 보장을 위한 것이다. 거주자우선주차제 성공을 위한 방안을 물어본 결과 "의사결정시부터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에 대한 설문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87.5%로 가장 높았다. 가장 우려하는 내용은 "친척들이 방문해도 유로로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라는 질문에 있었다. 응답자의 36%가 부정적인 의견이었으며 이는 친척들이 무료로 방문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우려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특히 중요시해야 할 요소는 "단속을 철저히 해야 한다", "친척들이 방문해도 유료로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인근 상권 주민의 매출감소를 해결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등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자면 첫째, 단속강화, 둘째, 친지방문을 위한 주차공간 확보, 셋째, 주변 상권에 대한 영향 최소화, 넷째, 소방도로의 기능과 거주자우선주차제와의 조화유도, 다섯째, 주차공급 확보를 위해 회전율 높이기라고 할 수 있다.

고층 아파트 단지의 동선 유형 및 적용 패턴에 관한 연구 - '90년대 이후 공영 아파트 설계 경기 당선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eet Types and Application Patterns in High-Rise Apartment Housing - The Case Study of Prizewinners in the Design Competitions since the 1990s -)

  • 김형진;김영석;박찬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3-44
    • /
    • 2008
  • The street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vehicles and pedestrians, and to form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proje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rise apartments, the street patterns have an influence on the safety, amenity,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Until now, however, the design of street patterns in most high-rise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has diminished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because priority of design consideration has primarily been given to planning road ways and parking areas. Nevertheless, the design competition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fresh ideas and concepts in housing design. Because street patterns have been respectably modified as a result of the generalizing of design competitions,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ideas that have been proposed in competitions over the recent pas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street patterns and analyze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proposals of housing design competitions since the 1990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oad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1) serial type, 2) isolated type, 3) mixed type, and 4) not a road pattern due to the system of connection. In addition, these were further divided into 8 types: 1) loop, 2) ring, 3) penetration, 4) tree, 5) direct entry, 6) ring and penetration, 7) loop and penetration, 8) not a road pattern due to appearance and the collector.

주거단지내의 주거환경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이면도로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Housing Area)

  • 김한수;송흥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97-207
    • /
    • 1997
  • This study is about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how district-level roads are used and what the residents want about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space usage, we could get the conclusion that street furniture occupies much space in the district-level roads, and the main causes of the space usage problems are from cars. 2. Because much space is used for parking, the district-level roads supposed to be the place for the pleasant and safe housing is changing into the main cause of the housing problems. Therefore we should find how to prevent the housing environment from being deteriorated through pridicting the traffic generation of future residential area. 3. Most residents park their cars near their houses in the district-level road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secure the parking space and guarantee the safe traffic by designing the road space efficiently in spite of the inconvenience.

  • PDF

도시형 한옥주거지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특성변화 (Change of Social Aspect Resulting from the Physical Changes of the Urban Traditional Housing)

  • 이승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17-124
    • /
    • 2006
  • Korean urban traditional housing abandoned by the social apathy promptly disappearing form our sight, or ruining. It tells that the strategies we are using today are impossible to fulfill socio-economic needs of residents here. So it needed to find out the strategies which can change this place better to live in. Consolidating the street parking lots fer car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solutions to the area. By using cul-de-sac, after setting up small unit of communities, we will have chance to have a small public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help to set up our tradition of people's intimacy inside the community. Most people have their own cars, and the need of parking lots becomes more serious. So, a meeting place like public well in the past must replace parking lots.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re-consolidate existing land to obtain appropriate land size for other uses. Today, the use of private space (house, private lots, etc..)and public space(streets, local offices) is very important. NIMBY (Not In My Back Yard) attitude should also be reconsidered. All these negative social aspects come from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thus we should consider them with care and deep understandings. The traditional housing of Korea should not be abandoned as slum, but this should be transformed in terms of the conservation since it is superior in its ecological and energy conservation aspect.

보차혼용도로에서의 LOS 평가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LOS Estimation Standard in the Mixed Traffic Street)

  • 김숙희;김관중;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3-71
    • /
    • 2006
  • 모든 교통수단이 혼재되어있는 보차혼용도로에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와 계획을 반영하는 지표들이 몇 논문에서 제시되어진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지표중 시공간점유 인덱스를 적용하여 수원시 주택가 이면도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동주택이 집합되어 있는 3곳을 조사대상지로 하였고. 이 대상지를 비디오로 1시간이상 촬영하였으며, 3곳의 길이는 각각 76m, 55m. 34rn 이며 각 지구별 주요가로로써 보행량과 통과차량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곳으로 선정하였다. 비디오 분석을 통해 시공간 점유인덱스와 1인당 시공간 점유량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였고, 즉 보행자,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의 평균속도, 평균통과시간 등과 주차대수 등의 파라메터를 얻었다 현재 보행자 전용도로가 아닌 모든 교통수단이 흔재되어 있는 보차혼용도로의 LOS를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OS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모든 교통수단이 혼재되어 있는 보차혼용도로에서의 보행자 LOS를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주택가 이면도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거나 보차공존도로를 계획할 때 반영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천안시 명동패션거리 일대 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for Downtow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Myeong-dong Fashion Street in Cheonan City-)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65-517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극심한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천안역 앞 명동패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심재생차원에서의 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천안시내 기존도심 지역의 물리 환경적 측면, 역사 문화적 측면,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가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가로이용행태와 가로활성화와 관련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해당 지역의 잠정적인 가로활성화 방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 토지소유자들의 개발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법적 인센티브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명동거리' 내에 휴식 및 녹지공간 조성, 기존건물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하공간을 활용한 공영주차장 조성 등이 제안된다.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가로별 업종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획일적이지 않도록 '명동거리', '은행길', '옛시청길' 등 가로별로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고 각각의 테마업종들이 예시된다. 역사 문화적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이 갖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역사탐방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패션거리와 연계하여 보행네트워크화 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도심상업지역의 노상 하역공간 최적배치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planning of the on-street loading/unloading bay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이상용;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7-67
    • /
    • 2008
  • 도시내부에서 발생하는 화물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도심상업지역에서는 노상 하역공간(loading zone)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지만, 현재 대도시의 도심상업지역의 경우는 하역공간의 설치미비로 인하여 화물자동차들은 마땅한 조업공간이 없어 노상에서 불법주정차 행위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도심교통의 장애를 야기하는 하나의 원이 되었으며, 그로 인한 혼잡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할 수 있도록 노상하역공간의 정비방안을 살펴보고, 부산의 도심상업지역인 서면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하여 노상하역주차 특성을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노상 하역공간의 정비는 규모 즉, 조업을 행할 수 있는 주 정차 베이(bay)의 개수 추계와 함께 이들의 적절한 배치장소를 모색하는 것이다. 규모적 측면에서의 주 정차 베이 수는 조업차량의 도착율 및 서비스율에 기초한 대기행렬의 적용을 통하여 산출 할 수 있었으며, 배치장소의 결정은 화물운반에 대한 저항함수를 정식화함으로써 최소 저항이 되는 위치를 산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