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Facilit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심가로변 상업 종사자의 가로 녹화에 대한 의식조사 (A Survey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Recognition on the Street Planting)

  • 김범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1-278
    • /
    • 2005
  • This study analyzes the recognition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who operate the commercial zone along the streets in the downtown area on the planting for the roadside green space forming the important frame of greening in the downtown among the open space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get the basic data to suggest the recommendable directions in planting and managing the street trees in the downt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described below. The street green spaces are very important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downtown and their necessities are also very critical. It was found that the street trees were recognized as the critical factor to enhance the aesthetical values of the city, provide the green shades and purify the air.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street trees have the positive impacts on the business environment rather than negative impacts. In maintaining the street green spaces, the most necessity is the service facility such as resting areas, toilets and garbage bins with the street trees. The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who operate the businesses along the streets preferred the double layer type that the tall trees and green walls are planted together along the streets for the street planting. For securing the green shades in the city, the planting of linear green spaces such as streets and waterways is critical. Moreover, the street trees accounts for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urban open spaces. The majority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consider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for greening as the very essential factor.

액체 램제트 엔진용 소형 연소기 직접 연결식 시험장치의 설계 방법과 시험 데이터 분석 (I) (Design Method and Preliminary Data Analysis of Subscale Direct-Connect Test Facility for Liquid Ramjet Combustor (I))

  • 성홍계;김인식;이규준;김경무;이도형;변종렬;황용석;오석진;한정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0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3
    • /
    • 2003
  • 액체 램제트의 연소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소형 직접 연결식 시험 장치에 대한 개념 설계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수 차례의 시험 결과 시험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연소실 압력 데이터에서 약190Hz대의 특정 주파수가 계측되었으며, 이는 연소실의 1L 음향 주파수(1200Hz)와는 차이가 큰 것이다. 불안정 모드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dump combustor에서 발생되는 흡입 공기의 vortex street, 쵸크 되지 않은 긴 흡입관에서 발생되는 흡입구의 resonance, 관측창으로 인해 변형된 연소실 형상 등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 PDF

디지털 환경에서 가로시설물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nges of Street Furniture in Digital Environment)

  • 인치호;김현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D호
    • /
    • pp.129-136
    • /
    • 2008
  •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 가로 공간도 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와 인터넷은 우리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었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실내 공간에서 가로 공간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 해 나가고 있다. 가로시설물은 인간의 가로 공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주는 편의 시설로서 첨단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현상에 관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일반적인가로 시설물 개체 수 변화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세대와 관련된 대표적인 두 곳, 대학로와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 시설물의 개체 수 및 그 이용실태를 조사 하였다. 다음으로 홍대 앞 가로공간의 사용자와 가로시설물 관리자들과의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여 가로시설물의 이용 및 관리 행태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보공유 및 문화적 교류, 자동화 및 상호 작용성, 기능의 가변성등의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다시 연구 검토하여 3I 요소 즉 정보화(Information), 지능화(Intellectualization), 그리고 통합화(Integration)라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로시설물의 변화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는 향후 첨단 디지털화 하는 정보 관련 가로시설물의 개발 및 디자인 과정의 방향설정에 적용되질 것으로 사료된다.

스트릿 몰(Street Mall)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국내 스트릿 몰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store unit configuration and business activation of street mall - Based on case studies of street malls in Korea -)

  • 우승현;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202-210
    • /
    • 2009
  •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 mall activation and architectural plan design.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of two existing street malls in Korea (Western Dome & LaFesta) and theoretical studies of outdoor space desig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building blocks with segments in every 50m or so are ideal for detailed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building contents. Second, the ratio of width of main corridor and building height should be less than 1 to provide intimate feel and keep visitors' attention concentrated in the facility. Third, store unit should have more storefronts to be exposed more to passers-by and lead more pedestrian traffic. Fourth, shape of store unit would rather be wide and shallow, instead of narrow and deep, to have more exposure to the central corridor. Fifth, the building block of the busiest(most expensive) area that is usually at the main entrance area of street mall should be flexible to fit more smaller units to maximize the profitability. Sixth, the main entrance of store should face the main pedestrian corridor to induce the influx of visitors. Lastly seventh, anchor tenant that has strong name recognition is usually located on basement or higher level to induce pedestrian traffic into the mall, key tenants that are strong and familiar brand names should be located at the corner of building block with spacing to attract visitors, provide even distribution of traffic, and support wayfinding, and local tenant should be located at small units along the central corridor or remainder spaces occurred from building core layout.

조명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Light Facility)

  • 전창대;장병건;김영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5
    • /
    • 2005
  • This paper concerns developing a integrated online/offline light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light facility using internet and building a database system for control box and street light. Also, we designed the system to minimize the disparity with the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by referring to a old management ledger format. Thus, the proposed method may enable the system manager to administer the light facility efficiently and to reduce the manpower cost, and time economically.

  • PDF

한시적 스트리트 퍼니처의 사례와 특성에 관한 연구 - 공사장 가설울타리와 가림막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Actual Cases of Temporary Street Furniture -Focused on the Tentativ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 배현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0
    • /
    • 2009
  •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temporary street furniture, which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comprise the street landscape in modem cit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guidance on direction of planning by examining the design and installation types of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usually established at construction sites for buildings, roads, parks and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of urban areas used to be a mere tentative facility to prevent noise and safety accidents but have now incremented their roles to serve not only as a functional but also as an aesthetic element with a city view and harmonization with other element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based on its unique feature of tentativeness, its role has developed to serve as street furniture that adds variability to the modem city. 2.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screen fences: blackout type and transparent type. The transparent screen turns out to be used a lot at the construction site of building a skyscraper or differentiated building in downtown city area or in places where there are buildings of similar types and shapes located along the street in the vicinity of the construction site. 3. The actual cases of adopting the tentativ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ll at the same time as a single unit have been found in historic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architectures with the screen design used to demonstrate the view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 PDF

국지도로의 노상주차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n-Street Parking on Local Streets)

  • 김기혁;이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33-40
    • /
    • 2004
  • 본 연구는 대구시내 국지도로의 노상주차장 설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상주차장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고, 도로의 신설 또는 확폭시 합리적인 계획 폭원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12개 시범지역의 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 교통량과 보행량을 제외하고 노상주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대부분이 계량화되지 않은 정성적인 자료이고, 종속변수인 노상주차장의 설치 유무도 질적인 자료이므로 수량화 이론II류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종속변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그 적중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지도로상에서 노상주차장의 설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로 폭원, 교통량, 보행자수, 노점상 등 상가적치물과 불법주차차량의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로의 신설 또는 확폭시 단지나 건축물내 발생 교통량과 통행량 분석과 인근지역의 노점상 점유와 불법주차 정도를 파악하여, 노상주차장 설치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적절한 도로 폭원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Image and Satisfaction for Storytelling Theme on the Kim Gwang-Seok Street)

  • 구민아;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68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 계획되고 있는 가로 중 스토리텔링에 의한 테마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이용 후 평가를 이미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장소성을 가진 공간으로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중 낙후된 골목재생을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의 음악과 예술에 관한 주제로 스토리텔링 장소로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 관리에 필요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이다.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문항과 이용행태, 동기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선호도와 만족도평가는 신뢰도분석, 평균치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룹의 이미지와 만족도 차이를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특성은 20대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용 동기와 활동유형은 산책과 구경, 사진촬영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미지평가 변수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평균치들은 상징적인(5.03), 친근한(4.84), 아름다운(4.71), 밝은(4.6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거리의 분위기, 디자인성 및 역동성 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징적인(${\beta}=.314$), 안정된(${\beta}=.248$), 친근한(${\beta}=.204$), 시원한 (${\beta}=.142$)과 같은 이미지 변수들에 의해 이미지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평가 또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요인분석 결과, 시설관리측면, 체험 요인, 이미지 요인 3가지로 분류되었고, 시설물디자인(3.81), 대표거리(3.78), 거리이미지(3.81), 지속적 이용(3.66), 체험관광(3.53)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리이미지(${\beta}=.296$), 관리(${\beta}=.277$), 지속적 이용(${\beta}=.205$), 대표거리(${\beta}=.183$)에 관한 4개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김광석다시그리길 스토리텔링 골목의 재생사업 이후, 골목의 이미지는 상징성과 경관미, 친근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이미지 개선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물디자인의 개선, 대표거리로서의 상징성과 이미지의 강화, 다양한 체험 등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추후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계획과 관리에서는 좀 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을 확립하고, 그로 인해 골목의 정체성과 상징성 또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해 나가야 함을 말해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온라인/오프라인 조명시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On-line/Off-line Light Facility Management Program)

  • 전창대;장병건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5
    • /
    • 2004
  • This paper concerns developing a real time on-line light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and building a database system for control box and street light. Also, we designed the system to minimize the disparity with the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by referring to a old management ledger format. Thus, the proposed method may enable the system manager to administer the light facility efficiently and to reduce the manpower cost, and time economically.

  • PDF

가로변 미디어폴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 강남 U-street를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of Media Pole on Pedestrian Satisfaction for Walking -Focused on Media Pole in Gang Nam U-street-)

  • 조정필;박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8-528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 U-street에 설치된 L.E.D 미디어 폴(Media pole)이라는 통합형 가로시설물이 보행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가로시설물로서 미디어폴의 구성요소를 보행자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제1요인은 '심미 상징성'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제2요인은 '형태 조형성', 제3요인은 '접근 연속성'으로 분석하였다. 제4요인은 '감각 전달성', 제5요인은 '정보 매체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분석은 이용자 관점에서 사례대상지 보행자에 대한 행태관찰과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고, 33개 예비변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요인을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에서 사용할 20개 예비변수를 선정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선정된 5개의 독립변수와 보행자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남대로 U-street에 설치된 미디어 폴이 보행자의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 통계학적 유의미한 영향요소는 '심미 상징성'요인으로 분석되었다. U-street에서 미디어 폴은 보행자에게 심미적 감성과 상징성으로 새로운 보행체험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용자 편의성을 기반으로한 정보매체로서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활용 가능한 콘텐츠 다양화를 유도해야할 것이다. IT 기반형 멀티미디어 매체인 미디어폴은 융합하는 가로환경과 융합하여 보행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여 보행활성화에 새로운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