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Dus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가로녹지 유형이 보행공간의 초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기후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 (Analysis of the effect of street green structure on PM2.5 in the walk space - Using microclimate simulation -)

  • 김신우;이동근;배채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75
    • /
    • 2021
  • Roadside greenery in the city is not only a means of reducing fine dust, but also an indispensable element of the c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noise reduction, ecosystem connectivity, and aesthetics. However, in studies dealing with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through trees in existing urban spaces, microscopic aspects such as the adsorption effect of plants were dealt with, structural changes such as the width of urban buildings and street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ees, Impact studies that reflect the actual form of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reenery composition applicable to urban space on PM2.5 was simulated through the microclimate epidemiologic model ENVI-met, and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parallel to verify the resul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fine dust background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leaf area index, the sensitivity to major influencing variables was t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e dust reduction effect was the highest in the case with a high planting amount, and the reduction effect was the greatest at a low background concentration. Based on this, the cost of planting street green areas and the effect of reducing PM2.5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effect of pedestrian space on air quality when planning and designing street green spaces.

유출저감을 위한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시공방법 (Urban Waterway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unoff Reduction)

  • 오영탁;한승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5-33
    • /
    • 2021
  • 본 기술은 기존의 빗물받이 및 도시형수로 시스템의 대체 가능한 기술로서 적용시 빗물은 빠르게 투수됨으로써 도시홍수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강우시 인도 방향의 제1 수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담배꽁초 등의 쓰레기는 유입되지 않고, 채움재를 통해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킨 후 지하로 투수시킬 수 있다. 제2 수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유속을 떨어뜨려 임시로 저류하였다가 배수관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관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시홍수 및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대구지역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s and Source Assessment of Street Dust in Daegu, Korea)

  • 송희봉;이은영;도화석;정철수;신동찬;이명숙;백윤경;전성숙;신원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93-800
    • /
    • 2007
  • 2006년 4월과 5월에 대구지역의 도로먼지로 채취한 총 48개의 시료를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 평가결과, Ca, Fe, K, Mg, Mn, Na, V의 성분은 토양과 먼지와 같은 자연적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반면에 Cd, Cr, Cu, Ni, Pb, Zn의 성분은 연료연소와 폐기물소각과 같은 인위적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분석결과는 자연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이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보다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은 대구지역이 외국의 다른 도시보다 대체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와 중금속의 오염지수는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이 주거지역과 녹지지역보다 높았다. 그리고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많았던 반면에 자연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적었다. 게다가 교통량과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가로등 화재사고의 원인규명과 검증 (Cause Investigation and Verification of Fire Accidents for Road and Street Lighting)

  • 송길목;한운기;김종민;김영석;김명수;김혁수
    • 한국화재조사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2008
  • 본 연구는 현장에서 발생한 가로등 화재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검증실험과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물질이 부착된 250W 메탈할라이드등은 $410.4^{\circ}C$로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였다. 따라서 환기 및 방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MH 램프에 의한 열은 발광판에서 유리구, 등기구로 이어지며 확산되었다. 메탈할라이드등의 사고원인은 등기구 내부의 이물질이 침적되어 축열 및 화재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등기구의 설계에 있어서 외부 이물질 또는 분진이 침적되지 않으면서 축열이 되지 않는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 PDF

서울 일부지역의 도로변 대기중 분진 및 납 농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SP and Pb Concentration in Atmosphere in Seoul)

  • 김지선;박석환;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21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TSP, Pb and street dust Pb in Kuro, Chong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from August 15 to September 15, 1990.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in chongro and Kuro were 460$\mu$g/m$^{3}$ and 440$\mu$g/m$^}3}$, respectively, and exceed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300$\mu$g/m$^{3}$. Averag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in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270$\mu$g/m$^{3}$ and 80$\mu$g/m$^{3}$, respectively, and didn't exceed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300$\mu$g/m$^{3}$. Th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between Seoul area(Kuro, Chongro and Nam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2. Average airborne Pb concentrations in Chongro, Ku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1.07, 0.55, 0.84 and 0.16$\mu$g/m$^{3}$, respectively. All the airborne Pb concentration at four area were below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1.5$\mu$g/m$^{3}$. The airborne Pb concentrations between Seoul area (Kuro, Chongro and Narn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3. Pb contents in street dusts in Kuro, Chong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9.30, 15.25, 18.17 and 3.16$\mu$g/g, respectively. The Pb contents in street dusts between Seoul area(Kuro, Chongro and Nam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4. The airborne TSP and Pb concentrations were highly correlated(r=0.68), but the Pb concentrations in street dusts and atmosphere were poorly correlated(r=0.22).

  • PDF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Temperature and Fine Dust in the Roadside Tree Planting Scenario)

  • 엄정희;민진규;박주현;손정민;서홍덕;오정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8-81
    • /
    • 2023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내 폭염 및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가로수의 간격과 배열에 기반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저감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로수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미기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 5.0.2v 모델을 사용하였다. 가로수 간격에 따른 기온 분석 결과, 가로수의 간격이 좁아져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낮 시간대의 기온이 낮아졌으며, 오전 및 저녁 시간대에는 가로수 간격에 상관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가로수 배열에 따른 기온은 배열이 증가하여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양의 수목을 식재하고 배열의 간격을 넓힌 시나리오에서 기온 저감폭이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수목의 양뿐만 아니라 수관투영면적 역시 기온 저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로수 배열에 있어서 미세먼지 농도는 간격에 따른 결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주풍향과 수목 식재 방향의 관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가로녹지에 의한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로수 조성·관리 기본 계획,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효율적인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ZZY 추론 시스템 기반 미세먼지 판단 (Fine particulate Judgment based on Fuzzy Inference System)

  • 홍유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27-133
    • /
    • 2020
  • WHO 산하 국제 암 연구소 에서는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를 말한다. 미세먼지는 주로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며, 페질환, 페렴, 심장질환을 유발 할 수 있는 위험 인자 이다. 환경부에서는, 최근 미세먼지 측정소 10곳의 산출자료를 분석한 결과, 약 60% 정도가 기존 대기측정농도가 더 높게 나오는 오류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미세먼지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풍향, 측정위치를 반드시 보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퍼지 규칙을 이용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뿐만 아니라, 길거리 보행자가 실제로 느끼는 미세먼지 체감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날씨조건, 온도조건, 습도조건, 바람조건을 고려한 미세먼지 체감지수 산출 컴퓨터 모의실험을 수행 하였다.

대구지역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의 시설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Characteristics of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Dust by Facilities and Areas in Daegu, Korea)

  • 송희봉;도화석;곽진희;김종우;강재형;피영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7-295
    • /
    • 2010
  • 대구광역시의 도로, 학교, 지하역사, 주택 등을 대상으로 축적먼지를 채취하여 100 ${\mu}m$ 이하로 걸러서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미량원소성분 중 Ca, Fe, K, Mg, Mn, Na, V는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고, Cd, Cr, Cu, Ni, Pb, Zn은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는 자연적인 발생원 성분이 인위적인 발생원 성분보다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학교는 Ca과 Pb의 농도가 높았고, 지하역사는 Cu와 Zn의 농도가 높았다. 미량원소성분의 조성백분율은 실내인 지하역사 주택 학교가 실외인 도로보다 인위적인 발생원 성분을 많이 함유하였다. 또한 유해중금속성분의 오염도는 학교 주택 지하역사가 도로보다 높았고,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높은 전형적인 경향을 보였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은 흙먼지나 도로의 재비산먼지관련 성분간에 양호하였고, 폐기물소각이나 연료연소관련 성분간에도 양호하였다.

Phyllite를 수분조절제(水分調節劑)로서 이용한 퇴비화(堆肥化) 연구(硏究) (Study on Pig Manure Composting Using Phyllite as Bulking Agent)

  • 박영희;장기운;홍재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82-91
    • /
    • 2002
  • 본 연구는 phyllite의 돈분 퇴비화 과정 중 수분조절제로서의 활용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였다. phyllite에 대한 수분조절제로서의 평가를 위해 톱밥을 이용한 돈분퇴비구(PSC)를 대조구로 하였다. Phyllite 10%와 톱밥 20%를 처리한 퇴비구(PSPC10)와 phyllite 20%와 톱밥 10%를 처리한 퇴비구(PSPC20)에서의 결과 20%의 phyllite를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부숙이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상대적인 유기물의 감소로 인한 C/N비가 매우 낮았다. 따라서 phyllite는 현재 퇴비화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와 비교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농업적 자재로서의 활용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대구지역 학교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s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School Dust in Daegu, Korea)

  • 송희봉;도화석;이명숙;신동찬;윤호석;곽진희;정철수;강재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90-1399
    • /
    • 2007
  • 2007년 1월에 대구지역의 총 45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먼지를 채취하여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을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반면에 교실은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연적인 발생원 성분이 인위적인 발생원 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교실은 운동장보다 뚜렷하게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그리고 토양운동장과 잔디운동장을 이용하는 교실간은 대체로 농도차이가 없었다. 대구지역의 수준은 국내의 다른 지역보다 운동장이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교실은 높은 농도를 보였다. 대구지역의 교실에 축적된 먼지는 도로상에 축적된 먼지보다 미량원소성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었다. 오염지수를 이용한 중금속성분의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중금속오염이 거의 없는 수준을 보였으나 교실은 중금속오염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운동장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교실은 도시지역이 농촌지역 보다 중금속오염이 약간 높았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장은 교실보다 미량원소성분간에 양호한 상관성을 많이 보였다. 교실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은 운동장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