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y-height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1초

강판성형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춤이 깊은 합성데크- (Flexural Capacity of the Profiled Steel Composite Beams -Deep Deck Plate-)

  • 허병욱;곽명근;배규웅;정상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47-258
    • /
    • 2007
  • 본 논문은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합성바닥판의 춤이 자유로운 신형상의 매입형 합성보에 관한 실험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강판성형 철골보 단면을 개발하였고 바닥 슬래브용으로 250mm의 춤을 가진 춤이 깊은 데크 플레이트(이하 Deep Deck)를 사용하여 장스팬에 유리하도록 계획하였다. 실험은 전단스터드 및 인장보강근의 사용유무, 사용강판의 두께, 웨브 개구부의 유무를 주요 변수로 하여 총 7개의 매입형 합성보에 대한 단순지지 휨실험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강판성형 매립형 합성보는 전단연결재의 설치 없이 철골보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해 수평전단력이 전달되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우수한 합성거동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각형 골조의 고유치와 고유치 간의 관계 (The Eigenvalues and Their Relationships for the Rectangular Frame)

  • 이수곤;김순철;송창영;송상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39-150
    • /
    • 2005
  •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기둥단면이 직선형태로 변화하는 3경간 단층 골조의 두 고유치 (탄성임계하중과 횡방향 기본진동수)를 산정하였다. 수치해석에서 고려한 변수는 기둥의 taper 비 ($={\alpha}$), 경간대 층고비 ($={\beta}$), 보와 기둥의 단면2차 모멘트 비(=Y)이다. 또한 주각의 지지상태와 주두의 수평동(side-sway)유무가 고유치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였다. 하나의 연속함수로부터 고유치의 변화 추정이 가능한 대수 함수식을 제안하였다. 대수함수식의 변수는 수치해석에서의 변수 즉 ${\alpha}$, ${\beta}$ 및 Y 이다. 골조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의 크기를 점차 증가시켜 가면서 여기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감소현상을 검토하였다.

서울시 오피스텔의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fficetel Rent Determinants in Seoul)

  • 구동회;양승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54-666
    • /
    • 2004
  • 1980년대 중반 오피스텔이 처음 공급된 이래로 오피스텔 건축기준이 변화함에 따라 오피스텔의 기능은 사무용에서 주거용으로 변화되어 왔다. 서울시의 오피스텔 공급추이를 살펴보면, 1991년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급이 이루어졌고, 1990년대 중반에는 공급이 감소되었다가, 1596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 오피스텔의 임대료 결정 요인에 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남 여부, 전용률, 주거용 여부 등의 설명변수들이 서울시 오피스텔의 주요 임대료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 오피스텔의 평당 임대료는 강남에 소재하고 전용률이 높으며 주거용인 오피스텔이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무용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층수가,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전용률이 유의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종합병원 Utility Space의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the Utility Space in General Hospital)

  • 김은석;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77-84
    • /
    • 2017
  • Purpose: In terms of the flexibility in hospital architecture, there are fixed elements of hospital architecture: mechanical, electrical, aeration rooms and shafts, which are the main utility spaces. Thu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utility space as a system that helps internal functions and flexible internal changes. This study analyzes the notion of the main utility space in hospital architecture and the architectural planning features of the main utility spaces as the system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recently built hospitals. Methods: The design factors are extracted comparing two hospitals' plans in each stage and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utility spaces are analyzed accordingly. The opinions gathered from interviews of practitioners, architects and facility planning experts directly involved in the architecture design process a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results. Results: Planning for utility spaces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architectural plan from the basic design process, and proceeded with recognizing utility spaces as a system, which is a fixed element. Utility spaces are highly organically connected.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chambers can reduce the length and number of ducts, and thus save story height, and reduce the number of shafts, the vertical connection passage. This is advantageous in securing the variable area,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system-centered hospital architecture plan. Implications: Thereb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systematic utility space planning in the hospital architecture planning.

트러스 데크를 사용한 강판성형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Flexural Capacity of the Profiled Steel Composite Beams with Truss Deck Plate)

  • 허병욱;곽명근;배규웅;정상민;강석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3-423
    • /
    • 2007
  • 기존의 층고절감형 합성보 시스템은 철골보의 웨브면에 바닥판을 삽입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존 합성보 형식과 비교하여 층고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적용되는 철골보 춤이 제한되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스팬이 한정되어 있어 여러 가지 다양한 건축구조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층고절감형 합성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보의 춤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층고절감형 매입형 합성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매입된 강팡성형 철골보를 가지는 불완전 합성보의 휨거동에 관한 것이다. 총 5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전단연결재 및 보강근의 사용유무, 슬래브 형식을 주요변수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지 않은 실험체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부착응력으로 인해 $0.20{\sim}0.76N/mm^2$의 부착응력을 나타내었다.

장기간 방치된 경막하 농양을 동반한 복합 두피 및 두개골 결손 환자에서 광배근 유리 근피부피판을 이용한 치험례 (Reconstruction of Long Term Neglected, Complicated Scalp and Calvarial Defects with Subdural Abscess Using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 A Case Report)

  • 노용준;이상형;정의철;박지웅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0
    • /
    • 2011
  • Purpose: There have been few case reports regarding treatment plans for long-term, neglected scalp defects and calvarial defects with subdural abscess.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present our experience with a fre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for scalp and calvarial defects and to discuss flap options in comparison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A 60-year-old man who fell down from a four-story-height that resulted in a craniotomy in 1979; he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for a chronic, purulent scalp and calvarial defects with unidentified artificial bone. The artificial bone was removed by a neurosurgeon and reconstructed with a fre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The deep temporal artery was used as a recipient artery. The postoperative flap status was excellent until the 6th day post-operation when the patient experienced a seizure, and an arterial insufficiency occurred at the flap probably due to an arterial spasm. Emergency exploration with arterial re-anastomosis was performed and the flap status was stabilized. Results: Complete wound healing was achieved after 3 weeks without infectious and systemic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ring the 6 month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Conclusion: We suggest the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 as a good treatment option for a chronic, purulent, complicated scalp with calvarial defect, as a well as treatment for an acute traumatic defect.

Structural performance and SWOT analysis of multi-story buildings of lightweight reinforced concrete comprising local waste materials

  • Walid A., Al-Kutti;A.B.M. Saiful, Islam;Zaheer Abbas, Kazmi;Mahmoud, Sodangi;Fahad, Anwar;Muhammad, Nasir;Muhammad Arif Aziz, Ahmed;Khalid Saqer, Alotaib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3권6호
    • /
    • pp.493-502
    • /
    • 2022
  • In recent decades, infrastructural development has exploded, particularly in the coastal region of Saudi Arabia. The rising demand of most consumed aggregate in construction can be effectively compensated by the alternative material like scoria which lavishly exists in the western region. Scoria is characterized as lightweight aggregate beneficially used to develop lightweight concrete (LWC) - a potential alternative of normal weight concrete (NWC) ensuring reduction in the structural element's size, increase in building height, comparatively lighter foundation, etc. He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scoria-based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and evaluate its impact on superstructure and foundation design beside contributing to the economy of construction. Fresh,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novel LWC have been investigated. The structural analyses employ the NWC as well as LWC based structures under seismic and wind loadings. The commercial finite element package - ETABS was employed to find out the change in structural responses and foundations. The cost estimation and SWOT analysis for superstructure and foundation have also been carried out.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ed LWC enabled a more flexible structural design. Notable reduction in the steel and concrete prices of LWC might be possible in the low-rise building. It is postulated that th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LWC will promote the usage of scoria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Saudi Arabia and GCC countries for structurally viable LWC construction.

고층건물의 자연 진동실험 및 시스템판별 (Ambient Vibration Testing and System Identification for Tall Buildings)

  • 조순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3-33
    • /
    • 2012
  • 구조물의 특성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18층 규모의 사무용 건물 3동에 대하여 자연진동 조건하에서 동적계측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건물은 기본적으로 보-기둥 골조시스템에 횡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코아가 배치된 혼합 구조형식을 나타낸다. 매층 마다 측정한 일련의 진동기록으로부터 고유진동수, 모드형태 및 감쇠율 등과 같은 모달계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최신 주파수- 및 시간영역-기반 응답의존 시스템판별법인 FDD, pLSCF 및 SSI를 적용하였다. 3방법에 의하여 추출한 결과는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초기 FE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저차 3개 고유진동수는 대략 1.2~1.7배나 되는 단단한 거동을 나타냈다. 진동응답으로부터 추출된 값, 기준에서 제시하는 약산식 및 FE해석에 의하여 산정된 고유주기를 비교하여 보면, FE결과가 가장 유연한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높이를 변수로 하는 약산식이 추출된 값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현재의 실험 추출치에는 콘크리트 균열 등과 같은 강성저감 요인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FE 해석치는 비구조체 및 사용된 재료의 실제성능 등과 관련된 강성증가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개구부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거동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with Web Openings)

  • 이진섭;김상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19-628
    • /
    • 2001
  • 깊은 보의 실제 시공에서는 창호, 배관, 설비 등의 건축적 요구 조건과 각종 제약 조건에 의하여 복부에 개구부를 설치해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개구부를 갖는 깊은 보에서는 하중 전달 경로가 개구부의 위치와 크기 및 형태 등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연구는 양단이 단순지지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질은 보를 대상으로 하여, 전단경간비와 콘크리트 강도, 복부 보강형태 및 개구부의 위치 등 여러 구조 변수가 깊은 보의 최대 전단내력과 균열 발생 및 진전, 파괴형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조사하고 이론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깊은 보의 거동은 복부의 대각균열 형성과 크게 연관되어 있으며, 전단경간비와 개구부의 영향에 따라 내력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식으로는 Kong의 제안식과 Ray의 제안식이 비교되었으며 개구부의 크기가 커 다소 오차를 보이는 X 계열 시험체를 제외하면 Kong과 Ray의 제안식 모두가 깊은 보의 극한 전단강도를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75년 서울시 중학교 표준설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Drawings of Seoul Middle School Architecture in 1975)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97-2504
    • /
    • 2013
  • 본 연구는 1975년 서울시 교육위원회에서 발간한 '학교시설 표준설계도'가 중학교 대상 표준도의 초기 사례임에 주목하여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평면계획에서는 편복도형 블록플랜이 전형적으로 적용된 가운데 유형별로 복도를 없앤 평면형, 일조조건 개선을 위한 $9.9{\times}6.6m$ 교실 모듈, 수납공간의 적극적 계획 등의 변화도 보인다. 둘 째, 일체의 의장이 배제된, 채광면적의 확보를 우선으로 하는 기능적인 입면계획이 적용되었다. 셋 째, 층고, 천정고, 창틀의 설치 위치 등에서 규준화된 단면 치수들이 적용되었으며 노출 천정 구조, 단열구조의 미비, 초기 유형의 목재 바닥틀 혼용 등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조 교사의 과도기적 특성이 보인다. 넷 째, 체육관 계획에서는 다양한 입면구성과 매스의 조형적 처리로 교사동과 대비되는, 학교건축의 상징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의도가 나타난다. 다섯 째, 교사동과 이격 배치를 전제로 하는 화장실과 관리실 등의 별동형 계획에서도 동시대 학교건축으로 전환해 가는 과도기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은 표준도에 의한 과거 학교건축의 전형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당시 학교건축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에 대한 대응 방식과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75년 서울시 표준도'가 가지는 교육시설사 연구 사료로서의 주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