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one Wall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4초

석조문화재 기초부의 공학적 복원을 위한 유한요소법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Engineering Restoration of Dry Stone Wall Foundations)

  • 김성수;정영훈;목영진;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130-1141
    • /
    • 2010
  • Even though a number of historic structures in Korea need to be repaired, an intensive research on their engineering performance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Herein, we attempted to provide a methodological approach via the explicit finite element analysis to investigate geotechnical aspect of the performance of the dry-stone wall structures. To do so, we summarized relevant literature on the world-wide historic stone structures as well as its analysis in terms of modern geotechnical engineering. The method of the explicit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briefly summarized. The numerical results on an idealized block structure show that the displacement of blocks and the distribution of earth pressur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heory of the retaining wall because of the discrete nature of the dry-stone wall structure.

  • PDF

기술사 마당 - 기술자료 - 도시시설물에서 미적(美的) 경관요소를 고려한 자연석 옹벽 (Natural Wall Systems-Esthetic View Element in a Downtown Facilities)

  • 조규영;노금두;서범석
    • 기술사
    • /
    • 제42권4호
    • /
    • pp.55-61
    • /
    • 2009
  •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to stabilize the land slope as vertical retaining wall have constructed to make efficiency use of downtown area. Recently to commune with nature and refine a apartment and structure, natural friendly relations for retaining walls are tried to construct. The surface of the concrete walls are weave in various figures and colours, and in some places plant a shrub. Laying a landscape stone which have disclose a plane nature one means keeping up the natural slope, constructively safely set a anchor in front side and rear side wall between the natural stone, plant shrub or ground coverings to give shape into a rock. Natural stone is exposed of surface and planting the gardening, to be a type of natural friendly relations however that will be recycled. The size of blasted nature stone which is irregular become more natural type of one.

  • PDF

ALC 블록 벽체에 시공한 석재 아트월의 내충격성 평가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of Interior Stone Walls Constructed on the ALC Block Wall)

  • 고봉천;이덕주;김현;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11
    • /
    • 2019
  • Interior stone walls are using commonly in non-bearing lightweight walls of apartments. The stones of interior wall were two types, one is a granite stone, another is a marble stone. Granite stone is attached by the epoxy adhesive and marble stone is attached by dedicated anchor and fastener. The impact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interior stone walls in accordance with KS F 2613. The test methods included the impact resistance tests by each of soft impact body and hard impact body. The results of the test have proved that interior stone walls can withstand the soft impact bodies and hard impact bodies that are likely to happen in everyday life.

  • PDF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石築)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Stone Retaining Wall of Gudeuljang Paddy Fields in Cheongsan-Island)

  • 차두원;김지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
    • /
    • 2023
  • 본 연구는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을 대상으로 관속식물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식물다양성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행되었다.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전체 관속식물은 60과 142속 170종 5아종 9변종 총 18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8분류군, 암벽식생은 20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25분류군이었다. 이 중 희귀식물인 고란초는 부흥리, 청계리 구들장논 석축에서 소수 개체로 확인되었으나 구들장논 석축 훼손, 방치로 인해 종·개체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생육지 보존이 필요하다.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 - 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 (Case Study for Rural Landscape Analysis Used by GIS Technology - Focused on the Jeiu Stone Wall Landscape -)

  • 최용복;정문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49-361
    • /
    • 2006
  • 국내외적으로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과 함께 경관에 대한 관리 및 보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천혜의 자연조건과 함께 아름다운 농촌경관을 유지하고 있는 제주도에서도 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및 동법 시행조례로서 경관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관관리에 대한 노력에도 무분별한 건축물의 난립 등으로 인하여 경관훼손이 가해져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시급한 처지이다. 이러한 농촌경관 가운데에서도 대표적인 경관을 구성하는 돌담의 훼손이 심각히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현재의 경관관리는 조망지역의 가시권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요한 경관요소에 대해서는 경관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돌담 경관의 훼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제주도 돌담이 경관 요소로서 가지고 있는 중요한 내재적 가치를 정립하였고 또한 기존의 가시권 중심의 조망지점 경관분석에서 훼손 가능성을 경관분석에 적용함으로서 보전측면을 강화한 경관평가를 제안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하여 돌담 경관 실태와 훼손정도를 추정하여 GIS 기술의 활용여부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도의 대표성을 지니는 한경, 애월, 신촌 등 여섯 군데의 농촌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정하였으며 이 지역에 대한 경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언더컷 앵커 방식의 석재 커튼월 공법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Under Cut Anchor Stone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 장극관;박남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38-146
    • /
    • 2014
  • 최근 지어지고 있는 건축물은 구조적인 안전성과 사용성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건물의 외장재로 석재 커튼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석재마감공법은 건물의 중량화를 비롯한 시공성과 보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시의 소음 진동 등에 의해 민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성,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보조 고정 홀을 통해 석재 패널의 부분보수가 가능한 언더컷 앵커 방식의 석재 커튼월 시공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공성 및 경제성분석과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풍압 및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공법이 기존공법에 비해 향상된 시공성과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성능 평가결과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밭담은 태풍에 왜 안 무너지나?: 비직교 대칭 하중 아다마르 행렬에 의한 수학적 접근 I (Why Won't the Field Wall Collapse in the Typhoon? : Mathematical Approach to Non-orthogonal Symmetric Weighted Hadamard Matrix I)

  • 이문호;김정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1-217
    • /
    • 2019
  • 제주의 3대 발명은 1234년 김구 판관의 밭담, 제주 사람들의 방목문화 관습에서 나온 정낭, 1406년 문방귀의 묘의 신문인 올레 등을 들 수 있다. 돌과 돌의 수 눌음에서 나온 외담인 밭담은 친족사회인 괸당을 만들었다. 30m/s 이상 불어오는 태풍에도 약 1.5m 높이인 밭담은 무너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주 사회의 괸당도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서로 도와 무너지지 않는다. 밭담을 쌓을 때는 밑돌인 괸돌 둘을 나란히 평면으로 붙이고 그 위에 왼쪽 윗돌로 괴고 옆에 오른쪽 윗돌을 상보적으로 붙인다. 밭담이 밑에서 위쪽으로 한 돌, 두 돌 붙여나가는데 가운데 돌은 조금 작거나 큰 비정형 돌들로 쌓으면 하나의 공간에선 평면 밭담이 된다. 괸당은 할아버지, 할머니-아버지, 어머니-나를 중심으로 가깝고, 먼 혈족이 수직관계를 나타낸다. 밭담은 밑에서 위로 쌓아가는 수직관계인 데 반하여, 괸당은 윗대 할아버지 친족에서 아랫대의 손자까지 피를 나누어가는 수평 관계다. 본 논문은 밭담 가운데 돌이 큰 돌(작은 돌)을 놓는가에 대해서 비직교 대칭 하중 Hadamard 행렬로 접근한다.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남시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7-21
    • /
    • 2008
  •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one of the early staged stone pagodas, has been known as a standard of Silla stone pagodas. A stone pagoda is not only a stone art work and but also a stone architecture. In understanding the stone pagoda it is very important to be approached with technological side in which we can investigate the stone pagoda deeply and as well as to have been approached with art historical view. Also it needs that we should see the stone pagoda in view of structural safety. We can get many high technique from our ancestors who made Gameunsajiseoktap. 1. To reduce any deformation such as relaxation and sinking of members which is caused by a heavy load the members such as the lower tier of the base is made up of the foundation stone and side stone in each, comprising one stone. 2. A spec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wall stone and column stone in stereobates was invented. It is to make column stone projected partially and wall stone be caved in that two members should be jointed well. This unique method is not used any longer after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3. In each side upper and lower member are not engaged as the size of roof stones and support stones of roof stones are different. It can be done for a distribution of perpendicular load and a prevention for relaxation of members. 4. It makes sure that to make upper ends of support stones 10mm lower was to be avoid upper loads to it judging from survey in disassemblying east pagoda. It proves that ancestors who made this stone pagoda had a technique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matters to make small members as big as possible, not to engage in joint, to avoid in ends of members from upper load.

  • PD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NCIENT MASONRY CASTLE WALLS

  • SungMinLee;SooGonLee
    • 지구물리
    • /
    • 제6권2호
    • /
    • pp.71-77
    • /
    • 2003
  • Generall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one wall structures depend on several factors such as contact, the type of interlocking bonding stones, and the filling materials. This paper describes a non-destructive technique for diagnosis of historic masonry stone structures using the measurement of natural frequency technique. For this purpose, the castle wall of Nag-An Folk Town located in Sunchon, Korea was selected as a model. The Nag-An Town Castle is one of the well maintained historical remains constructed in the Chosun Kingdom of Korea. The construction started in 1397 A.D and was finished in 1626 A.D. The non-mortar castle wall is 1470m long and the average height is 4m with a width of 3 4m. The exterior of the wall is bonded with 1 2 m rectangular rough-faced stone and the inside of the wall is filled with gravel. The traditional village still remains inside the Nag-An Town Castle, and they have a regional food festival every October. Transverse vibrations were measured at 8 points around the castle. The measured natural frequency of the first mode was 26Hz 41Hz, and the shear modulus of filling material was 2.142 x $10^3$ ~ 8.915 x $10^3$kgf/$cm^2$ . With these results, it may be assumed that the filling material is gravel or a sand-gravel mixture.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addressing the maintenance problems of the old castle walls.

  • PDF

보강토옹벽 뒷채움재료로서 쇄석혼합토의 강도특성 연구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oils mixed with Crushed Stone as a Backfill of Reinforced Earth Wall)

  • 박종범;주재우;김현두;나현호;한상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7-73
    • /
    • 2010
  • 보강토 옹벽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양질의 뒷채움 재료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질의 재료가 부족하여 부득히 부족한 토사대신 현장 유용토인 쇄석을 혼합하여 보강토 옹벽을 축조한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의 뒷채움 재료로서 쇄석혼합토를 사용할 경우 혼합비에 따른 입도분포, 진단특성 및 인발특성에 대해서 각각 실험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특성변화들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쇄석의 함유량에 대해 입도 선정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는데, 시험결과 입도19mm이하의 쇄석을 20%까지 혼합한 경우 뒷채움재료의 입도기준을 만족하였다. 전단강도정수 및 인발정수를 구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정수들은 쇄석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쇄석혼합토가 뒷채움재료로 사용될 경우 본 연구결과는 설계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