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Column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7초

Behavior of sand columns reinforced by vertical geotextile encasement and horizontal geotextile layers

  • Shamsi, Mohammad;Ghanbari, Ali;Nazariafshar, Java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9권4호
    • /
    • pp.329-342
    • /
    • 2019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a group of sand columns in the loose soil bed using triaxial tests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otextile reinforcement type on the bearing capacity of these sand columns, Vertical encased sand columns (VESCs) and horizontally reinforced sand columns (HRSCs) were used. Number of sixteen independent triaxial tests and finite element simulation were performed on specimens with a diameter of 100 mm and a height of 200 mm. Specimens were reinforced by either a single sand column or three sand columns with the same area replacement ratio (16%)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column arrangement. Effect the number of sand columns, the length of vertical encasement and the number of horizontal reinforcing laye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bearing capacity improvement and econom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the samples with three ordinary sand columns (OSCs) is eventually about 11% more than samples with an OSC. Also, comparison of the column reinforcing modes showed that four horizontal layers of geotextile achieved similar performance to a vertical encasement geotextile at the 50% of the column height,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 improvement, while from the viewpoint of economy, the geotextile needed for encasing the single column is around 2.5 times of the geotextile required for four layers.

석분 및 벤토나이트 함유량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동적거동 특성 (Dynamic Behavior Properties of Decomposed Granite Soil varying Content of Stone Sludge and Bentonite)

  • 이강일;김민준;김태훈;우종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5-45
    • /
    • 2012
  • 본 연구는 석산개발 및 석재가공으로 인해 발생되는 석분의 적절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화강풍화토에 석분과 벤토나이트를 혼합한 시료에 대한 동적거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시체 성형은 화강풍화토에 석분을 0%, 5%, 10%, 15%로 혼합하고 그 혼합토에 벤토나이트를 0%, 5%, 10%, 15%로 다시 혼합하여 만든 16개의 시료를 중량백분율로 배합한 뒤 표준다짐을 실시하고 공시체를 제작하여 각 구속압별로 공진주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화강풍화토가 가지고 있는 최대 전단탄성계수 및 최소감쇠비 조건을 만족하는 혼합비율은 화강풍화토에 석분과 벤토나이트의 함유량이 각각 5%에서 10%범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화강풍화토에 석분과 벤토나이트를 혼합한다면 이 혼합된 시료도 동적거동을 받는 지반재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A Study on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n the Honam Region of Korea in Goryeo Period)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4-21
    • /
    • 2016
  • 이제까지 호남지역의 석탑은 대체로 백제의 고토란 이유로 백제계 석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호남지역의 석탑은 94기이고, 이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은 15기, 신라계 석탑은 34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제까지 백제계 석탑에 편중한 연구에서 신라계 석탑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호남지역 석탑의 새로운 면모를 밝히고자 하였다. 석탑의 지역적인 배치를 통해 본 결과, 통일신라시대에는 전라남도에 치중하여 신라 석탑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오면 호남지역 전역에 걸쳐 불국사 삼층석탑을 모방한 신라계 석탑이 건립된다. 이러한 점은 이전의 시기보다 신라계 세력의 호남지역에 대한 불교지배력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는 김제, 정읍, 순창 담양, 영암 강진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의 기단부의 형식은 이층기단은 21기, 단층기단은 12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 석탑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이층기단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로 파악된다. 단층기단도 1매석, 또는 자연암반을 하층기단 삼아 단층기단으로 만들어진 탑도 2기가 있었다. 탑신부는 삼층석탑이 21기, 오층석탑이 12기이며, 1층탑신석을 1매석으로 만든 탑이 25기로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3층탑신부와 탑신석 1매석 제작 전통을 잘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옥개받침은 3단, 4단, 5단 등 그 구성방법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이층기단을 가지고 있는 석탑 중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에 탱주가 있는 석탑은 16기 중 12기가, 삼층석탑은 21기 중 15기가 전라남도에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계 석탑의 정형성을 잘 계승하여 더 많이 유행한 지역은 전라남도임을 알 수 있었다.

미륵사지서탑 축조의 구조 원리에 관한 기초 연구 6~7세기 전반 목탑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Basic Study on the Building Principles of Structure in Mireuksaji Stone Pagoda)

  • 조은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86-109
    • /
    • 2009
  • 미륵사는 백제 무왕(재위 600~641)이 창건한 사찰로 이와 관련한 창건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제이(第二) 무왕조(武王條)에 언급되어 있다. 서원의 미륵사지서탑은 해체 전 6층까지의 일부가 남아있었으며 미륵사지 내의 유일한 현존 건축물로서 최근 사리장엄 발견으로 639년이라는 건립연대가 밝혀졌다. 또한 백제 사찰의 발굴조사 자료가 축적되고 동아시아의 학술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미륵사지서탑의 조영을 당시 불탑 건축의 발전 과정과 연관시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륵사지서탑의 축조에 적용된 구조원리와 1층 평면의 형성을 중심으로 6~7세기 불탑 건축의 발전과정에 있어서 대형의 불탑건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륵사지서탑은 내부와 외부가 독립적인 개념으로 축조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고층 불탑건축에서 나타나는 구조원리의 표현으로 보여진다. 영녕사 목탑지에서 확인된 탑실심체와 같이 내부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개념과 유사하게 내부 적심을 형성하고 외부 부재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축조된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미륵사지서탑에서는 상부의 적심부와 동시에 심주석이 동시에 존재하는 혼합 구조를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영녕사 목탑과 같은 실심체의 구조보다 발전된 것으로 조팽성 불사의 심초석과 항토 실심체의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혼합 구조는 황룡사 목탑이나 일본의 목탑과 같이 내외진을 전부 목구조로 형성하고 심주가 독립적으로 지지되는 구조 방식보다 선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미륵사지서탑의 경우 1층에 십자형의 공간이 형성된 것은 심주석에 위치한 사리 봉안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심주석을 중심으로 하는 4방향의 구심적 공간이며 사리의 본질적 의미에 기인하여 백제 6~7세기의 횡혈식 석실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횡혈식 석실분의 축조기법은 사리가 봉안되어 있는 상징적 공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인 동시에 석재를 사용하여 축조된 서탑에 있어서 재료적 동일성으로 인하여 수용이 더욱 용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지오그리드 감쌈 스톤컬럼의 하중 지지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Support Mechanism of Geogrid-Encased Stone Columns in Soft Ground)

  • 유충식;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93-10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연약지반 성토시 지반보강 공법으로 적용되는 지오그리드 감쌈 스톤컬럼공법의 하중지지 메카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연약지반 성토 시공과정과 지오그리드 감쌈 스톤컬럼의 배수 및 보강 효과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3차원 응력-간극수압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공조건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의 시공조건에 있어 지오그리드 감쌈으로 발현되는 구속효과로 인해 스톤컬럼의 강성이 증가되어 상부 성토하중의 주변 연약지반으로의 하중분담율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과잉간극수압 및 이에 따른 침하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지오그리드 감쌈길이 및 강성 등 보강조건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의 시공조건에 있어 보강효과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임계감쌈길이와 임계강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빈배합 콘크리트로 보강된 조립토 다짐말뚝공법에 관한 기초연구 (A Numerical Study on Granular Compaction Pile Method Reinforcing by Using Lean-Mixed Concrete)

  • 김승욱;김홍택;김정호;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18
    • /
    • 2006
  • 쇄석말뚝과 조립토 다짐말뚝은 연약지반의 보강, 극한지지력의 증대 및 기초 지반의 압밀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은 조립토 말뚝의 팽창파괴를 억제하기위한 지반의 횡방향 구속압에 지배된다. 한편, 조립토 다짐말뚝은 충분한 횡방향 구속압이 발휘되지 못하는 압축성 점토지반이나 연약지반에서는 그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조립토 다짐말뚝과 일부 심도를 빈배합 콘크리트로 보강한 조립토 다짐말뚝에 대한 3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침하저감계수에 대한 회귀분석식이 제시되었으며, 침하저감계수에 대한 변수분석을 통해 제안된 침하저감계수 회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ttlement Restraint of the Granular Compaction Pile)

  • 김승욱;이득원;김서룡;안재규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36-34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조립토 다짐말뚝의 적용범위를 보다 연약한 지반에까지 폭넓게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조립토 다짐말뚝공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입도 콘크리트에 대한 배합설계를 실시하고, 압축강도시험을 통한 강성 및 강도 특성의 규명과 변수위 투수시험을 통해 빈배합 콘크리트 공시체의 배수기능이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등입도 콘크리트에 대한 실내시험으로부터 도출된 강성 및 강도특성을 고려하고, 보강심도 및 치환율을 다향하게 가정한 조건하에서의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른 침하저감효과를 확인한 결과, 보강심도가 깊어지고 치환율이 커질수록 기존 조립도 다짐말뚝에 대한 침하억제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3) 본 연구를 통해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조립토 다짐말뚝의 적용가능성과 아울러 침하감소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기존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량에 비해 보강심도, 치환율 등을 고려한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된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량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현장여건을 감안한 등입도 콘크리트의 다양한 배합비별 침하감소효과에 대한 규명과 함께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공법의 현장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물모형시험 또는 시험시공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형반복삼축시험에 의한 강화노반 재료의 회복탄성계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Modulus of Reinforced-Roadbed Materials Using Large Repetitive Triaxial Test)

  • 임유진;이진욱;황정규;박미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5-1122
    • /
    • 2011
  • Reinforced-Roadbed materials are usually composed of crushed stones. Repeated load application can induce deformation in the reinforced-roadbed layer so that it causes irregularity of track.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of elastic modulus based on stress-strain relation under repeatitive load in order to investigate behavior of reinforced roadbed. The prediction model of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can be obtained from repeated triaxial test. However, a proper size of the sample for the test must be used. In this study, a large repeatitive triaxial test apparatus with the sample size of diameter of 30 cm and height of 60cm was adapted for performing test of the crushed stone reinforced-roadbed considering large particle size to get resilient modulus Mr. The obtained resilient modulus was compared to shear modulus obtained from mid size resonant column test. The sample size effect is somewhat large enough so that it is required to design a scale factor based on similarity law in order to use smaller samples for getting elastic modulus of the crushed stone reinforced-roadbed material. A scale factor could be obtained from this study.

  • PDF

국립대학교 교사 입면의 디자인 적용현황 연구 - 대구지역의 K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in the Facade of the National University - Focused on the k-National University in Deagu -)

  • 서희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2-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application of the facade design of k-national university in deagu. The subjects of the study examined 75 buildings from the 117 university buildings in main campus. The analysis items is analyzed by several elements; flat and sloping roof, main entrance, design principle, style of architecture, finishing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surveyed by analysis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1950s, 2 subjects have shown conflicting characteristics except brick finishing materials. In he 1960s, flat make up 75% of a whole, centrality in main entrances occur, but have an asymmetrical, during this period vertical motif have been underlined by repetition of column, stone has application to main adminstration building. The buildings in the 1970s were so characteristics of modern architecture by painting and flat except main entrance at the center of facade. In the 1980s, position of main entrance have a corner of a wall, finishing materials of a wall were beginning to use stone, glass and metal. The buildings in the 1990s and 2000s are looking a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by rhythm of superimposition and segmentation and all finishing materials of analysis items are in use.

고대구조물의 기초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undation Methods of Ancient Structures)

  • 정형식;손영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3호
    • /
    • pp.75-88
    • /
    • 1992
  • 본 연구는 삼국시대로부터 각종 구조물을 축조할 때 구조물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구조물별로 어떠한 기기공법을 사용하였는지 적적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기원전후에 이미 각종 구조물의 형태와 지반조건을 감안하여 다양한 기초공법이 적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고대 기초공법을 형식별로 분류하여 보면 하중이 큰 구조물에는 판축기기, 성곽 등 하중이 넓게 분포된 구조물에는 보토다짐 기초, 일반건축물에는 적심기초, 궁궐 등 특수건축물에는 장대석기초, 교량 등 습지에는 말뚝기초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초공법들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