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ated recal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Usability Study of Middle School English Digital Textbook: A Stimulated Recall Approach

  • JO, Il-Hyun;HEO, Heeok;LIM, Kyu Yon;CHOI, Jeong-Im;NOH, Jeongm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1호
    • /
    • pp.109-136
    • /
    • 2013
  •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with 8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and usefulness of our self-designed Digital Textbook. The Stimulated Recall (SR) Method using Morae softwar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learners' task behaviors and mental operations while using the Digital Textbook to learn English. Collected qualitative data indicated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the us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Digital Textbook.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nd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vision of the Digital Textbook and validation of the SR method as a usability-usefulness test tool.

Learner Interpretation of Teacher Corrective Intention of Feedback in EFL Classrooms

  • Kim, Ji-Hy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1호
    • /
    • pp.81-99
    • /
    • 2011
  • The role of corrective feedback (CF) has long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has been claimed that CF enables learners to notice the problems in their second language (L2) production. However, it should not be assumed that learners always adequately interpret teachers' responses to their problematic utterance as correction. Especially when feedback is provided in an implicit way, the possibility that CF goes unnoticed should not be excluded.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earners perceive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The study focuses particularly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feedback and target linguistic content with learner interpretation of teacher corrective intention. Nine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ty-five students and nine teachers participated in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Their comments were analyzed to document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 teachers' intention of feedback. It was found that learner perception of teacher corrective intention was at its greatest when feedback was provided explicitly and was focused on morphological errors.

  • PDF

Teaching the Intermediate Value Theorem with Non-Existing Examples

  • Hwang, Jihyun;Hong, Dae S.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20
  • In this case study, a professor was observed to investigate use of instructional examples when teaching the Intermediate Value Theorem in a calculus course. Video-recorded lesson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ison to video-stimulated recall interviews and field notes. The professor employed multiple instructional examples, which was initiated by students and modified by the professor. The professor asked students to build non-existing examples as an informal proof of the Intermediate Value Theorem and assessment of students' previous knowledge. Use of incorrect examples on instructional purpose can be an appropriate way for formative assessment as well as a bridge between informal and formal proofs in college mathematics.

생물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HGP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Social Dimensions of Bio-technology: Focusing on HGP's Shaping Process)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105-122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인간유전체 연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 ELSI 연구의 현황과 과제 (Human Genome Research and ELSI Program)

  • 윤정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423-438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flection-in-practice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Changes)

  • 최종림;이선경;김찬종;유은정;김제흥;오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793-811
    • /
    • 2009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골수세포에 대한 Bordetella bronchiseptica 항원의 자극 효과 및 면역기억반응 (Stimulatory effects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antigen on bone marrow cells and immune memory responses)

  • 임설화;주홍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03-208
    • /
    • 2014
  • Bone marrow is a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organ that provides multiple immune cells, including B lymphocytes, and thu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fficacy of vaccine.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Bordetella (B.) bronchiseptica antigen has high immunogenicity in spleen cells, a peripheral immune orga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ogenicity of B. bronchiseptica antigen in bone marrow cells, a central immune organ. B. bronchiseptica antigen increased the cellular activity of bone marrow cells and significantly enhanc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L-6, and TNF-${\alpha}$. Bone marrow cells primed with B. bronchiseptica antigen in vivo were harvested and stimulated with the same antigen in vitro. The stimulation of B. bronchiseptica antig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ular activity and proliferation rate of the primed cells. B. bronchiseptica antigen also greatly induced the production of antigen-specific antibody in the primed cell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B. bronchiseptica antigen can stimulate bone marrow cells, a central immune organ, and recall the immune response of the primed bone marrow cells.

Role of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s in the Activation of CD4 T Cells from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Shin, Kihyuk;Hong, SeokChan;Choi, Eun-Hye;Lim, Mi-Kyoung;Shim, Seung-Cheol;Ju, Ji-Hyeon;Lee, Seung-Hyo
    • IMMUNE NETWORK
    • /
    • 제13권4호
    • /
    • pp.116-12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D4 T cell responses to citrullinated fibrinogen occu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especially in HLA-DR4-positive subjects. Whol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of RA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were stimulated with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s, and T-cell production of prolifer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feron-${\gamma}$(IFN-${\gamma}$) and interleukin-17A (IL-17A), were measured. In addition, CD4 T cells from RA patients were stimulated with the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 $Fib-{\alpha}$ R84Cit, identified as a DRB1*0401-restricted T cell epitope in HLA-DR4 transgenic mice, and the degree of T cell activation was examined similarly. No proliferative responses to the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s were observed in whole PBMCs or CD4 T cells from RA patients. Furthermore, no increased production of IFN-${\gamma}$ or IL-17A was found in whole PBMCs or CD4 T cells stimulated with the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s, although these cells responded to recall antigen, a mixture of tetanus toxoid, purified protein derivative (PPD)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Candida albic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ti-citrulline immunity in RA patients may be mediated by fibrinogen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of CD4 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to citrullinated fibrinogen peptides.

스마트 패드 활용수업 사례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 발전방향 (Suggestions for Building 'Smart Campus' Based on Cas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s with Smart-Pads)

  • 박성열;임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2
    • /
    • 2012
  • 최근 스마트 기기 보급 등 유비쿼터스 환경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 캠퍼스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스마트 캠퍼스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스마트 시대와 교육' 시범수업이 연구의 주요 환경으로 선정되었다. 해당 수업은 2011년 여름학기에 12회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총 6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여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을 경험하였다. 반구조화된 인터뷰 및 자극회상기법 등의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학습효과, 만족도, 그리고 스마트 패드 사용성 결과 등이 제시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높은 수준의 인지된 학습효과 및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유용한 사용성이 확인되었으나, 각 변수들에 대한 상반된 논의도 제기되었다. 이에 근거한 제언 및 발전방향으로는 하드웨어 측면, 소프트웨어 측면, 그리고 휴먼웨어 측면으로 구분된 세부적인 고려사항이 제시되었다.

제 2 언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자료융합 분석 (L2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ies: A Data Convergence Analysis)

  • 강수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63-270
    • /
    • 2015
  • 제2언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전략을 사용하여 그들이 구두 의사소통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에 대처한다. 이 전략들이 의사소통과 언어학습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언어 연구에서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어떻게 전략을 확인하는가, 특히 연구 자료로 대화 자료, 회상인터뷰 자료, 또는 두 가지의 융합된 자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융합자료 분석을 통해 제2언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을 발견해 내고자 하였다. 이 질적 사례연구를 위해 한국인 제2언어 학습자들의 대화 자료와 전략사용을 회고하는 인터뷰 자료가 수집되었다. 이 수집된 자료들의 융합분석을 통해 한국인 제2언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정의대치 전략, 메시지변환 전략, 시간얻기 전략, 이해전략 등의 다양한 의사소통전략들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제2언어 의사소통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의사소통전략들이 효율적임을 보여주며, 의사소통 연구에 융합자료 분석이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