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 Mosaic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FEASIBILITY ON GENERATING STEREO MOSAIC IMAGE

  • Noh, Myoung-Jong;Lee, Sung-Hun;Cho, Woo-Su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201-204
    • /
    • 2005
  • Recently, the generation of panoramic images and high quality mosaic images from video sequences has been attempted by a variety of investigations. Among a matter of investigation, in this paper, left and right stereo mosaic image generation utilizing airborne-video sequence images is focused upon. The stereo mosaic image is generated by creating left and right mosaic image which is generated by front and rear slit having different viewing angle in consecutive video frame images. The generation of stereo mosaic image proposed in this paper consists of several processes: camera parameter estimation for each video frame image, rectification, slicing, motion parallax elimination and image mosaicking.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easibility on generating stereo mosaic image as explained process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erformed the feasibility test on generating stereo mosaic image using video frame images. In doing so, anaglyphic image for stereo mosaic images is generated and tested for feasibility check.

  • PDF

비디오 프레임 영상으로부터 제작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의 실좌표 등록 (Geocoding of the Free Stereo Mosaic Image Generated from Video Sequences)

  • 노명종;조우석;박준구;김정섭;고진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5
    • /
    • 2011
  • 고중복도 비디오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GPS/INS 및 지상기준점 자료 없이 제작되는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은 기준 프레임 영상의 3차원 모델좌표계로 표현되는 상호표정요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작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으로부터 결정되는 3차원 좌표는 3차원 모델좌표계로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이용하여 절대좌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모델좌표계를 절대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3차원 직각 좌표계간의 좌표변환은 3차원 상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이 사용된다. 하지만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의 3차원 모델좌표는 원점으로부터 떨어질수록 오차가 누적되어 선형변환을 이용한 좌표변환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의 모델좌표를 절대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3차원 비선형 변환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절대좌표계로 표현된 수치지도와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중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실좌표 입체 모자이크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의 3차원 모델좌표를 3차원 절대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3차원 비선형 변환 방법과 이 방법을 기반으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실좌표 입체 모자이크 영상으로 제작하기 위한 2차원 비선형 변환방법을 제안하였다.

비디오 프레임 영상의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 제작을 위한 부등각 모델 연구 (Affine Model for Generating Stereo Mosaic Image from Video Frames)

  • 노명종;조우석;박준구;고진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9-56
    • /
    • 2009
  • 최근 항공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고해상도 모자이크 영상제작에 대한 연구가 큰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본 논문에서는 입체 모자이크 영상 제작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입체 모자이크 영상은 연속된 비디오 프레임 영상에서 각기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고 있는 전방과 후방 슬라이스 영상을 추출한 후, 각각을 모자이킹하여 좌우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제작되어진다.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영상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이동변수(motion parameters)가 결정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동변수 중, 상대적인 이동변수를 규명할 수 있는 부등각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변수를 사용하여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을 자유 모자이크라고 한다. 자유 모자이크 과정은 결정된 이동변수를 이용하여 첫 번째 프레임 영상을 기준으로 영상등록을 수행한 후, 전방 및 후방 슬라이스 영상 추출, 접합선 추출, 영상 모자이킹 과정을 거쳐 수행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좌우 모자이크 영상과 이를 이용한 여색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나타내었으며, 정확도 분석을 위하여 종시차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비디오 프레임 영상을 이용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neration of Free Stereo Mosaic Image Using Video Sequences)

  • 노명종;조우석;박준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3-460
    • /
    • 2009
  • 3차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중복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시야각을 가지고 있는 입체 영상이 존재하여야 하며, 비디오 프레임 영상에 있어서 입체 모자이크 영상은 연속적인 프레임 영상에서 좌우 슬라이스 영상을 추출하여 모자이킹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에 탑재한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3차원 정보 추출이 가능한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비디오 프레임 영상간의 위치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이동변수가 결정되어져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유 모자이크 방법으로 GPS/INS 데이터 없이 인접한 프레임 영상간의 상호표정요소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동변수를 결정 한 후, 영상등록, 영상 슬라이싱, 접합선 추출 및 3D 모자이킹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입체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제작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과 그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종시차와 횡시차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능동 스테레오 비젼을 이용한 실내환경의 3차원 형상 재구성 알고리즘 (A Study on the 3D Shape Reconstruction Algorithm of an Indoor Environment Using Active Stereo Vision)

  • 변기원;주재흠;남기곤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슬릿 빔을 이용한 능동 스테레오 정합 기법과 모자이크 기법을 결합한 3차원 형상 복원 기법을 제안한다. 능동 스테레오 정합 기법은 레이저 슬릿 빔이 조사된 좌, 우 영상에서 색상과 밝기 변화를 분석하여 레이저 라인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등극선(epipolar line)에서 이를 비교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모자이크 기법은 해리스 코너 검출 방법(harris corner detection)을 이용하여 영상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특징점 기술자(keypoint descriptor) 색인 분류 방법으로 연속 영상 간 특징점의 대응쌍을 찾고 상호 변환 관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능동 스테레오 정합기법과 모자이크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연속 영상의 깊이 정보를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획득한 연속 영상의 깊이 정보를 영상의 색상, 질감 정보와 융합(blending)과정을 거쳐 최종 3차원 형상 정보로 복원하였다. 제안한 복원기법은 레이저 슬릿 빔과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장소와 거리 제약 조건을 극복하여 용이하면서도 강인한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Latex-Test에 의한 식물 바이러스의 검정 (Serological Detection of Plant Viruses with latex-test)

  • 박은경;김정화;이영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38
    • /
    • 1979
  • 低濃度의 바이러스 조건하에서도 반응의 민감도가 높은 바이러스病의 血淸學的 診斷法을 개발하고자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보리줄무늬 모자이크 바이러스( Barleys-tripe mosaic virus) 및 大豆모자이크 바이러스(Soybean mosaic virus)의 抗血淸으로부터 電氣泳動에 의해 추출된 Immunoglobulin을 Latex(0.8l$\mu$, Difco)粒子에 흡착시켜 梢子毛細管(1 $\times$ 100mm)내에서 各 罹病組織의 汁液과 반응시킨 결과 寒天沈降法이나 微量沈降法보다 민감도가 매우 높았다. 이 방법은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빠른 시간내에 다량의 시료를 檢定할 수 있으며 陽性反應과 陰性反應을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중심시점 일치 알고리즘 기반 원격제어 굴삭기의 파노라믹 입체 모니터링 시스템 (Panoramic-Stereopic Monitoring System for Tele-Operating Excavator by Using Center-viewpoint Corresponding Algorithm)

  • 김봉석;박창우;전세웅;이종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77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which can display panoramic-stereopic image for tele-operating excavator. the system was implemented by using center-viewpoint corresponding algorithm and image mosaic process. We could obtain remarkable result from the survey among the ex-pert of excavator. We also design a control station with RF transfer module, H.264 codec module and suggested algorithm. Especially, our system shows a superb performance on cubic effect and presence sense of a field of excavating work.

  • PDF

한국산 마늘에서 분리된 응애전파성 바이러스 (Garlic Mite-borne Virus Isolated from Cultivated Garlic in Korea)

  • 구봉진;장무웅;최양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6-144
    • /
    • 1998
  • Many cloves of native cultivated garlics in Korea were found to be infested by mites when observed with stereo-microscope. The mite was identified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s Aceria tulipae. Surveying viruses from the vegetatively propagated garlic, highly flexuous, filamentous particles (700∼800 nm) were detected in Aceria tulipae, local lesions of Chenopodium murale after sap transmissions, mosaic garlic leaves inoculated with mite-borne virus by transmission of Aceria tulipae and naturally infected garlic leaves. The mite-borne virus isolated did not react with antisera of aphid-borne potyviruses (LYSV-G, LYSV-L, WoYSV) or carlavirus (GLV), but reacted with antisera of garlic mite-borne viruses (GV-C, GMbMV). In ultratin sections of mite-borne virus infected garlic tissues, aggregates of virus particles and membrane proliferations were found in the parenchyma cells, but cytoplasmic cylindrical inclusions were not observed. Heavily mite-infested plants showed streaking and malformation due to mite feeding. The mite-borne virus was identified as garlic mite-borne mosaic virus (GMbMV), the mite-borne genus Rymovirus of the Potyviridae by mite transmission, morphology of virus particles, serological relationships, host range, distribution pattern of virus particles and inclusion bodies in the infected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ite-borne virus is one of the major viruses infecting native cultivated garlic plants showing mosaic or streak symptoms in Korea.

  • PDF

직각정규화와 DEM 자료 융합을 이용한 광역 DEM 생성 (A Wide DEM Generation Based on Orthoretification and DEM Data Fusion)

  • 예철수;전병민;이쾌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9-10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SPOT 위성 영상을 사용하여 얻어진 수치 표고 모형을 결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추출된 수치 표고 모형의 결과를 사용하여 위도와 경도로 이루어지는 격자를 생성한다. 생성된 격자 위치에서의 고도 값은 이미 획득된 수치 표고 모형으로부터 세 개의 가장 근접한 화소의 고도 값을 이용하는 삼각형 영상 워핑 방법을 사용하여 보간한다. 각 격자의 최종 고도 값은 최대 가능성 규칙의 융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본 논문에 사용된 영상은 두 쌍의 스테레오 SPOT 위성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수치 표고 모형의 고도 값을 성공적으로 융합할 수 있었다.

UAV 영상을 활용한 수변구조물의 DSM 생성 및 정확도 분석 (DSM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from UAV Images on River-side Facilities)

  • 이수암;김태정;김재인;김민철;장휘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15
  •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 시 영상을 기반으로 댐, 보, 교량과 같은 수변 구조물의 피해정보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면, 피해복구 및 의사결정의 지원에 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 구조물의 피해 분석을 위한 초기 과정으로 UAV를 활용한 수변 구조물의 3차원 정보의 획득을 시도하였고, 생성된 DSM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DSM의 생성을 위해 스테레오 기반의 영상정합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스테레오 정합결과를 생성 후 이를 모자이크하여 최종 DSM을 생성하였다. LIDAR에서 취득한 DSM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했으며, 처리결과 전체 영역에서 3m 내외의 RMSE 수치가 나옴을 확인하였다. 오류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생성된 DSM은 센서모델을 수립할 때에 필요한 EO 파라메터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정확한 GCP의 적용 및 인터폴레이션, 후처리 등의 기술의 개발을 통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DSM의 생성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표에 맞게 실제 피해지역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DSM을 이용한 정량적인 피해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