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pylococcus aureu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농산물 중 Staphylococcus aureus의 분리를 위한 선택배지 평가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Agricultural Products)

  • 김세리;이서현;서민경;김원일;박경훈;윤혜정;윤요한;유순영;류경열;윤종철;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5
    • /
    • 2012
  • 본 연구는 농산물로부터 S. aureus분리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하고자 난황첨가 mannitol salt agar (MSA), 난황과 tellurite과 첨가된 Barid-Parker agar (BPA), 토끼혈장이 첨가된 Barid-Parker agar (BPA+RPF), 3M petrifilm Staph Express count plates (Petriflm) 및 CHROMagar Staphylococcus aureus (CSA)의 민감도, 특이도, 손상된 세포에 대한 회복능, 농산물로부터 회수율에 대하여 비교 실험을 하였다.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S. aureus 21주, Stapylococcus spp. 20주, 그 외 식중독균 33주를 각 선택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손상된 세포에 대한 회복능은 조사를 위하여 열($60^{\circ}C$, 90초), 산(1% lactic acid, 10분), 저온($-20^{\circ}C$, 1시간) 처리하였다. 또한 양상추, 토마토, 고추에 S. aureus를 4.0 log CFU/g농도로 접종하고 각 선택배지에 도말하였다. 민감도는 BPA+RPF(100%) = CSA(100%)=petrifilm(100%) > MSA(90.5%) > BPA(90.5%), 특이도는 BPA+RPF(100%) = CSA(100%) > MSA(84.6%) > BPA(75.0%) > petrifilm(67.3%)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손상된 세포의 회복능과 농산물에서 회수율은 5종의 배지에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농산물 중 S. aureus를 분리할 시 BPA+RPF와 CS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젖소 유방염에 대한 국내산 봉독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jection on bovine mastiti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오백영;이윤근;김봉순;백하주;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3
    • /
    • 2007
  • The therapeutic effect of honeybee venom collected using be venom collector on bovine mastitis was investigated. Mastitic cows from four farms were selected in the Yang-pyeong areas. Chronic mastitic cows were injected with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honey-bee venom per d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rates of somatic cell counts (SCC) according to treatment concentration and method of bee venom. The milk SC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ncentrations of bee venom 3 days after treatment. The reduction rates of SCC in treatment of 3, 6, 12 and 24mg honeybee venom were 20, 43, 63.3 and 65.8% respectively. Honeybee venom treatment consisted of two methods, a syringeful and a Bovivet Spenstift. The treatment with Bovivet Spenstift was more effective in the reduction rates of SCC compared with the syringeful. Thirty two out of 53 quarters were cured by Bovivet Spenstift with 12mg bee venom per day for 14 days. The venom cure rates of bovine mastitis by Escherichia coli, Stapylococcus aureus, Gram positive bacteria and Gram negative bacteria were 33.3, 75, 75 and 43.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e venom treatment (by Bovivet Spenstift with 12mg) might be effective for treatment of bovine mastitis.

젖소 유방염에 대한 키토산의 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acy of chitosan on bovine mastitis)

  • 문진산;주이석;구복경;김종염;김덕원;박용호;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1-76
    • /
    • 1998
  • The effects of chitosan on mastitis in lactating holstein cows were evaluated. Fifty six cows with intramammary infection(IMI) from nine farms were selected and the cows were fed with diets which contained 15~20g chitosan per day for 5~7 days. The milk samples were obtained from cows at 7 days and 14 days after administration to determine effect of the curing of mastitis and the reduction of somatic cell counts(SCC). The average value of SCC levels in quarter milk from the cows administrated with chitosan significantly decreased up to 31.8% and 47.7% at 7 and 14 days, respectively(P<0.05). The cure rates of chitosan for Stapylococcus aureus,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Streptococci spp, other gram positive bacteria and coliforms were 30.4, 42.8, 33.3, 66.6 and 54.5 % respectively. Twenty three out of 64 cases were cured by feeding with chitosan. Th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chitosan could reduce SCC in milk and improve cure rates of bovine mastitis caused by microorganisms. The further studies will be pursued to study on the mechanism of chitosan in the immune responses of cows with mastitis.

  • PDF

전기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제어 효과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 박성순;성정민;정진웅;박기재;임정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0-2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염소소독법을 대체하기 위하여 살균소독수로의 유효성을 가진 강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와 이산화염소수를 배추 세척에 적용하였다. 배추 표면에 $E.$ $coli$, $B.$ $cereus$, $Sal.$ Typhimurium, 및 $S.$ $aureus$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각각의 살균소독수를 100 ppm의 농도로 하여 침지 시간을 달리하면서 미생물 제어효과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줄기 부분보다 잎 부분에서 세척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네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세척효과는 이산화염소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수 처리 시 10분이 경과하여도 1 log CFU/g 이하의 낮은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살균소독수에 3분 침지 하였을 때 최소 감소효과는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에서 1.3 log CFU/g였으며, 최대 감소효과는 이산화염소수에서 4.7 log CFU/g의 수준으로 수도수 세척에 비해 살균소독수의 미생물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5분과 10분 처리구에서 유의성은 있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아 배추의 미생물학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5분정도 침지 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차아염소산 나트륨수와 비교 시 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의 미생물 감소효과는 유사하거나 최대 2.7 log CFU/g 정도(LAlEW, B. cereus, 10분)의 차이를 나타냈고, 이산화염소수는 3.2 log CFU/g ($Sal.$ Typhimurium, 10분)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살균소독수가 염소소독 대체재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산화염소수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어하는 데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배추의 품질 저하가 야기되어 배추 적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름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복합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활성물질의 정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 이정선;김택;이윤희;김성민;김현걸;김우중;오덕철;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6
  • 구름버섯 균사체를 12% 감귤 추출액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열탕 추출한 후 균사체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동량의 ethyl acetate(1 : 1, v/v)로 재차 추출하였다. EA 추출물은 복합내성을 갖는 MRSA 균주인 S. aureus CCARM3230와 P. aeruginosa CCARM2171에 대해 현저한 생육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하였을 때 dichloromethane : methanol(9 : 1, v/v)의 용매조건으로 용출한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활성물질이 높은 순도의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음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다제 내성 균주들에 대해 현저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 CCARM2171과 그람양성균인 S. asures CCARM3230 균주 모두에서 현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본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생물질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 신선 농산물 생물학적 위해요소 우선순위 설정 (Profiling and Priority Sel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Fresh Produce)

  • 이채윤;성동은;오상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5
    • /
    • 2012
  • 본 연구는 농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식중독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국내외의 자료를 조사하여 11가지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해 리스크 프로파일 목록을 작성하여 추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제 식품안전 관련 기관인 CODEX와 WHO/FAO 및 미국 일본 유럽 호주 뉴질랜드의 리스크 프로파일 선정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 가용한 자료를 고려하여 식중독 원인균을 중심으로 관리의 기본이 되는 질병의 빈도와 심각성, 식품 소비 빈도, 교차오염 가능성의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조사되고 있지 않으나 선진국에서 관리되고 있는 위해요소 중 앞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우선순위는 발생빈도 및 위해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가장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 그룹 I에는 Norovirus, E.coli, Salmonella, Clostridium botulinum, Listeria monocytogenes를 선정하였고, 그룹 II에는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를 지정하였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Yersinia enterocolitica, Shigella spp, Cronobacter sakazakii, Hepatitis A virus를 그룹 III에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교차오염의 가능성은 정량화 되지 않은 '가능성'만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으며, 앞으로 농장의 GAP, HACCP을 적용하여 농식품의 수확에서부터 제품 생산 전 단계에 걸쳐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농식품의 식중독 예방과 'farm to table' 전 과정의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naf methanol 추출물의 가축 주요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Hiscus cannabinus L. Methanol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 Domestic Animals)

  • 임정주;김동혁;이진주;김대근;이후장;민원기;박동진;허무룡;장홍희;이만휘;김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43-50
    • /
    • 2011
  • 본 시험은 무궁화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인 Kenaf (Hibiscus cannabinus L.)를 경상대학교 시험농장에서 2010년 6월 1일 파종하여 같은 해 11월 18일 수확하여 건조 한 후, 꽃 (HCME-F)과 잎 (HCME-L)에서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포 독성 시험 및 주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규명하였다. 항균효과에 사용된 균주는 가축에서 피부 질환, 유방염 및 소화기질병을 유발하는 그람양성균인 St. aureus 와 Str. epidermidis,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 과 E. coli 균을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추출물 HCME-F과 HCME-L을 0, 25, 50, 100 및 $200{\mu}g/ml$ 농도로 첨가한 배지에서 RAW 264.7 세포와 24시간 반응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항균효과 시험결과 그람양성균인 St. aureus와 Str. epidermidis 균에 대하여 1, 50 및 $100{\mu}g/ml$의 추출물 농도 및 반응시간 경과에 따라 항균 효과가 증가되었으나,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 과 E. coli 에서는 항균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Kenaf의 꽃과 잎에서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었고, 가축과 사람의 피부 질환 및 유방염의 대표적 그람양성균인 St. aureus와 Str. epidermidis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보여, Kenaf의 꽃과 잎을 이용한 선택적 그람양성균 치료제 및 사료첨가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과의원 공기중의 공중낙하세균수와 세균분포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Bacteria falling in the Air of Dental Clinics)

  • 장계원;강용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1
    • /
    • 2004
  • 치과 진료실은 진료의 특성상 환자의 혈액과 타액 내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노출되며, 진료 중 튀거나 에어로졸의 형태로 진료인과 환자의 신체 그리고 사용하는 모든 기구와 장비의 표면을 오염시키며 구강질병의 감염 가능성이 높아 치과영역의 교차감염에 관한 관심이 높다. 따라서 치과 진료실의 공기 중 미생물 분포와 오염정도를 조사하고 치과 진료기구의 오염과 치과 진료실의 감연방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J시 9개 치과의원의 대기실과 진료실 공기를 자연방치법과 air sampler를 사용하여 공기시료를 채취하고 평판에 배양하여 공중낙하세균을 산출하고 생성된 집락을 세균 자동 동정기(ATB)로 분리 동정하여 세균의 분포를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의원 환자 대기실 공기 중의 공중낙하 세균수는 자연방치법의 경우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10(CFU/Plate)이하여서 청결기준에 적합하였다. 2. 치과의원 진료실 공기 중의 공중낙하 세균수는 자연방치법의 경우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10(CFU/Plate)이하여서 청결기준에 적합하였다. 3. 황색포도상구균(Stapylococcus aureus) 검색결과는 1개 치과의원 만이 양성이었고 모두 비병원성 포도상 구균이 검출되었다. 4. 병원성 그람 음성간균의 검색결과는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5. 세균의 분포검사는 진료실의 경우 9개 치과의원 중 7개 치과의원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고, 환자 대기실의 경우 4개 치과의원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검출된 의원의 균주도 대부분 비병원균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J시 연구 선정 치과의원의 공기는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 모두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으나, 청소와 살균여부에 따라 증감을 보였기에 감염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치과의원의 공기청정 및 살균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일부 종합병원 내 영역별 공기 중 미생물 평가 (Assessment of airborne bioaerosols among different areas in the hospitals)

  • 조현종;홍경심;김지훈;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5
    • /
    • 2000
  • Three major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located in and near Seoul were surveyed for airbone microorganisms from February 1, 1998 to February 18, 1998.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nd quantify microbiological organisms circulating in the air of three different areas in the hospitals. For the study, a RCS air sampler was utilized equipped with two different collection media, the agar strip GK-A for bacteria and the agar strip HS for fungi. The areas investigated were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n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Newborns room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the microbiology labora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s of general microbiological particles collected on the agar strip GK-A media were $205CFU/m^3$, $232CFU/m^3$, and $128CFU/m^3$ in each hospital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387CFU/m^3$ was found in the ICU of A hospital at 15:00 during the day. Further analysis of the collected bioaerosols by gram staining, revealed that there were gram positive cocci (89.5%), gram positive bacilli (7.2%), gram negative bacilli (2.8%), and fungi (0.5%),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2. Ten different genes were identified from the agar strip GK-A.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organisms were: the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55.0%), Micrococcus (21.4%), Enterococcus species(10.4%), and Bacillus species (7.2%). A serie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were conducted against the aforementioned four(4) organisms. Ninety percent of coagulase negative stapylococcus were sensitive to Penicillins. Pathogenic microbes isolated include: Staphylococcus aureus, Acinetobacter species, Klebsiella pneumonia, Klebsiella oxytoca, and Pseudomonas aeroginosa. 3 Although 56.8% of the microorganisms grown on the strip HS media for fungi could not be identified, some of them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found fungi were Aspergillus (35.3%), Yeast or Molds (6.2%), and Penicillium (0.7%).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ome areas in the hospitals had abnormally high bioaerosol concentrations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human activ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periodic assessments of indoor bioaerosols aiming to identify the possible sourc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maintain clean indoor environment in the hospit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