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measure

검색결과 1,934건 처리시간 0.029초

열충격 시험을 통한 태양전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Cell by Thermal Shock test)

  • 강민수;전유재;신영의
    • 에너지공학
    • /
    • 제21권3호
    • /
    • pp.249-2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열충격 시험을 통하여 Cell 레벨에서의 효율저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충격 시험은 PV모듈의 시험 규격인 KS C IEC-61215를 이용하여 보다 가혹한 조건인 $-40^{\circ}C$에서 $120^{\circ}C$의 조건으로 500사이클을 수행하였다. I-V 측정을 통하여 효율을 분석한 결과, 열충격 시험 전 13.9%에서 열충격 시험 후 11.0%로 효율이 저하 됐으며, 감소율은 20.9%로 나타났다. EL촬영을 통해 표면을 분석한 결과 Ribbon접합부 및 Gridfinger의 손상으로 확인 됐으며, 보다 정확한 효율 저하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면손상으로 확인 되었던 위치의 Cell 내부에서도 Crack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F(Fill Factor)값을 분석한 결과 열충격 시험 전 72.3%에서 시험 후 62.0%로 11.8%의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경년 시 나타나는 효율저하는 I-V 특성 곡선의 변화에 따라 병렬저항($R_{SH}$)이 감소하여 Cell자체의 소모전력 증가 및 표면 손상, Cell 내부의 Crack에 기인하여 가속된다고 판단된다.

오픈스택 클라우드 환경 OGC WPS 2.0 기반 위성영상처리 성능측정 시험 (Performance Testing of Satellite Image Processing based on OGC WPS 2.0 in the OpenStack Cloud Environment)

  • 윤구선;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7-627
    • /
    • 2016
  • 웹 환경에서 위성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대용량 공간정보를 공유하거나, 상호호환성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공간정보 웹 표준들이 OGC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도 웹을 통해 할당받아 필요할 때에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 서비스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격탐사 분야에서 이와 같은 두 가지의 중요한 기술 동향을 반영하는 연구 개발은 국제적으로도 초기 단계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제로 이 두 가지 컴퓨팅 기술을 연계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구름추출 서비스 구현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성능측정 시험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한 대상 표준은 WPS 2.0 표준이며 성능측정 시험대상은 하나의 웹 서버 운영환경과 오픈소스 OpenStack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을 둔 가상서버운영 환경이다. JMeter를 이용한 성능측정 시험은 WPS 2.0의 GetCapabilities, DescribeProcess, Execute, GetStatus, GetResult 응답시간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다중 원격 서버와 가상 서버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상호운영 공간정보 처리를 위한 WPS 2.0 표준 적용의 경우도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고, 추후 서버와 처리 알고리즘 기능 확장을 통하여 실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한 두한증(頭汗證) 환자의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 (Evaluation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Head-Hyperhidrosis by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이건영;황준호;이성헌;정승연;이형구;정승기;정희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22-826
    • /
    • 2006
  • Objectives : Essential hyperhidrosis is a socially and occupationally disabling disorder. There are many suggestions that hyperhidrosis is associated wit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especiallythe sympathetic syst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utonomic nerve system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hidrosis and healthy controls by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thods : 17 head-hyperhidrosis patients in the ambulatory care were investigated. All were inspected at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using the PSA of HRV. HRV was measured for minutes after 5 minutes bed rest. We checked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RV (i.e. TP, VLF, LF, HF) which were transformed into natural logarithm of patients against the standard measures of the HRV components. Then we compared the values of patients with means of normal Korean subjects. Results : The values of natural logarithmic measure of HRV (LnTP, LnHF, LnLF, LnVLF) of patients With head-hyperhidrosis we examined were $6.85{\pm}1.61$, $4.93{\pm}$2.00, $5.40{\pm}1.83$, and $6.13{\pm}1.37$, respectively. None of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means of normal subject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does not increase in patients with head-hyperhidrosis.

  • PDF

표면처리용 형광증백제의 정량분석법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Used for Surface Treatments)

  • 이지영;김철환;박종혜;김은혜;위상욱;성용주;허영준;김연오;황인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3호
    • /
    • pp.34-39
    • /
    • 2015
  •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FWAs) are widely applied in the papermaking process to improve the CIE whiteness and the ISO brightness of papers. Large amounts of FWAs are used in the paper and paperboard industry, but no standard method exists for quantitative FWA analysis. Therefore, a new method is needed to analyze the presence of FWAs in paper and paperboard to control their additions and applications. In particular, FWA analysis must concentrate on those used for surface treatment of paper because their use in surface applications has increased recent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optical properties of papers surface-treated with oxidized starch containing FWAs and to deduce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FWAs used for surface treatments. Surface sizing was carried out to treat the surface of a base paper with T-FWA and H-FWA, and the pickup weight of the surface sized paper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real weight of FWAs transferred onto the paper surface. After surface sizing and preconditioning, the paper was evaluated for CIE whiteness, ISO brightness, fluorescence index, and reflectance at 440 nm using an Elrepho spectrophotometer. The CIE whiteness and the ISO brightness increased linearly as FWA content increased. The fluorescence index and the reflectance showed linear relationships with T-FWA and H-FWA. Linear regression equations were determin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FWAs used for surface treatments.

$P^{32}$ 추적자법(追跡子法)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유효인산정량법(有動燐畿定量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Studies with $P^{32}$ Tracer on Laboratory Index of Available Phosphorus in Paddy Soil, Korea (II))

  • 이춘영;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73-79
    • /
    • 1970
  • 한국답토양십종(韓國畓土壤十種)을 시료(試料)로하여 유효인산정량(有動燐酸定量)에 적합한 화학적(化學的) 추출방법(油出方法)을 찾고저 A-value인(燐)-32 추적자법(追跡子淪)에 의한 유효인산정량치(有效燐酸定量値)를 표준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讀果)를 얻었다. 1 A·value는 Fe-P(인산철(燐酸鐵))와만 1%수준(水準)의 유의상관(有意相鬪)이 있으므로 답토양(畓土壤)의 유효인산(有刻燐酸)은 Fe·p계(系)에 의하여 지배(支配)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본(本)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한 6개침출법(個浸出法)은 Fe-P와 상안(相關)이 없으므로 답토양유효인산정량법(容土壤有效燐酸定量法)으로 적합하지 않다. 3. 답토양유효인산(容土壤有效燐酸)에 적합한 침출법(浸出法)은 Fe-P계(系)의 환원강도(還元强度)를 측정(測定)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침출강도(浸出强度)는 평균(平均) 270 ppm 으로 추정(推定)된다. 4. Bray No. 2-p는 Lancaster-p, Spurway-p, Truog-p 및 (Ca+Al)-p와 5% 수준(水準) 이상(以上)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고 Al-P는 Olsen-P 및 Lancaster-p와, Ca-p는 Spurway-p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다.

  • PDF

노인에서 치매 조기선별을 위한 시각.금전계산 검사의 유용성 (Availability of the Time and Change Test in Screening for Dementia in the Elderly)

  • 정은경;신민호;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01-107
    • /
    • 2003
  • Objectives : Dementia has emerged as a leading public health problem in elderly persons, and its early detection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curable cases, and i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ther family members. Although dementia screening tests are available, they have not gained widespread use in community or primary care settings. Our goal was to validate the Tine and Change (T&C) Test, -includ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patients, and to assess it as a simple, standardized method for the screening of dementia in the rural elderly.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of 59 patients from an urban hospital and 405 persons from a rural community aged 65 years or older. The time test evaluated the understanding of clock hands indicating 11:10, and the change test the ability to make 1,000 Won from a group of coins, consisting of one 500, seven 100, and seven 50 Won coins. The T&C ratings were validated against a reference standard based on the physician's diagnosis of the patients. The convergent validity in relation to other cognitive measure, test-retest agreement,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asses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 (K-MMSE) and the T&C Test, the mean K-MMSE scor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C Test in the elderly from a rural community. Results The T&C Test ha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73.0, and 90.9%,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93.1, and 66.7%, respectively. The test-retest and inter-observer agreement rates were both 95%. The K-MMSE scores and T&C Test were significantly related in the elderly from a rural community (p<0.01), The T&C Test was not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status. The Time and Change Tests took a mean of 6.3 and 12.7 seconds, respectively, to complete Conclusion : The T&C Test is a simple, accurate and reliable, performance-based tool in the screening for dementia. Because it is quick, and easy-to-use, it is hoped the T&C Test will be used for the widespread cognitive screening of aging populations.

코 석고모형에서 간접인체계측법의 정확성 : 직접인체계측법과의 비교 (Accuracy of Indirect Anthropometry on Cast Model of The Nose: Comparison with Direct Anthropometry)

  • 백대향;한기환;원동철;최태현;김준형;손대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48-55
    • /
    • 2008
  • Purpose: We measured linear distances, angles and inclinations on the cast models of the noses, and compared these indirect measurements with the direct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nose in order to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indirect anthropometry using the cast model. Methods: Subjects were 50 males and 50 females, medical students in twenties(mean 27.1 years). Cast models were made from the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plaster. In direct anthropometry, 16 linear, 7 angular, and 2 inclination measurements between 11 landmarks on the nose were obtained using sliding caliper, spreading caliper, and fabric tape measure. At the same time, the same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cast models of the same people. Total 25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tested by the independent t-test of SPSS. Results: The standard values of Korean nose in twenties were obtained. 24 measurements excep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indirect anthropometry and the direct anthropometry. Conclusion: Indirect anthropometry on the cast model of the nos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statistically, accounting for 24 in 25 measurements(96%). There are two possible reasons that caused the difference of columellar labial angl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anthropometry. Firs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could be decreased by protrusion of the lips which resulted from contracting mouth in which an drinking straw had been applied on the mouth corner for patients' respiration during making cast model. Second,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columellar labial angle could be measured larger when soft tissues were pressed by protractor in direct anthropometry. Using a drinking straw with greater diameter, and scheming respiration through the nostrils that patients don't feel discomfort, the more accurate data would be obtained from the indirect anthropometry using the cast models of the noses.

실시간 교통신호제어를 위한 루프 검지기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Loop Detector System for Real-Time Traffic Adaptive Signal Control)

  • 이승환;이철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8
    • /
    • 1996
  •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으 교통변화에 따른 교통상태를 실 시간으로 정확히 판별해 내기 위한 루프 검지기의 적정 형태 및 위치를 결정하였다. 교차로 정시선의 직진용 루프검지기의 적정 형태는 점유와 비점유시간의 신뢰도로서 결정하였으며, 도시간선도로상의 실시간 교통신호제어의 적용에 가장 적합한 루프는 특수형 루프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결정된 특수형(7,8번) 및 기존검지기(1번)의 형태와 권선방식은 <그림6.1>에 제시하였다. 직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에서의 차량의 이용특성상 정지선으로부터 5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좌회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의 좌회전 차선 이용행탱로서 결정되며, 루프 한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정지선으로부터 2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류부 루프의 적정형태는 특수형 루프(1.8${\times}$4.0m:1,7번)와 기존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루프(1.8${\times}$1.8m:1번)가 검지기준에 따라 모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대기행렬 검지기 및 앞막힘(Spillback) 예방 검지기의 위치는 링크길이,횡단보도여부,대기행렬 예측범위 등을 고려하여 각 검지기의 위치가 결정되었으며 또한 링크길이 250m이하인 경우는 대기행렬을 관리(Queue Management)하는 측명에서 검지기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 PDF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통항분리제도의 정량적 효과평가 (An Assessment of the Quantitative Effect of TSS by Vessel Traffic Flow Simulation)

  • 박영수;정재용;박진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9
    • /
    • 2003
  • 해상교통관리는 통항방식의 설정, 교통량의 총량 규제, 교통류의 정류, 항행속력의 규제, 교통신호에 의한 관제. 항행지원정보의 제공 등 선박교통의 안전을 위해 실시되는 관리적 기술 수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해상교통관리 수단 중에서 통항분리제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통항분리를 통한 선박간의 마주침 감소 또는 소멸로 인한 선박조종자의 조선곤란성 완화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중앙선 표시가 없는 왕복수로에서 (1)수로중앙에 부표(buoy)를 설치하는 경우, (2)통항분리대를 설정하는 경우, (3)일방통항수로로 바꾸는 경우 등과 같은 교통관리 방안을 도입하는 경우, 수로를 항행하는 선박조종자에 부가되는 부하의 정도(조선곤란성)를 환경스트레스(Environmental Stress:ES)치라는 지표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통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수로 중앙에 부표를 설치하면 선박조종자의 부하 값(허용 불가능한 값)이 약 23%. 통항분리대를 설정하면 약 32%, 일방 통항수로로 바꾸면 약 50%가 완화되었다. (2) 수로 폭이 동일한 경우 교통량이 적은 경우보다 교통량이 많은 경우가 부표 설치와 통항분리대 설정에 의한 통항분리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형선일수록 각 교통관리 방안의 도입에 따른 조선곤란성의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교통량이 동일한 경우 수로 폭이 넓은 경우보다 수로 폭이 좁은 경우에 대형선의 조선곤란성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3) 통항분리방식의 도입에 따른 효과는 수로 폭이 좁고 교통량이 많은 경우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

공동주택의 단열형태별 선형열관류율 평가 (An Evaluation of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for the Internal Insulation versus the External Insulation in Apartment Housings)

  • 이종성;이도헌;전명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315-323
    • /
    • 2014
  • 본 연구는 외단열시스템 성능평가의 주요인자인 선형열관류율을 국제규격(ISO)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에 의거, 내단열시스템 대비 외단열시스템의 열성능에 대한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외단열시스템의 열성능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의 대표적 열교부위인 3개 부위를 내단열과 외단열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각 부위별 단열형태별로 선형열관류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외벽-발코니 슬라브 부위는 열교차단재 설치가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열교차단재를 설치할 경우 외단열시스템이 내단열시스템보다 선형열관류율이 1/2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벽-발코니 부위와 같이 슬라브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외단열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선형열관류율이 거의 0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단열로 설계된 외벽-경계벽의 경우, 선형열관류율은 0.451W/m 로 내단열로 설계된 외벽-발코니 슬라브 등 열교가 있는 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이며, 외단열로 설치될 경우 이 또한 거의 0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동주택의 외단열시스템 도입 및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국제기준을 적용한 국내 평가기준의 제도화마련이 필요하며, 특히 제도화 마련과정에서 선형열관류율 계산 인자 중의 하나인 벽체길이의 계산방법은 국가차원의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