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ll Contro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MEMS 압력센서를 이용한 고성능 무인항공기용 공력자료시스템의 개발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s of Air Data System using MEMS Sensor for High-Performance UAV)

  • 백운율;김성수;김성환;박춘배;최기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017-102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의 대기속도 및 압력고도를 측정하는 공력자료시스템(ADS)을 개발하였다. ADS는 비행제어시스템에 항공기 속도와 고도를 제공함으로써 실속속도 이하에서의 비행을 막고 고도유지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무인항공기의 속도와 고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비행성능을 확인하고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ADS는 MEMS 압력센서, 저역통과필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그리고 피토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보정과 압력보정을 통해 ADS 데이터의 오차를 줄였으며 비행시험에서 GPS 데이터와 ADS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스마트무인기에 적용한 유동제어 장치 (Application of Flow Control Devices for Smart Unmanned Aerial Vehicle (SUAV))

  • 정진덕;홍단비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1호
    • /
    • pp.197-206
    • /
    • 2009
  • 스마트 무인기의 공력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익에는 와류생성기(vortex generator), 주익의 끝단에는 유동펜스(flow fence)를 적용하였다. 와류생성기는 SUAV의 최대양력계수와 실속각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지만 높은 항력증가를 초래하여, 결국에는 양항비가 줄어들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L-형태와 높이가 3mm와 5mm인 와류생성기를 적용하였다. 유동펜스는 나셀 틸팅각이 증가함에 따라 나셀에서 발생하는 박리에 의하여 주익성능이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두 가지 유동제어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스마트 무인기의 공력특성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정리하였다.

  • PDF

A PIV Study of Flow Patterns Over Stationary and Pitch-Oscillating Airfoils with Blowing Jet

  • Lee, Ki-Young;Chung, Hyoung-Seog;Cho, Do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111-120
    • /
    • 2008
  •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owing jet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ver stationary and pitch-oscillating airfoils. The Reynolds number was $7.84{\times}10^5$ based on the chord length. It was found that for stationary airfoil cases, continuous and pulsating blowing jets successfully reduced separated wake region at high angles of attack. A comparison study of two different types of jet blowing indicated that pulsating jet is more effective than continuous jet for flow separation control. Pulsating leading-edge blowing postpones flow separation and increased stall angle of attack by $2^{\circ}{\sim}3^{\circ}$. For pitch-oscillating airfoil cases, the PIV results showed that blowing jet efficiently delays the separation onset point during pitch-up stroke, whereas it does not prevent flow separation during pitch-down stroke, even at angles of attack smaller than static ones.

타원형 날개꼴의 유동제어에서 브로잉 제트 형태와 제트 각도의 영향 (Influences of Blowing Jet Type and Jet Angle on the Flow Control of Elliptic Airfoil)

  • 이기영;손명환;장영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47-53
    • /
    • 2004
  • 타원형 날개꼴의 공력 특성에 브로잉 제트 방식과 제트 방향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타원형 날개꼴의 박리제어에 있어서 브로잉 제트적용에 관한 기본 데이터를 축적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날개면에서의 압력 분포, 브로잉 제트 출구에서의 유속 분포 및 공력 자료를 제공하였다. 타원형 날개꼴에 대한 실험은 레이놀즈수 $8.22{\times}10^5$에서 수행하였다. 펄스제트는 후실속각 이후에 공력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즉, 펄스제트는 감소된 질량유동율로 상당히 높은 양력을 발생하였다. 제트 방향도 박리제어의 주요 파라미터임을 보였다. 양의 제트각은 박리를 지연시키거나 억제하였고, 음의 제트각은 박리를 오히려 촉진시켰다.

블로잉 제트에 의한 에어포일에서의 유동박리 제어효과 (Flow Separation Control Effects of Blowing Jet on an Airfoil)

  • 이기영;정형석;조동현;손명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1059-1066
    • /
    • 2007
  • 타원형 단면 에어포일의 블로잉 제트에 의한 유동박리 제어효과에 대한 연구를 레이놀즈수 Rec=7.84×105에서 실험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블로잉 제트는 에어포일 내부의 공기실에 있는 압축공기를 앞전 혹은 뒷전에 위치한 좁은 제트슬롯을 통하여 분출시켰다. 실험결과 블로잉은 날개면 압력회복으로 수직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박리 유동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블로잉에 의한 수직력의 상승은 상대적으로 높은 받음각에서 더욱 효과가 컸으며 낮은 받음각에서는 감소되었다. 현 연구조건에서 수직력을 상승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블로잉 방식은 앞전에서의 90° 방향의 간헐제트이었다. 특히, 간헐제트가 부여된 경우 실속 받음각을 약 2°-3° 지연시킬 수 있었다. 연속제트와 간헐제트 모두 에어포일의 공력특성과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유동박리 제어에 직접적이고 유효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Multi-array/multi-location synthetic jet을 이용한 박리 제어 (Separation control using multi-array/multi-location synthetic jet)

  • 김상훈;김종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8-15
    • /
    • 2006
  • 고받음각의 NACA23012익형에 대하여 synthetic jet을 이용하여 박리 제어를 수행하였다. 단일 synthetic jet을 이용하여 익형에 발생하는 앞전 박리를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고, 또한 실속 특성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때 발생하는 비정상 유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jet 속도를 얻기 위하여 multi-array synthetic jet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단일 위치에 장착된 synthetic jet을 이용하여 박리를 제어 하였을 경우 익형 윗면에 발생하는 작은 와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multi-location synthetic jet을 이용하였다. 작은 와동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유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진동수의 synthetic jet을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효과적인 박리 제어를 통한 익형 주변의 유동의 전체적 특성을 안정화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ulti-location synthetic jet의 phase 변화를 이용하여 multi-array/multi-location synthetic jet의 성능 및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reatment of Reproductive Disorder in Hanwoo)

  • 김학영;송상현;조헌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1-298
    • /
    • 200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와 번식우의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으며, 번식장애우에 대하여 proge-sterone제재인 control internal drug releasing for cattle(CIDR)를 처리하여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번식장애우에 대한 CIDR 처리는 7일간 질내에 삽입하였으며, 제거 하루 전에 PGF$_2$$\alpha$를 투여하여 황체를 퇴행 발정을 유기하고 발정 확인 후 10시간 간격으로 인공수정을 실시 임신의 유무로 치료 판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 영주지방의 127호의 한우 사육농가에서 사육하는 총 1,061두의 번식우의 번식상황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는 209두로서 발생률은 19.7%이었다. 사육규모별 번식장애 발생율은 10두 이하, 10~20두 및 20두 이상 농가에서 각각 37.5, 14.7 및 13.6%로서 사육규모가 커질수록 발생률이 유의적으로(P<0.05) 낮아지는 경 향이 었다. 2. 번식우의 농가 사육형태별 번식장애 발생률은 계류사육이 30.4%로서 군사의 14.7%보다 유의 적으로(P<0.05) 발생률이 높았으며, 군사의 경우 두당 사육면적이 넓을수록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번식장애우의 산차별 분포를 보면 미경산우가 50.7%로 가장 많았으며 산차가 증가할수록 번식장애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번식장애우의 요인별 분포는 무발정이 65.1%, 미약발정 29.2%, 난소낭종 4.3% 그리고 기타1.4%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었다. 5. 209두의 번식장애우에 CIDR를 처리하고 인공 수정한 결과 157두가 임신되어 75.1%의 치료효과를 얻었다. 번식장애우의 신체충실 지수별 치료효과는 신체충실 지수가 1, 2 및 3인 경우 수태 율이 각각 85.7, 84.9 및 86.8%로서 유의 적으로(P<0.05)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다소 야윈 경우가 과비된 경우에 비하여 치료 효과가 좋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사육농가의 번식장애 발생률은 19.7%로서 사육규모가 커서 농가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또한 계류보다는 넓은 면적에서 군사하는 경우가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았으며, 요인별로는 발정과 관련된 장애가 많았다. 이러한 번식장애우도 농가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rogesterone 제재인 CIDR를 처리함으로서 75.1%를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체충실지수를 1, 2 및 3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정 사양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erformance, Carcass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Crossbred Wagyu Beef Steers Receiving Palm and/or Linseed Oil

  • Suksombat, Wisitiporn;Meeprom, Chayapol;Mirattanaphrai, Rattakor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32-1442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lm and/or linseed oil (LSO) supplementation on carcass quality, sensory evaluation and fatty acid profile of beef from crossbred Wagyu beef steers. Twenty four fattening Wagyu crossbred beef steers (50% Wagyu), averaging $640{\pm}18kg$ live weight (LW) and approximately 30 mo old, were stratified and randomly assign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to 3 treatment groups. All steers were fed approximately 7 kg/d of 14% crude protein concentrate with ad libitum rice straw and had free access to clean water and were individually housed in a free-stall unit. The treatments were i) control concentrate plus 200 g/d of palm oil; ii) control concentrate plus 100 g/d of palm oil and 100 g/d of LSO, iii) control concentrate plus 200 g/d of LSO.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of LSO rich in C18:3n-3 did not influence feed intakes, LW changes, carcass and muscle characteristics, sensory and physical properties. LSO increased C18:3n-3, C22:6n-3,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however, it decreased C18:1t-11, C18:2n-6, cis-9, trans-11, and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s, n-6 PUFA and n-6:n-3 ratio in Longissimus dorsi and Semimembranosus muscles.

계통연계 풍력발전시스템의 최대출력제어를 위한 신경회로망 제어기에 관한 연구 (Neural Network Controller of A Grid-Connected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for Maximum Power Extraction)

  • Ro, Kyoung-Soo;Choo, Yeon-Sik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4
  • 본 논문은 바람으로부터 최대출력을 추출하기 위해 계통연계 풍력발전시스템의 신경회로망 제어기와 추출된 최대출력을 계통에 전달하기 위한 전력제어기를 제안한다. 유도발전기, 변압기, 정류기 및 인버터 등으로 구성된 제어기를 갖춘 풍력발전시스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특성해석을 위해 드라이브 트레인 모델, 유도발전기 모델과 계통접속 모델을 제시한다. 신경회로망 제어기는 풍차날개의 피치각을 제어하여 바람으로부터 최대출력을 추출한다. 피치제어방법은 기계적으로 복잡하지만 제어성능은 스톨제어보다 우수하게 된다. MATLAB으로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발전기 토오크, 발전기 회전속도, 피치각, 계통으로 주입되는 유효/무효전력 등을 예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보면 제안된 제어기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다.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mall Ruminants under Integrated Livestock-Oil Palm Production System

  • Haji Baba, A.S.;Azillah, A.;Mukherjee, T.K.;Abdullah, 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573-579
    • /
    • 1998
  •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mixed fodder or concentrate were investigated on the performance of a) growth of male lambs and kids grazing extensively under oil palm trees and b) reproduction of ewes and goats stall-fed with native herbage. Supplemented kids and lambs had higher average daily weight gain than controls but the effect was only significant for those which received concentrate (p < 0.05). Final body weight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s for lambs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p < 0.05). The ages at puberty, first mating, first conception and first kidding of supplemented goats were about 110 days earlier than those for controls (p < 0.05 or better). Supplemented goats had first mating and conceived at lower body weights (p < 0.01) than those in control groups. Different feeding regimes had no effects (p > 0.05)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ewes apart from highest body weight of first lambing in animals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p < 0.05). Native herbage available under oil palm trees of 5 years old was sufficient for growth and reproduction of sheep and goats. Concentrate was better than mixed fodder as supplement for enhancing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oats but both appeared to have limited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reproduction in ewes and growth in male k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