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irwel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NFPA 101 피난 안정성 평가에 기초한 피난 규정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ans of Egress Based on NFPA 101)

  • 강경호;정석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8
    • /
    • 2023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means of egress of Jechon Sports Center and Miryang Sejong Hospital, where massive fire human casualties occurred in 2017 and 2018 respectively, comply with NFPA 101(Life Safety Code), and to suggest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of domestic means of egress regulations. The study evaluate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means of egress, travel distance, common path of travel, dead end and discharge from exit for each building by applying the means of egress regulations of NFPA 101.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rough NFPA 101, the travel distance was appropriate, but some of the other items except for the travel distance did not meet NFPA 101. The regulation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re 1)occupant load calculation 2)egress capacity calculation 3)continuous concept of means of egress 4)concept of common path of travel.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revise the requirement for fire door of the evacuation floor(normal 1st floor) of the stairwell in case of below the five story building.

제연구역 방화문의 각속도 변화와 폐쇄 조건 분석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Injection Pressurization in the Smoke-Control Zone II. Analysis of the Conditions for Closing Force of Fire Door with Variation of Angular Velocity)

  • 이창욱;김홍진;최영기;염문천;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6-10
    • /
    • 2013
  • 본 연구는 풍도, 부속실, 거실 그리고 계단실로 구성된 구조물의 제연설비 성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급기 가압실의 안전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험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부속실 가압 및 차압 조절 설비와 방화문의 개폐력 측정 장치를 제작하였다. 본 주제는 부속실의 가압을 위한 설계유량과 폐쇄시 차압이 동일한 경우 방화문의 크기와 닫히는 각속도 증가에 따라서 폐쇄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방화문의 크기와 닫히는 각속도가 증가 할수록 폐쇄력이 증가하였으며, 일정 각속도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폐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임계각속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업무용 고층건물 계단실의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Vertical Evacuation Speed in Stairwell of a High-rise Office Building)

  • 정석환;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3-20
    • /
    • 2015
  • 초고층 건축물의 수직성 증가는 더 긴 최소피난시간(Required Safety Egress Time, RSET)을 요구하게 된다. 초고층건물에선 계단을 통한 수직이동이 피난경로 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에서 반복된 3번의 대피훈련을 시행하고, 영상분석을 통해 피난경로 선택의 변화와 계단실 내 수직 보행속도-밀도의 함수관계를 분석했다. 또한 Pathfinder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단계적 피난의 방법에 따른 총 피난시간의 변화와 실제 훈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적 피난훈련과 교육을 통해 특정 계단 이용률이 6.3%에서 39.5% 개선되었고, 각 피난경로별 피난시간도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계단실 내 수직 보행속도-밀도의 관계식이 기존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s = 1.004 ? 0.288D로 확인되었다. 단계적 피난의 방법에 따라 전층 동시피난에 비해 총 피난시간이 25% 이상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돌효과를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Pressurization System of Smok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Stack Effect)

  • 김정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6
    • /
    • 2013
  • 압력차를 이용해서 연기를 제어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경우에는 건축물 내의 압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설계에 반영해야 하며, 연돌효과가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모델 기반의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해서 20층 규모의 건축물 피난계단을 대상으로 연돌효과가 포함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돌효과만 작용하는 경우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만 작용하는 경우 및 연돌효과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의 3가지 조건에 대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층별로 구획실의 압력과 공기 유량에 대한 상세한 해석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연돌효과의 영향을 가시적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연돌효과와 급기가압 효과가 합해진 만큼 계단실의 압력이 상승하는 해석결과와 이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유입 공기의 배출 성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of Inflowing Air Emission)

  • 이혜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41-251
    • /
    • 2022
  • 연구목적: 고층 건물 화재시 제연구역이 효과적으로 보호되지 않으면 수직피난경로에 연기나 화염이 유입되어 대피가 어려워진다.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제연구역에 차압 및 방연풍속을 공급하여 능동적으로 연기 유입을 억제하고, 제연구역으로부터 옥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옥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입 공기의 배출로 인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성능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CONTA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본조건과 변경조건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밀폐된 복도에서 유입 공기가 배출되면 제연구역에서 과압이 발생하여 개방력을 초과하였고 유입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층 에서는 방연풍속이 미달하였다. 결론: "차압 배출댐퍼" 적용, 배출댐퍼 2개층 동시 개방, 복도와 옥외 사이 자동식 창문 설치로 유입공기의 배출 성능이 개선되었다.

일본국(日本國) 경도(京都)의 정가(町家) 유형(類型) 연구(硏究) -신경정가(新京町家)의 "후끼누께" (취발(吹拔))를 통하여 본 "열림" 성향(性向)에 대하여- (THE OPEN-ORIENTED CHARACTERISTICS OF THE NEW TOWN HOUSE 'MACHIYA' IN KYOTO FROM ITS 'HUKI-NUKE' SPACE POINT OF VIEW)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50-72
    • /
    • 1996
  • The typical Japanese hou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open dwellings to make them cool in the hot and humid summer. And then the traditional town house 'Machiya', being built very closely to each other and walled up both sides, it has taken the open-oriented characteristics i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open-oriented of traditional 'Machiya' has been succeeded to the new 'Machiya' in the latest. The new 'Machiya' shows the open-oriented, taking the ventilative 'Huki-nuke' space of traditional 'Machiya' as the new spatial formal elements, in the changes such as scale material space 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uki-nuke' space are represented as follows ; 1. The facade of the traditional 'Machiya', which has taken on a semitransparent qualty, has been generally changed to the closing qualty except for the open parts of shop and garage. This facade of the new 'Machiya' has been taken to be in keeping with the existing town as much as possible. 2. A series of three rooms, composed of shop/living dining kitchen/room from the road, have been dispersed to every floors in a building with a very extensive scale. But this serial and linear type remains as the loosefit space, and the long dwellings of the upper stories are divided by type each dwelling unit. 3. 'Tori-niwa', which is a consecutive and penetrating space, connects the road with the rooms of dwelling and functions as the circulation of man thing energy, The new 'Machiya' changed to the multi-story, the corridor and the stair have been fumed up as the elements in the place of 'Tori-niwa' The 'Huki-nuke' space was locted in the hall, stairwell, living dining kitchen room, and so on. 4. The small court yard 'Tsubo-niwa' and back yard 'Ura-niwa' at the both ends of living spaces would be made a hole in a series of rooms and enclosed by the neighboring 'Machiya'. On the contrary the new 'Machiya' at present takes in the private and closing organization enclosing the innercourt. 5. The open-oriented ${\ulcorner}$In${\lrcorner}$ or ${\ulcorner}$Out${\lrcorner}$ is not brought out because of the delicate spatial formal configuration in the traditional 'Machiya'. But the open-oriented ${\ulcorner}$In${\lrcorner}$, all sides being closed by walls, is well brought out in the new 'Machiya'.

  • PDF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이 부속실과 화재실 간 차압형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levator Movement o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Vestibule and Living room in High-rise Buildings)

  • 박영기;홍기배;유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85-91
    • /
    • 2018
  •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생성되는 유독성 가스 및 연기로 인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연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제연시스템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필수적인 피난 방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구동시 생성되는 강력한 압력장 및 유동변화로 인해 제연시스템의 성능확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능설계위주의 샌드위치 가압방식이 적용된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에 따른 제연성능 확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로 수행하였다. 실제 초고층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창문, 방화문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누설면적은 화재안전기준 및 면적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제 엘리베이터 속도 7 m/s~17 m/s에 해당하는 20 m/s~100 m/s로 동역학적 상사를 통해 엘리베이터 속도를 변경하였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부속실과 화재실 간 차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관계식은 ${\Delta}P=40{\cdot}{\exp}$(-Ves /-104.7)-23.735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을 고려한 제연시스템 설계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방화셔터를 이용한 아트리움 제연과 피난안전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the Atrium Smoke Control by Fire Shutter and Evacuation)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0-5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구 D대학 기숙사 건물에 대해 2MW, 5MW 화재크기와 아트리움 방화셔터의 미설치 및 작동 경우의 4가지 화재시나리오를 구성하고, FDS(ver. 5.5.0)와 Pathfinder 200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피난영향평가를 통하여 방화셔터와 배연구의 아트리움 제연 효과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고, 화재위험 및 피난안전을 분석하였다. 방화셔터의 작동은 연기 전파 방지에 큰 효과가 있지만, 상부 배연구를 통한 배연량이 불충분하여 방화셔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연기층은 바닥으로부터 약 2m 지점까지 하강하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기층 한계 높이 이하가 되었다. 또 방화셔터 미설치, 5MW 화재크기의 경우, 온도보다 가시거리에 의한 화재위험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고, 기숙사 중.상부 층의 계단실 피난여유시간은 약 5초 이내로 매우 작았다. 지상 1층 주출입구까지 전체 피난자의 순수 피난이동시간은 136초이다. 피난자의 더 안전한 피난을 위해 추가적인 보완조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