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bilization Splin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비기능적 습관에 의한 전반적인 마모 환자의 고딕아치 기록장치 및 교합안정장치를 통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a gothic arch tracer and stabilization splint.)

  • 주성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32
    • /
    • 2023
  • 비기능적 습관을 가진 환자는 턱관절 장애, 저작 근육의 근막통증증후군 등과 함께 치아의 광범위한 마모를 유발한다. 지속되는 교모는 수직교합고경의 감소를 동반하게 되며 이는 안모의 변화, 저작 효율 저하, 측두하악 관절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수직교합고경 감소 환자의 3차원적인 교합 회복과 재구성을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및 분석과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생리적인 수직교합고경의 회복 및 정상적인 교합평면 재설정을 동반한 보철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구강 악습관에 의한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와 저작근의 불편감, 그리고 수직교합고경 감소로 인한 심미적 불만족을 호소하는 환자의 수직교합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이다. 교합안정장치를 통한 측두하악관절의 안정과 고딕아치 기록장치를 이용한 악간관계 재설정 및 임시 수복물을 통한 경과 관찰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Disuse Atrophy of the Masticatory Muscles after Surgical Resection of a Schwannoma: A Case Report

  • Lee, Yeon-Hee;Park, Hye-Ji;Hwang, Mi-Jin;Auh, Q-Schic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4호
    • /
    • pp.147-151
    • /
    • 2018
  • Disuse atrophy involves gradual muscle weakening due to inadequate usage and can cause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A 45-year old man with TMD symptoms on the left side, who had disuse atrophy of the masticatory muscles on the right side following surgical removal of a trigeminal schwannoma on the right side, first visited the Department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at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left jaw pain and difficulty in opening mouth and chewing. He had been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gnitive function, decrease in visual acuity, impaired speech, and writing deficits after brain surgery. Furthermore, he complained of abnormal occlusion on the right side, which interfered with his ability to chew comfortably and open his mouth effectively. Herein, we describe a contralateral TMD case due to ipsilateral disuse atrophy after brain surgery for a trigeminal schwannoma and our successful treatment with medication, physical therapy, and stabilization splint.

Management of Disc Displacement with Retrodiscitis after Macrotrauma: A Case Report

  • Tae-Seok Kim;Yeon-Hee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8권1호
    • /
    • pp.25-30
    • /
    • 2023
  • We present the case of a 60-year-old male with post-macrotrauma disc displacement and retrodiscitis, in which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njection and manual therapy were used to alleviate his symptoms. He visited our clinic with complaints of pain and swelling in his right facial area and malocclusion of his right side teeth after being hit on the right side of his face five days earlier. Dur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the inflammatory state of the joint and disc displacement on the right side, which led to malocclusion, were noted. At the initial visit, we performed TMJ intracapsular injection and prescribed medications to control pain and inflammation. Simultaneously, manual manipulation was performed to relocate the disc. The same treatments were employed two days later. However, 10 days after the first visit, his symptoms did not mitigate substantially. We also perform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escribed nortriptyline, and created a stabilization splint. MRI images depicted inflammatory disc displacement and joint effusion in the right TMJ. Based on the accurate diagnosis, we kept administering a stabilization splint, intra-articular injection, and medication. His signs and symptoms were alleviated 20 days after the initial visit and did not reoccur for the next 40 days.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가 하악골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positional changes by the stabilization splint in TMD patients)

  • 천훈;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1-507
    • /
    • 2000
  • 이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의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 60명이며 남자 19명, 여자 41명으로 각각의 평균연령은 19.5세와 21.5세 이었다. 전체 대상자를 전, 후방적으로는 Angle 분류법에 따른 교합관계에 의하여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으로는 Jarabak의 후안면고경과 전안면고경의 비율에 따라서 clockwise, straight downward, counterclockwise의 3군으로 구분하여 부정교합군 별로 측정했으며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중심교합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계측치들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비교시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이후 하악골은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었고 overjet은 1.3mm의 증가, overbite은 1.9mm감소되어 수평변화보다 수직적인 변화의 양이 컸다. 2. 전후방 3군 분류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Class II군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3군중 후방변위량이 가장 컸다. 3.수직 3군 분류시 Clockwise와 counterclockwise군에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3군 모두에서 수직적인 변화량이 수평변화량 보다 컸다. 4. 중심교합위시의 부정교합 양태 및 골격유형, 그리고 중심교합위 계측치를 통하여 중심위 계측치를 설명할 수 있는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기존에 시행되어 오던 중심위 전환에 의한 방법이 아니고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자에서 교합안정 장치 를 장착하여 중심위를 획득한 상태에서 하악골의 위치 변화를 계측한 것으로 측두하악장애를 동반한 부정교합환자에서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 의존한 진단은 부정교합의 실체를 파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어 온 중심위 전환방법 역시 중심위 유도후 발생되는 수직적인 부조화의 양상을 나타낼 수 없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 후방적으로는 Class II 부정교합군, 수직적으로는 Clockwise군과 Counterclockwise군에서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한 중심위 회복시에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이에 동반된 구치부의 교합간섭으로 전후방 부조화뿐 아니라 수직적부조화를 더욱 심화시키므로 이에 대한 진단 및 치료시의 고려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 PDF

Surgical Correction of Pseudo-flail Chest Using Interfragmentary Wiring, Latissimus Dorsi Flap, and External Splinting in a Dog

  • Min, Byong-Su;Jeong, Soon-Wuk;Yoon, Hun-Yo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4-128
    • /
    • 2016
  • A 7-year-old intact female Maltese dog presented with a history of bite wounds.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labored breathing, four puncture wounds with subcutaneous emphysema of the thorax, and paradoxical respiratory movement of the right thoracic wall. On radiography, a segmental fracture of the right 7th rib and a single fracture of the 8th rib were evident on the dorsal thorax. An inward displacement of the fractured segment and contusion of the right caudal lung lobe were identified with computed tomography. A diagnosis of pseudo-flail chest was made. Exploratory thoracotomy revealed a full-thickness muscular defect, a marked discoloration of the right caudal lung lobe, a segmental fracture of the right 7th rib, and a single fracture of the right 8th rib. Necrotic tissues were removed using surgical debridement. The fractured 7th and 8th ribs were corrected using a single interfragmentary wiring technique. The thoracic wall was reconstructed using the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Additional thoracic stabilization using a thermoplastic splint was applied to correct paradoxical respiratory movement. The external splint was removed 4 week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evidence of respiratory abnormalities 18 months postoperatively.

측두하악장애의 치료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 정다운;정아영;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441-452
    • /
    • 2012
  • 다른 근골격성 질환에서와 같이,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은 일시적이거나 자기 한정적(self-limiting)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복잡한 교합 치료나 수술과 같은 비보존적, 비가역적 치료를 초기치료로 선택하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또한 자가요법, 행동 수정, 물리치료, 약물요법, 장치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가역적 치료가 측두하악장애의 초기치료로 추천된다.

Activator를 이용한 기능성 안면 비대칭의 치료 (USE OF OCCLUSAL SPLINT(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 주진형;이광희;김대업;정영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17
    • /
    • 2002
  • 어린이는 성인과 다른 악관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견고한 중심교합위를 얻지 못하거나 이원교합(dual bite)의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향이, 편측저작 등의 치열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습관과 합쳐져 골격적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경우, 안면 비대칭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치료로서 교합유도를 통한 관절의 안정화와 그에 맞는 교합의 재형성을 통한 관절 및 교합의 안정화가 필요하다.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5세 어린이에서 편측저작 습관으로 말미암은 우측 편측 구치부 절단교합과 2.5mm의 정중선 불일치가 있었다. 저자들은 activator를 이용하여 악관절 및 교합을 정상위치로 유도한 후 유구치를 주조금관으로 수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직접외상에 의한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의 치험례 (A Case Report on the Treatment of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tion in TMJ Disorders by Direct Trauma)

  • 조수현;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3호
    • /
    • pp.281-288
    • /
    • 1998
  • The authors treated a 30-years old female patient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NUH due to the chief complaint of limitation of mouth opening.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ing clinical examination was used for establishing an accurate and reliable diagnosis and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in the right joint a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in the left joint. For manag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mandible manipulation was applied first focusing on pain control and then stabilization appliance was used for maintenance of joint stabilization. With time, the sign and symptom was remarkably reduced and an active exercise program was recommended to maintain of normal muscle length, increase joint range of motion and develop normal coordination arthrokinematics. As a result of treatment, the patient did not complain discomfort of normal daily activities and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displace disc was not reduced completely, but the improvement in range of motion and joint mobility were remarkably found. Therefore, an exercis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maintain joint mobility and be effective as a self-care.

  • PDF

하악 유전치부 치조골 골절시 resin-wire open cap splint를 이용한 고정 (IMMOBILIZATION OF LOWER MANDIBULAR ALVEOLAR BONE FRACTURE USING RESIN-WIRE OPEN CAP SPLINT)

  • 권정현;최병재;최형준;김성오;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5-180
    • /
    • 2008
  • 치아 및 치조골은 복합적인 구조이므로 치아의 함입이나 측방 탈구와 같은 치조와의 변위가 있는 다수 치아를 포함한 외상에서 치조골 골절이 동반될 수 있다. 치조골이 골절되면 치주인대 및 치수로의 혈행이 단절되어 치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특히 유치열기 외상은 후속 영구치배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하다. 치아 및 치조골 골절의 치료 시에는 환자의 연령과 외상의 위치 및 범위, 유치의 변위 정도 및 방향을 고려해야하며, 골절편을 재위치 시키고 고정하기 위하여 아치바(arch bar), 레진-강선 고정, 교정용 밴드, 아크릴 또는 금속 캡 스플린트(acrylic or metal cap splint), 화이버 스플린트(fiber-splint) 등의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본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치조골이 골절되어 내원한 1세 11개월 된 환아로서 모형상에서 레진-강선 오픈 캡 스플린트(resin-wire open cap splint)를 제작하여 고정한 후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다. 이 방법은 부가적인 기공 과정이 필요하지만, 유치열기에서 사용할 수 있고, 시술시간이 짧아 비협조적인 환아에게 진정요법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아크릴 캡 스플린트에 비해 부피가 작아 불편감이 적고, 교합을 방해하지 않으며, 접착시 시멘트가 빠져나갈 공간이 있어서 스플린트의 정확한 안착이 가능하다. 또한 비교적 통증이 적으며 침습적이지 않아 출혈이 없으므로 의과적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 PDF

CLOSED LOCK증례에 대한 악관절 세정술의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ARTHROCENTESIS-CASES OF CLOSED LOCK)

  • 현영옥;강창희;노양호;천영두;이희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70-76
    • /
    • 2001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rthrocentesis for treatment of closed lock. Material : 42 patients were diagnosed to closed lock by physical, radiographic examriation and undergone arthrocentesis. All patients have a pain and mouth opening limitation on affected site. Method : Arthrocentesis was done under conscious sedation and local infiltration anesthesia, normal saline and some steroid was injected on upper compartment of tempormandibular joint. After pumping and lavage, manual reduction procedure of anterially displaced disc was done. All the patients wear an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just after arthrocentesis. The result of arthrocentesis was assessed by pain and difference of mouth opening. Result : Difference of mouth opening after arthrocentesis was improved to 18.85mm and pain was gradually decreased. All patients were worn stabilization type splint after mean 1.84 months. 6 patients had relapse of mouth opening limitation so done arthrocentesis again and delivered good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