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quamous cell carcinomas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4초

구강인두 종양의 방사선 치료 성적 (Primary Radiotherapy of Oropharyngeal Carcinoma : Experience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1980. 1-1986. 12))

  • 박영환;박우윤;조철구;고경환;류성렬;심윤상;오경균;이용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89-198
    • /
    • 1990
  • 저자들은 1980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66명의 구강인두 편평상피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얻었다. 구강인두 종양의 원발 부위별 환자분포를 보면 편도부위 종양이 42예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 종양이 12예, 구강저 종양이 9예 그리고 측인두 및 후인두벽 종양이 3예순이었다. 구강인두 부위에 침범한 병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경우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국소관해율은 T1과 T2 그리고 T3와 T4 병기에서 각각 80%와 77% 그리고 73%와 40%였고 전체적으로 70%의 국소관해율를 보였다. 국소관해율은 원발병소의 병기가 낮을수록, 또한 원발부위로 볼때 연구개부위 종양에서, 그리고 분화도상에 미분화된 세포를 가진 경우에 가장 높았다. 국소적 임파선의 병기에 따른 국소임파관해율은 N1과 N2 그리고 N3 병기에서 각각 96%와 63% 그리고 40%였으며 전체적으로 70%의 국소임파관해율를 보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T1과 T2에서 73%, T3와 T4에서 46%였다(p<0.05). 또한, 편도부위에 생긴 종양의 경우 5년 생존율은 주위조직으로의 침범이 없는 군이 있는 군보다 통계적인 유의차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볼때 방사선 요법이 해부학적 형태 유지 및 기능적인 보존측면에서 구강인두 종양에 대한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인 두경부 종양환자에서 노쪽아래팔유리피판술의 유용성 및 공여부 결과의 비교 (Versatility of Radial Forearm Free Flap on Head and Neck Cancer in Old-Aged Patient and its Donor Site Morbidity)

  • 이기응;고성훈;어수락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5권2호
    • /
    • pp.92-100
    • /
    • 2006
  • Radial forearm free flap (RFFF) has been established itself as a versatile and widely used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although it is still criticized for high mortality of donor site. Delayed wound healing, cosmetic deformity, vascular compromise and potentially reduced wrist function have many plastic surgeons hesitate to adapt it as a first choice in micro-reconstruction. To overcome these drawbacks, some techniques for donor-site repair such as V-Y advancement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 (FTSG), application of artificial dermis ($Terudermis^{(R)}$) or acellular dermal matrix ($AlloDerm^{(R)}$), and double-opposing rhomboid transposition flap have been reported. Authors performed 4 cases of RFFF in old-aged patients of the head and neck cancer from April 2005 to February 2006. We compared the outcomes of donor site of RFFF which were resurfaced with split thickness skin graft (STSG) only and STSG overlying an $AlloDerm^{(R)}$. Patients were all males ranging from 59 to 74 years old (mean, 67.5). Three of them had tongue cancers, and the other showed hypopharyngeal cancer. All cases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squamous cell carcinomas. We included the deep fascia into the flap, so called subfascially elevated RFFF in three cases, and in the other one, we dissected the RFFF suprafascially leaving the fascia intact. The donor site of the suprafascially elevated RFFF was resurfaced with STSG only. Among three of subfascially elevated RFFFs, donor-sites were covered with thin STSG only in one case, and STSG overlying $AlloDerm^{(R)}$ in two cases. All RFFFs were survived completely without any complication. The donor site of the suprafascially elevated RFFF was taken well with STSG only. But, the partial graft loss exposing brachioradialis and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was unavoidable in all the subfascially elevated RFFFs irregardless of $AlloDerm^{(R)}$ application. Considering that many patients of the head and neck cancer are in old ages, we believe the RFFF is still a useful and versatile choice for resurfacing the head and neck region after cancer ablation. Its reliabi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uld override its criticism for donor site in old-aged cancer patients.

  • PDF

Gastrointestinal, Liver and Biliary Tract Pathology: A Histopathological and Epidemiological Perspective from Pakista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Ahmad, Zubair;Arshad, Huma;Fatima, Saira;Idrees, Romana;Ud-Din, Nasir;Ahmed, Rashida;Ahmed, Arsalan;Memon, Aisha;Minhas, Khurram;Arif, Muhammad;Fatima, Samia;Haroon, Saroona;Pervez, Shahid;Hasan, Sheema;Kayani, Nai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997-7005
    • /
    • 2013
  • Aim: To present an epidemiological and histological perspective of diseas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cluding liver and biliary tract) at the Section of Histopathology, Department of Pathology, AKUH, Karachi, Pakistan. Materials and Methods: All consecutive endoscopic biopsies and resections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31, 2012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2,323 cases were included. Carcinoma was overwhelmingly the commonest diagnosis on esophageal biopsies (69.1%); chronic helicobacter gastritis (45.6%) followed by adenocarcinoma (23.5%)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gastric biopsies; adenocarcinoma (27.3%) followed by ulcerative colitis (13.1%)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colonic biopsies; acute appendicitis (59.1%) was the commonest diagnosis on appendicectomy specimens; chronic viral hepatitis (44.8%) followed by hepatocellular carcinoma (23.4%)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liver biopsies; chronic cholecystitis was the commonest diagnosis (over 89%) on cholecystectomy specimens. Conclusions: Squamous cell carcinoma comprised 88.8% of esophageal cancers. About 67% were in the lower third and 56.5% were moderately differentiated; mean ages 49.8 years for females and 55.8 years for males; 66% cases were from South West Pakistan. Over 67%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were males; mean ages 59 and 44 years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about 74% gastric carcinomas were poorly differentiated; and 62.2% were located in the antropyloric region. About 63%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carcinoma were males; mean ages 46.1 and 50.5 years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umor grade was moderately differentiated in 54%; over 80% were located in the left colon. In 21.2% appendicectomies, no acute inflammation was found. Acute appendicitis was most common in young people. Hepatitis C (66.3%) was more common than hepatitis B (33.7%); about 78% cas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occurred in males; females comprised 76.7% patients with chronic cholecystitis; and 77.8% patients with gall bladder carcinoma. All resection specimens showed advanced cancers. Most cancers occurred after the age of 50 years.

후두 악성종양에 대한 내시경적 레이저 수술의 적용 (Endoscopic Laser Surgery in Laryngeal Carcinoma)

  • 김광현;성명훈;이효정;이동욱;박범정;성원진;민양기;이철희;이재서;이상준;노종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6-40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determine if laser endoscopic microsurgery is a reliable and appropriat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of 62 patients treated with CO2 laser from June 1988 to November 2000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curative intention. Fifty three untreated patients with laryngeal carcinoma (39 glottic and 14 supraglottic carcinoma patients) had primary carbon dioxide laser microsurgery. Nine radiation failure patients were treated. Postoperative radiotheray was done for 17 patients.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4 supraglottic cases with cervical nodal metastasis. Mean follow-up duration was 40 months. Results: In primary laser surgery group, distribution of tumors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1997) were 38 cases with Tl, 13 cases with T2, 2 cases with T3. Cure rate was 88.7%(47/53) and local control rate was 92.5%(49/53). Larynx was preserved in 94%(50/53) of patient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Kaplan-Meier) was 81.5%. In radiation failure group, 56% of patients were recurred after laser surgery. Conclusion: Laser surgery could be a better treatment modality for early laryngeal cancers and selected advanced cases.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f resection margin is not satisfactory.

Distribution of HPV Genotypes in Cervical Cancer in Multiethnic Malaysia

  • Raub, Sayyidi Hamzi Abdul;Isa, Nurismah Md.;Zailani, Hatta Ahmad;Omar, Baharudin;Abdullah, Mohamad Farouk;Amin, Wan Anna Mohd;Noor, Rushdan Md.;Ayub, Mukarramah Che;Abidin, Zainal;Kassim, Fauziah;Vicknesh, Visvalingam;Zakaria, Zubaidah;Kamaluddin, Muhammad Amir;Tan, Geok Chin;Syed Husain, Sharifah Noor Akm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651-656
    • /
    • 2014
  • Background: Cervical cancer is the third commonest type of cancer among women in Malaysia. Our aim wa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genotypes in cervical cancer in our multi-ethnic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multicentre study with a total of 280 cases of cervical cancer from 4 referral centres in Malaysia, studi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detection of 12 high risk-HPV genotypes. Results: Overall HPV was detected in 92.5% of cases, in 95.9% of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84.3%of adenocarcinomas. The five most prevalent high-risk HPV genotypes were HPV 16 (68.2%), 18 (40%), 58 (10.7%), 33 (10.4%) and 52 (10.4%). Multiple HPV infections were more prevalent (55.7%) than single HPV infections (36.8%). The percentage of HPV positive cases in Chinese, Malays and Indians were 95.5%, 91.9% and 80.0%, respectively. HPV 16 and 18 genotypes were the commonest in all ethnic groups. We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HPV 16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inese (75.9%) compared to Malays (63.7%) and Indians (52.0%) (p<0.05), while HPV 18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ays (52.6%) compared to Chinese (25.0%) and Indians (28%) (p<0.05). Meanwhile, HPV 33 (17.9%) and 52 (15.2%) were also more commonly detected in the Chinese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HPV genotype in Malaysia is similar to other Asian countries. Importantly, we found that different ethnic groups in Malaysia have different HPV genotype infection rates, which is a point to consider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HPV vaccination.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에 있어서 미세혈판 신생의 임상적 예후인자로서의 의의 (Prognostic Significance of Angiogene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고혁재;박정현;국향;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757-765
    • /
    • 2000
  • 연구배경 :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혈관신생의 형성 정도를 반영하는 종양내 미세혈관 밀도가 비소세포 폐암에서 예후인자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되어, 미세혈관 밀도의 정도에 따른 생존 기간의 차이를 확인하여 미세혈관 밀도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원광대학병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비소세포 폐암 50례(편평상피암 35례, 선암 12례, 대세포암 3례)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에 의해 채취된 paraffin 보관 조직의 절편을 이용하였다. 혈관신생의 정도로서 미세혈관 밀도를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anti CD 31(PECAM, platelet endothelial cellular adhesion molecule)을 연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광학 현미경 200배 시야에서 계측하였다. 결과 : 전 대상군에서의 미세혈관 밀도는 47.1$\pm$17.7이었고 편평상피암 군은 43.9$\pm$16.2로서 선암군의 54.4$\pm$19.9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TNM 병기별 I 병기 50.6$\pm$16.2, II 병기 43.6$\pm$20.4, III 병기 43.8$\pm$17.9로서 TNM 병기별로 미세혈관 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미세혈관 밀도가 45미만인 저밀도군(22례)과 45이상인 고밀도군(28례)의 중앙 생존기간은 61개월, 46개월이고 2년 생존율은 80%, 75%이고 5년 생존율은 40%, 12%로서, 미세혈관 저밀도군이 고밀도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양호하였다 (p=0.0162, Kaplan-Meier, log-rank). 전 군을 병리조직학별로, TNM 병기별로 구분하여 미세혈관 저밀도군과 고밀도군으로 중앙생존기간을 비교한 결과 각각에 있어서 저밀도군의 중앙 생존기간이 양호하였으나, 각 군의 대상 례가 적용 탓으로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결론 : 혈관신생을 반영하는 미세혈관 밀도가 낮을수록 예후 및 생존율은 유의하게 양호하였으며, 미세혈관 밀도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있어서 예후추정인자로서 유용 하리라 생각된다.

  • PDF

비소세포폐암조직에서 XIAP 발현과 고사지수 및 수술 후 예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XIAP Protein in Operable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and Apoptosis Index and Postoperative Prognosis)

  • 김상현;이창훈;설미영;송진미;이종협;이민기;김종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5호
    • /
    • pp.480-489
    • /
    • 2005
  • 연구 배경 : 세포자멸사의 장애는 발암, 암의 진행, 화학치료시 내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XIAP는 IAP군 중에 가장 강력한 caspase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에서 XIAP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이 종양진행이 환자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수술적 절제가 시행된 80예의 비소세포 폐암종의 조직에서 XIAP의 면역 조직학적 발현을 조사하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환자의 연령, TNM 병기, TNMpT, TNM-pN, VEGF, microvessel density(MVD), PCNA index, apoptotic index (AI)]과 생존율과의 연관을 분석하였다. 결 과 : 편평세포암종 46예 중 42예(91.3%)에서, 샘암종 34예 중 21예(61.8%)에서 양성을 보여 종양의 조직형별 비교시 편평세포암종은 샘암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XIAP의 발현을 보였다(p=0.001). 각 조직형내에서 비교시 샘암종의 경우 XIAP는 58세이상의 고 연령군 및 VEGF의 발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p=0.028, p=0.014, respectively) 편평세포암종의 경우 XIAP는 모든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UNEL 염색으로 결정된 AI는 XIAP 양성군이 $2.5{\pm}4.9%$, XIAP 음성군이 $18.5{\pm}28.9%$로서 후자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01). AI는 XIAP를 제외한 다른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생존 여부의 확인이 가능했던 72예에서 XIAP 음성군의 중앙 생존기간은 29.89개월, XIAP 양성군의 중앙 생존기간은 42.5개월로서, 후자에서 술 후 생존 기간은 더 길었지만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종에서 XIAP는 종양의 조직형, 특히 편평세포암종에서 높은 발현과, 종양의 AI와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XIAP의 발현이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 및 생존율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은 것은 생체 조직에서 XIAP의 생물학적 역할은 매우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므로 향후 이의 생물학적 역할과 관련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 미세배열법을 이용한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발현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Tissue Using Tissue Microarray Method)

  • 한혜승;김민지;조재화;윤용한;곽승민;이홍렬;김광호;류정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54-58
    • /
    • 2005
  • 연구 배경 : 비소세포 폐암의 암화 과정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단백의 역할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아직 일치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이는 상용하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이 한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저자 들은 최근 새로 개발된 조직미세배열법을 이용하여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이들 호르몬 수용체 발현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70예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로 남성이 74%, 여성이 26%이었다. 이들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조직미세배열을 구축하였다. 가열을 통한 항체 재생 후에 폐암 조직에서 일차 단일클론 항체 (ER1D5와 PR1A6)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흡연력은 현재 흡연자가 49%이었고, 비흡연자와 금연자는 각각 27%와 24%이었다.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세포암이 34예이었고, 선암, 편평상피선암, 기타 세포형은 각각 24예, 9예와 3예이었다.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염색에서 양성 결과를 보이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미세조직배열법을 이용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수용체 연구는 모든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음성 결과를 보였다. 현재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사용되는 호르몬 수용체가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발현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소견으로 향후 적절한 항체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치료에 따른 유전자발현 조절양상 (Gene Expression Profiles in Cervical Cancer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nd Chemo-radiation Therapy)

  • 이규찬;김명곤;김주영;황유진;최명선;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54-65
    • /
    • 2003
  • 목적 : 동시에 대량으로 유전자발현 양상을 검사할 수 있는 cDNA microarray 기법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발현 양상을 알아보고,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시의 유전자발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으로 확진된 후 근치목적 방사선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한 8명과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한 8명에서 채취한 종양조직을 대상으로 하고, 정상 자궁경부 3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직 생검은 치료 전과 외부 방사선치료 16.2$\~$27 Gy에 두 번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경우, 5-FU 1,000 mg/m$^{2}$을 제 1일부터 5일까지 정주하고, clsplatin 60 mg/m$^{2}$을 제 1일에 정주하였다. cDNA microarray는 종양조직에서 추출한 total RNA를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방법을 이용하여 (P-33)을 표지한 cDNAS를 제작, nylon membrane에 hybridization하였다. 이후 membrane을 phosphor-imager screens에 옮겨 1$\~$5일 동안 노출시킨 후 이미지를 스캔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각 스팟(spot)들의 방사능 강도로 나타나는데, 각 스팟의 픽셀(pixel)을 Arrayguage를 사용하여 산출한 후 엑셀파일로 저장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정도 비교는 원 자료(original data)를 Z-변환을 통해 보정(normalized)한 후 Z-ratio값을 산출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해 자궁경부암에서 Z-ratio 2.0 이상으로 유의한 발현증가를 보인 유전자들은 integrin-linked kinase, CDC28 protein kinase 2, Spry 2, ERK 3 등 15개로 주로 세포성장과 증식, 세포주기, 신호전달 등에 관련된 유전자들이었으며, Z-ratio -2.0 이하의 유의한 발현감소는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6외 6개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한 후 Z-ratio 2.0 이상 발현이 증가한 것은 cyclic nucleotlde gated channel외 3개의 Expressed sequence tags (EST)들이었고, Z-ratio -2.0 이하의 발현감소를 보인 것들에는 치료전 종양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었던 세포성장과 증식, 세포주기, 신호전달 등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포함되었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했을 때는 방사선 단독치료에 비하여 세포성장과 증식 및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되었으며, 이외에도 혈관형성(angiopoietin-2), 면역반응(formyl peptide receptor-like 1), DNA 손상회복에 관련된 유전자(CAMP phosphodiesterase)의 발현은 증가되고 세포고사(death associated protein kinase)에 관련된 유전자는 발현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자궁경부암에서분열과 증식 및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여러 종류의 유전자들 발현이 동시다발적으로 증가되어 있다는 것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이들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여 종양세포의 분열과 증식이 저해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를 비교하면 그 유전자 발현양상이 다르므로 향후 이번연구에서 나타난 유전자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개별화된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궁 경부암의 근치적 방사선 치료 효과 -49예의 분석 - (The Results of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49 Patients of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s)

  • 유미령;김연실;최변옥;윤세철;신경섭;남궁 성은;김승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219-225
    • /
    • 1992
  • 1983년 9월 부터 1986년 10월 까지 37개월 동안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가 완치목적으로 골반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 빛 자궁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외부방사선치료는 4500 cGy/5주에서 5940 cGy/6.5주를 골반부위에 먼저 시행하였고 강내방사선치료를 이어서 시행하였으며, A점에 도달한 총 치료 선량은 6500 cGy에서 l1344 cGy로 평균 6764 cGy였다. 50명의 환자중 1명이 추적조사에서 제외되었으며, 나머지 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에서 93개월 까지 추적조사하였는데, 중간 추적조사 기간은 32개월 이었다. FIGO분류에 따라 병기별로 보면, 1기가 6명($12.2\%$), 2a기가 6명 ($12.2\%$), 2b기가 25명 ($51\%$), 3기가 7명 ($14\%$), 그리고 4기가 5 ($10.2\%$)명 이었다. 환자의 나이는 33세에서 76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중앙 연령, 60세), 병리조직학적 분류로는 편평상피암이 46명 ($94\%$), 선암이 2명 ($4\%$), 그리고 편평상피선암이 1명 ($2\%$)이었다. 전반적인 반응율은 $84\%$였고, 5년 생존율은 $49\%$였다. (병기별 5년생존율은 1b 기가 $75\%$, 2a기가 $83\%$, 2b 기가 $42.5\%$, 3기가 $25\%$, 4기가 $40\%$였다.) 합병증은 11명($22.4\%$)에서 발생하였고, 직장내 합병증이 가장 흔한 합병증이었으며, 나머지는 사소한 일과성의 자연치유되는 질환들이었다. 생존율과 여러 인자들(나이, 방사선 치료선량, 헤모글로빈치, 골반임파절 전이상태, 전신상태, 그리고 국소 재발유무)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한 바, 나이와 국소재발유무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왔으며, 50세 미만의 생존율이 50세이상의 생존율보다 더 나빴고(P<0.05), 국소재발 존재시 생존율이 더 나빴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