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yield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콩 종실의 미생물 제어방법과 수주온도에 따른 콩나물의 초기 생육 및 수율 (Effect of Microbe Control and Water Temperature on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 배경근;남승우;김경남;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3-458
    • /
    • 2002
  • 원료 콩에서의 초기미생물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와 살수온도조건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및 수율향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재배시 초기 미생물 제어방안으로 실시된 열탕살균, 염소, 이온수, 오존수 등의 방법중 열수를 이용한 열탕살균법(1차 예열 $40^{\circ}C$, 2차 열탕 $70^{\circ}C$, 3차 냉각 $20^{\circ}C$ 각 30초)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열탕살균법은 초기 발아율 향상과 생육기간중 미생물 억제효과가 양호하여 재배완료 후 부패감소(미생물 $10^2$ 감소) 및 수율향상, 선도유지가 관행의 방법에 비해 2일정도 향상되었다. 2. 콩나물 재배수온에는 재배완료까지 동일수온(18.5 $\pm$ $0.5^{\circ}C$)을 적용하는 방법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3-stage방법 등이 있다. 3-stage방법의 특징은 초기발아시간 단축(약 4시간정도)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즉, 2-3일차(침지시간 제외)에는 21$\pm$1$^{\circ}C$, 4-5일차에는 18.5$\pm$ $0.5^{\circ}C$, 6-7일차에는 17.0$\pm$ $0.5^{\circ}C$로. 재배수온을 달리하는 방법이며, 3-stage 방법을 적용하면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게 되고, 재배 중, 후기에는 생육을 제어하게 되어 규격품의 콩나물(길이 8-9cm, 두께 2.15-2.30mm)과 좋은 색택의 콩나물 생산이 가능하며 수율도 약 6%향상되었다.

내병.내도복 다수성 나물콩 신품종 "원광" (A New Soybean Cultivar, "Wonkwang" with Sprout, High Yielding, Disease and Lodging Resistance)

  • 오영진;조상균;김경호;김영진;김태수;김정곤;윤홍태;문중경;백인열;한원영;김현태;고종민;김용덕;김동관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8-162
    • /
    • 2009
  • "원광"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양질 다수성을 목표로 2007년에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광"의 신육형은 유한형으로 꽂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피색은 황색이며, 성숙기 꼬투리색 및 배꼽색은 담갈색으로 입형은 구형이다. 2. 성숙기는 10월 12일로 표준품종인 풍산나물콩에 비해 3일 늦은 중만생종이며, 100립중은 10.9 g으로 소립으로 도복에 강하고, 괴저바이러스병, 세균성불마름병, 검은뿌리썩음병에 강한 나물콩 품종이다. 3. "원광"은 풍산나물콩에 비해 종실 조단백질 함량은 비슷하나 콩나물 기능성분인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품종이다. 4. "원광"은 콩나물 재배시 경실종자가 없고, 배축신장성이 우수하여 콩나물 수율이 655%로 풍산나물콩에 비해 다소 높은 고수율 나물콩 품종이다. 5. "원광"의 ha당 수량성은 3.05톤으로 표준품종인 풍산나물콩 대비 8% 높은 다수성 나물콩 품종이다

한국 재래 나물콩 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특성 (Sprout Characteristics of Improved and Indigenous Soybeans in Korea)

  • 황영현;이정동;조호영;권택화;정연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99-105
    • /
    • 2002
  •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하여 국내 재래 나물콩 계통의 콩나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전체 길이의 범위는 9.5~23.0cm, 하배축길이는 5.9~15.1cm, 뿌리길이는 3.2~9.2cm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고, 수율에서도 121~695%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2.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종피색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혼색종피종에서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백립중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잔뿌리수는 흑색종피종과 갈색 종피종에서 현저히 적었다. 3. 콩나물 길이와 전체길이에 대한 뿌리길이의 비율, 수율을 기준으로 한 공시품종 및 계통들의 분포에서 장려품종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재래계통이 분포하고 있었다. 4. 콩나물 하배축의 색도는 백색도(L값)에서 장려품종이 재래계통에 비해 백색에 더 가까웠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c값)는 장려품종보다 재래계통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밀싹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성분의 초음파 추출 :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Total Flavonoids from Wheat Sprout: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ethod)

  • 이승범;왕효정;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63-669
    • /
    • 2018
  •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밀싹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을 설정하고, 독립변수인 추출시간, 주정/초순수 부피비, 초음파 조사세기에 따른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해석하였다. 추출수율의 경우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초음파 조사세기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의 경우에는 추출시간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추출수율과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을 모두 고려한 결과 최적조건은 추출시간(17.00 min), 주정/초순수의 부피비(50.25 vol%), 초음파 조사세기(551.70 W)이며, 이때 예측 추출수율은 28.43 wt%, 예측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은 $29.99{\mu}g\;QE/mL\;dw$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해 유효성분 추출수율(28.73 wt%),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 ($29.65{\mu}g\;QE/mL\;dw$)의 실험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예측값과 비교했을 때 오차율은 각각 1.05, 1.13%이다.

남부지역 친환경 논 재배를 위한 나물콩 품종 선발 및 품질 평가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Sprout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Variety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Southern Paddy Field)

  • 김영진;이광원;조상균;오영진;신상욱;백채훈;김경호;김태수;김기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7-372
    • /
    • 2011
  • 남부지역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나물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풍산나물콩 등 29 품종을 공시하여 밭 재배와 비교하여 생육특성, 습해정도 및 수량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1. 논 재배시 개체당 협수 및 개체당 립수는 밭 재배에 비해 큰 차이로 적었으며, 경태는 대체로 얇았고 성숙기는 공시 품종 대부분에서 밭 재배에 비해 5~14일 정도 지연 되었다. 2. 무 농약(살충제) 재배시 영양생장기에는 땅거미 등의 천적으로 인하여 콩의 생장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노린재류의 피해는 입비대기에 심했는데, 품종 간 피해 정도가 달라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내충성 나물콩 품종 선발이 가능하였다. 노린재 저항성을 보인 품종으로는 소원콩, 풍원콩, 소록콩, 풍산나물콩, 소백나물콩, 광안콩, 푸른콩, 부광콩, 팔도콩 및 녹채콩이었다. 3. 개화기 이후 한 달 이상 지속된 강우와 무 농약(살균제) 재배로 인하여 협의 탄저병 및 종실의 자반병, 미이라병의 감염정도가 품종간 크게 나타나,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내병성 나물콩 품종 선발이 가능하였다. 포장에서 병 발생이 적은 품종으로는 팔도콩, 광안콩, 도레미콩, 소명콩, 풍산나물콩, 익산나물콩, 서남콩, 소진콩, 푸른콩, 보석콩, 남해콩 및 소록콩이었다. 4. 공시품종들의 백립중은 9.8~17.2g 범위에 속하였으며 대부분의 품종에서 밭 재배 대비 0.1~3.7g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일부 품종에서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였다. 정부수매 규격상 소립나물콩(선별체 직경 4.0~5.6mm)에 해당되는 품종은 다원콩(9.8g), 다채콩(9.9g), 보석콩(10.3), 서남콩(10.4g), 소강콩(10.7g), 한남콩(11.0g), 소명콩(11.1g) 및 원황콩(11.3g)이었다. 5. 풍산나물콩(266kg/10a)에 비해 수량이 높았던 품종은 소록콩(308kg), 한남콩(288kg), 보석콩(281g), 소원콩(271g)이었으며, 흑색 종피를 가진 다원콩은 146kg에 불과한 낮은 수량성을 나타냈다. 6. 수확된 종자의 발아특성을 살펴보면 평균발아기간은 2일 이내였으며, 대부분의 품종에서 발아세는 77~99%, 최종 발아율은 89~100%로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다원콩 및 장기콩에서는 경실종자 및 부패립으로 인하여 발아세 및 발아율이 70% 이하로 매우 낮았다. 7. 공시된 나물콩 품종들의 내병성, 내충성, 내도복, 립중, 수량성, 내습성 정도 및 콩나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 보면 서남콩, 한남콩, 도레미콩, 보석콩, 풍원콩, 광안콩, 소원콩, 다기콩, 팔도콩, 은하콩, 및 풍산나물콩이 높은 수량과 립 크기의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어 친환경 논 재배에 유망시 되었다.

Occurrence of severe soybean-sprout rot caused by Pythium deliense in the recirculated production system

  • Yun, Sung-Ch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2.2-93
    • /
    • 2003
  • Severe soybean-sprout rot was found at the mass productive factory in 2000 and 2001 and it caused 10-20% loss of the production. Pythium sp. was isolated almost 90% by potato dextrose agar from rotted root and hypocotylsof the sprouts. And the pathogencity tests using test tubes with 2% water agar and small containers (30 ${\times}$ 30 ${\times}$ 50 cm, WxLxH) cultivation were shown a similar rot on roots and hypocotyls. The fungal mycelium grew rapidly on the water agar and it prevented the seed germination. Density of the Pythium sp. in the recycled water system at the factory was periodically measured using a selective medium, corn meal agar with Pimaricin 10 mg, Rifampicin 10 mg, Ampicillin 100 mg per 1 liter in order to check the contamination of recycled water. After fitering step using 5 and 1 ml in the recycled system was applied and it was effectively controlled Pythium rot. The daily yield of sprout was stable and the occurrenceof Pythium in the recycled water was much less after filtering.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ythium deliense Meurs based on variou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n corn meal agar and sucrose-asparagine bentgrass leaf culture medium. P. deliens oogonia were spherical, smooth, 19-23 urn in diameter, and their stalk bending toward antheridia. Antheridia were straw hat-shaped, curred club-shaped, therminal or intercalary, monoclinous, occasionally diclinous, 12∼15 ${\times}$ 8∼11 um, 1(∼2) per oogonium.

  • PDF

Effect of Irradiation of Red Radish Seeds on the Seed Vi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prouts

  • Waje, Catherine K.;Park, Ju-Hwan;Kim, Gui-Ran;Kim, Yu-Ri;Han, Bum-Soo;Lee, Yeon-Kyung;Moon, Kwang-Deog;Kwon, Jo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90-395
    • /
    • 2009
  • Red radish seeds were irradiated at doses up to 8 kGy using electron beam (e-beam) and gamma ray ($\gamma$-ray). The seed vi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carotenoid, chlorophyl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 of sprouts grown from these irradiated seeds were evaluated. High germination percentage ($\geq$97%) was observed in seeds irradiated at $\leq$5 kGy, but the yield ratio and sprout length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irradiation dose. Irradiation at $\geq$6 kGy resulted in curling of the sprout roots. Sprouting enhanced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ed radish seeds as indicated by the increased carotenoid, chlorophyl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However, radiation treatment hampered the growth of seeds resulting in underdeveloped sprouts with decreased carotenoid, chlorophyl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 contents. In general, e-beam and $\gamma$-ray irradiation of red radish seeds showed similar effects on the seed vi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prouts. Postharvest storage reduced the functional quality of sprouts.

종자 크기가 다른 콩 종류의 콩나물 생장과 물성 (Growth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Sprouts of Soybean Groups with Different Seed Size)

  • 황승필;박의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1-317
    • /
    • 2011
  • 이 실험은 다양한 크기의 종자로부터 콩나물을 키우고 콩나물의 생장 및 물리적 특성으로 조사함으로써 나물콩 품종육성과 나물콩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대립 및 중소립 재배종 각각 3품종, 야생종과 재배종 교잡종 소립 3품종, 극소립 야생콩 3계통을 공시하여 4일간 콩나물을 키운 뒤 생육특성과 콩나물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콩나물 재배 96시간 후 배축 길이는 품종간 차이가 컸는데 황금콩, 풍산나물콩 및 소영이 가장 길었으며 극소립인 야생콩 계통들이 짧았다. 특히 대립종인 황금콩은 72시간까지 소립 나물콩 품종들과 비슷하게 생장하였으며 96시간 후에는 15.9 cm로 가장 길었다. 극소립 야생종계통은 재배 48시간 후부터 72시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원료콩 1 g당 생장량도 월등히 많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비슷한 증가양상을 보였다. 재배 96시간 후 단위 종자당 콩나물 생체중 증가비율은 소립일수록 컸으며 콩나물 수율도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생체 배축의 hardness는 장엽콩이 3,505 g으로 가장 컸고 야생종 YWS516이 1,750 g으로 가장 낮았다. Mastication는 태광콩이 1,65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YWS516이 1,079g으로 가장 낮았으며 배축의 cutting force는 은하콩이 133 g으로 가장 크고 YWS516이 51 g으로 가장 낮았다. 익힌 후의 cutting force는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는데 전체적으로 종자크기가 클수록 물성특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축의 breaking force는 장엽콩이 83.5 g로 가장 컸고 야생콩이 가장 낮아 종자크기가 클 수록 증가하였다.

콩나물 재배시 asparagine의 변화 (Change of asparagine content during soy-sprout growing)

  • 정연신;;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43-52
    • /
    • 2009
  • Most soybean sprouts grown in factories are sold on the market. When the soybean sprouts grow up to lateral root initiation, the rate and absolute amount of asparagine in the roots of all sprouts are comparatively low. To extract the greatest amount of asparagine from soy-sprouts, it is advantageous to grow sprouts more than 16 days. When sprouts were grown with ozonic water, it was possible to grow sprouts more than 16 days without any rotting problems. The content of asparagine in the sprouts were proportionally increased up to 16 days. When sprouts were grown in 0.2% of urea, the content of asparagine i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oybean sprouts grown at $20^{\circ}C$ room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yield rate and asparagine content, at the same time.

  • PDF

클로렐라 처리에 의한 유기농 콩나물 생육촉진 및 항산화 능력 증진효과 (Effect of Chlorella sp. on Improvi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Growth Promotion in Organic Soybean Sprout Cultivation)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지형진;이승복;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39-9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