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ing Rate

검색결과 989건 처리시간 0.027초

Initial Risk Assessment of Acetanilide in OECD High Production Volume Chemical Program

  • Park, Hye-Youn;Park, Yoonho;Sanghwan Song;Kwon, Min-Jeoung;Koo, Hyun-Ju;Jeon, Seong-Hwan;Na, Jin-Gyun;Park, Kwang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3-22
    • /
    • 2002
  • In Korea, 2,320 tonnes of acetanilide were mostly wed as intermediates for synthesis in phar-maceuticals or additives in synthesizing hydrogen peroxide, varnishes, polymers and rubber. Only small amount of 120 kg were wed as a stabilizer for hydrogen peroxide solution for hair colouring agents in 1998. Readily available environmental or human exposure data do not exist in Korea at the present time. However, potential human exposures from drinking water, food, ambient water and in work places are expected to be negligible because this chemical is produced in the closed system in only one company in Korea and the processing factory is equipped with local ventilation and air filtering system. Acetanilide could be distributed mainly to water based on EQC model. This substance is readily biodegradable and its bioaccumulation is low. Acute toxicity of acetanilide is low since the L $D_{50}$ of oral exposure in rats is 1,959 mg/kg bw. The chemical is not irritating to skin, but slightly irritating to the eyes of rabbits. horn repeated dose toxicity, the adverse effects in rats were red pulp hyperplasia of spleen, bone marrow hyperplasia of femur and decreased hemoglobin, hematocrit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The LOAEL for repeated dose toxicity in rats was 22 mg/kg/day for both sexes. Acetanilide is not considered to be genotoxic. In a reproductive/developmental toxicity study, no treatment-related changes in precoital time and rate of copulation, impregnation, pregnancy were shown in all treated groups. The NOAELs for reproduction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f-spring toxicity) are considered to be 200 mg/kg bw/day and 67 mg/kg bw/day, respectively. Ecotoxicity data has been generated in a limited number of aquatic species of algae (72 hr- $E_{b}$ $C_{50}$; 13.5 mg/l), daphnid (48hr-E $C_{50}$ > 100 mg/l) and fish (Oryzias latipes, 96hr-L $C_{50}$; 100 mg/l). Form the acute toxicity values, the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 of 0.135 mg/1 was derived win an assessment factor of 100. On the basis of these data, acetanilide was suggested as currently of low priority for further post-SIDS work in OECD.in OECD.D.

생식용 체리 비가림 재배시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L.)의 화분매개 곤충 활용 (Utilization of Bombus terrestris as a Sweet Cherry Pollinator in Rain-sheltered Growing)

  • 곽용범;김홍림;최영하;이재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298
    • /
    • 2012
  • 체리의 경우 유과기나 과실수확기에 비가 잦을 경우 각종 곰팡이에 의한 과실썩음병과 열과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장마기가 있는 기후조건에서는 농약살포 횟수를 줄이고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가림 시설재배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체리의 개화시기는 4월 상 중순으로 개화기 저온에 의해 자연상태의 꿀벌을 통한 화분매개는 결실율이 불안정하며, 봄철에는 화분매개용 꿀벌 봉군을 구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설재배 방울토마토, 애호박 등에서 화분매개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서양뒤영벌을 비가림 재배 조건에서 꿀벌을 대신하여 체리에 대한 화분매개 곤충으로 이용코자 하였다. 방화활동력은 서양뒤영벌의 경우 한 꽃에 약 6초 정도 머물러 분당 11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고, 꿀벌의 경우 한 꽃에 약 15초씩 머물러 분당 4~5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다. 또한 결실율과 과실특성에 있어 두 벌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비가림 체리 재배에서 개화기에 화분매개용으로 꿀벌을 대신하여 서양뒤영벌을 이용하더라도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다.

제주도와 마라도내 지빠귀과 조류에서 Anaplasma spp. 감염 조사 (Prevalence of Anaplasma sp. in Thrushes (Family Turdidae)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 오미래;문경하;김소연;김윤기;최창용;강창완;김화정;이경갑;윤영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6-211
    • /
    • 2014
  • Anaplasmosis 은 흡혈성 절지동물인 진드기, 이파리, 모기 등에 의해 매개되는 리케차성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철새는 anaplasmosis의 매개체인 진드기의 숙주이다. 제주도의 다양한 철새 분류군 중에서 지빠귀과 조류의 진드기 감염률이 높다. 특히 마라도는 봄철 남방구에서 북방구로 이동하는 철새의 중간기착점으로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 이동철새인 지빠귀과 새들의 Anaplasma spp.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우리는 마라도에서 34마리의 혈액과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 채취된 6개의 혈액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40개체의 지빠귀 중 7개체가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감염률은 17.5%로 나타났다. 7개체 모두 Anaplasma phagocytophilum으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도를 통과하는 대표적인 철새인 지빠귀과 새들이 A. phagocytophilum을 육지로 전파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다른 이동성 철새들간의 질병전파의 보균자로 작용할 수 있기에 철새, 텃새 및 가축으로의 전파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Homoptera))

  • 심재영;박중수;백운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88
    • /
    • 1979
  • 목화진딧물을 무궁화와 오이의 잎에서 개체사육하면서 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란은 4월중순$\~$하순에 부화하며, 부화율은 $79\%$였다. 2. 5월하순$\~$6월상순에 유시충이 여름숙주로 이주하고 10월상순$\~$중순에 다시 겨울숙주로 이주하여 10월중순$\~$하순에 월동란을 낳았다. 3. 1년간 빠른 개체군은 22세대, 늦은 개체군은 6세대를 영위하였다. 4. 한세대의 성숙기간은 약 8일, 생식기간은 약 19일, 수명은 약 29일이었다. 5. 암컷한마리당 총산자수는 약 70마리, 최다산자수는 117마리 이었으며, 1일평균산자수는 3.7마리이고, 1일최다산자수는 17마리 이었다.

  • PDF

배추의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at Chinese Cabbage)

  • 전흥용;강택준;김형환;양창열;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7-411
    • /
    • 2008
  •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접종밀도에 따른 진딧물의 밀도 증가가 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을 배추정식 후 10일에 포기당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한 경우 접종 후 18일의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는 각각 92.3, 177.4, 406.9, 440.4, 471.3마리로 증가하였으며, 배추의 생체중은 복숭아혹진딧물의 무처리,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구에서 각각 602.0, 264.2, 262.0, 109.3, 151.0, 67.3 g으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의 생체중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생밀도와 배추의 생체중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진딧물의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aphid days)와 배추 생체중과의 관계식을 구한 결과 비선형의 대수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관계식에서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와 봄 배추 상품율(92%)을 감안하여 복숭아혹진딧물 5마리가 5일 동안 흡즙하여 13%의 수량감소를 유발시킨 경제적 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CAD 값이 25가 되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CAD 값이 20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요방제 밀도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목시조사(Sighting survey)에 의한 동해 봄철 해양성 조류의 분포 양상 (Seabird Distribution Patterns by Sighting Survey in the East Sea in Spring)

  • 김현우;김장근;최석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3-131
    • /
    • 2011
  •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시험조사선을 이용하여 동해의 해양성 조류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동해 연안에서 총 10과 23종 1,379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이 중 6과 14종 1,324개체는 해양성 조류였다. 해양성 조류의 발견율은 2.5 birds $km^{-2}$였다. 가장 높은 발견율을 보인 종은 슴새(Calonectris leucomelas)로 전체 관찰개체수의 74.5%를 차지하였다. 이밖에 발견된 조류 중 1% 이상을 차지한 주요종은 바다쇠오리(Synthliboramphus antiquus)(8.3%), 아비(Gavia stellata)(5.0%), 제비갈매기(Sterna hirundo)(2.1%), 회색머리아비(Gavia pacifica) (2.0%),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1.1%) 순으로 나타났다. 해양성 조류의 개체수는 동해 중남부 해역인 $36^{\circ}N{\sim}37^{\circ}N$ 사이에서 가장 많았으나 종다양도 지수(H')는 동해 남부 해역인 $35^{\circ}N{\sim}36^{\circ}N$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견된 대부분의 종은 해안선에서부터 멀어질수록 발견율이 줄어들었다. 발견된 주요종 이외에도 뿔쇠오리(Synthliboramphus wumizusume), 흰부리아비(Gavia adamsii), 쇠부리슴새(Puffinus tenuirostris), 붉은발슴새(Puffinus carneipes)와 같은 희귀종을 관찰하였다. 본 조사와 동시에 행해진 밍크고래(Balaenoptera acutorostrata) 목시조사의 자료를 통해 볼 때 슴새의 분포 패턴과 밍크고래의 분포 패턴 사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아비류(Gavia spp.)의 분포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후학적 평년 표준편차 분포도의 상세화 (Estimation of Climatological Standard Deviation Distribution)

  • 김진희;김수옥;김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3-101
    • /
    • 2017
  • 2011-2015년까지 경남 하동군 악양 집수역의 해발고도 8~1,073m 범위에 설치된 10개 무인기상관측기에서 0600, 1500 기온 관측값을 수집하여 월별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소기후모형으로부터 예측된 기온의 표준편차 결과를 함께 비교하여 미관측 지점의 추정기술에 실효성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소기후모형에 따른 예측값은 월별 0600, 1500 기온의 표준편차를 각각 88%, 86% 정도 설명할 수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과소추정하는 경향이었다. 겨울철과 여름철에 나타나는 낮은 고도 대비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변이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방향성에 있어서 관측값과는 반대양상으로 나타나 당초 기대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또 다른방법으로 월별 기온 표준편차와 지형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여 임의지역의 지형특성과 종관규모 수준의 기온자료 만으로 표준편차 분포를 예측할 수 있을지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모형은 해발고도편차에 따라 보정된 월별 기온 외에, 경사도와 경사향 등 기본적인 지형인자와 온난대효과와 냉기집적효과, 개방도 등의 기온과 관련된 변수들을 고려하여 월별로 표준편차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를 1~3개까지 선발하여 만들어졌으며, 월별 결정계수는 0.46부터 0.98 범위로 나타났다. 회귀모델을 이용해 기온이 관측되지 않는 임의지역의 표준편차를 지형변수의 최소-최대값 유효범위 내에서 월별로 예측한다면 70% 수준의 추정능력으로 공간변이 분포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정수장 정밀여과막 실증플랜트의 최적 운전조건 연구 (A Study on Operating Condition of Test-Bed Plant using Membrane filtration of D Water Treatment Plant in Gwang-Ju)

  • 양형재;이승훈;문경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5-163
    • /
    • 2017
  • 최근 막여과 공정은 입자상 물질뿐만 아니라 Giardia, cryptosporidium과 같은 병원성미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국내외 적용성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D정수장의 원수 침전상등수의 처리를 위해 $120m^3/d$ 처리규모의 Pilot Plant (2014. 1월부터 운영)와 $2,500m^3/d$ 처리규모의 실증실험시설(2015. 1월부터 운영)의 막여과 공정을 운영하면서 최적 운전조건과 한계여과속도를 찾고자 하였다. 정밀여과막의 Pilot-test에서 얻어진 운전모드는 유입 1.0분, 여과 36.5분, 공기역세 0.9분, 역세 1.0분, 배출 1.0분이었으며, 이를 적용하여 실증실험을 하였다. 한계여과속도(critical flux)는 Pilot 운전에서 Flux 20, 40, 56 및 62 LMH일 때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막간차압의 증가식을 기반으로 $50L/m^2-h$로 산정(TMP 0.5bar 이내)되었다. 화학세정은 1차로 산세정 2회, 2차로 알칼리 세정을 하여 95%의 회복율을 얻었다. 이러한 적정 조건으로 운전한 결과 처리수의 탁도는 봄 여름 가을 겨울 평균 각각 0.028, 0.024, 0.026 및 0.028 NTU, 연평균 탁도는 0.026 NTU로, 탁도 제거율은 98.4%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 D정수장의 원수 침전상등수를 1일 $2,500m^3$ 처리하는 실증실험시설 운영을 통해 부유고형물 및 콜로이드성 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처리성능을 확인하였고, 일반적인 모래여과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적정운영기술이 확보되었다.

수도권지역에서 오염원별 대기오염농도 기여도 평가 (Estimation of Source Contribution by Air Pollutant Type (Point, Area, Line)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일수;이석조;김종춘;김상균;이동원;유철;이재범;송형도;이정영;김지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5-505
    • /
    • 2005
  • This study is to estimate source contribution by air pollutantion types (point, area, line)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ir Pollution Model (TAPM) and the highly resolved anthropogenic and biogenic gridded emissions ($1km{\times}1km$) were applied to simulate $SO_2,\;NO_2,\;O_3\;and\;PM_{10}$ concentrations by seasons and contribution was estimated by their source types (point, area, l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concentrations of secondary pollutant agreed well with observed values with an index of agreement (IOA) over 0.4, whereas IOAs over 0.3 were observed for most primary pollutants. The contributions of each source types by seasons were similar. The point source contribution was the highest for $SO_2$ at medium level ranged from $55.1\%\;to\;61.5\%$. But the contribution from area source during for the spring and summer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level increased. The line source contribution was the highest for $NO_2$ at all levels ranged from $68.3\%\;to\;93.1\%$. The results indicate that $SO_2$ emissions should be mainly controlled from point source, as well as area source at higher level concentration. Also, $NO_2\;and\;PM_{10}$ to from line source should be controlled.

소아 무균성 뇌막염의 역학적 연구를 위한 건강보험자료원의 유용성 평가 (Assessment of the Availability of Health Insurance Data for Epidemiologic Study of Childhood Aseptic Meningitis)

  • 박수경;기모란;손영모;김호;정해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49-358
    • /
    • 2003
  • Objectives : Aseptic meningitis is a major cause of Korean childhood morbidity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However, the nationwide incidences of the disease have not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NHID) for the study of an epidemiological trend in the surveillance of aseptic meningitis in children. Methods : All the claims, under A87, A87.8, and A87.9 by ICD-10, among children below 15 years of age,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1998, were extracted. A survey of the medical record of 3,874 cases from 136 general hospitals was peformed. The availability of the NHID was evaluated by the three following methods: 1) The diagnostic accurac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 proportion of the confirmed aseptic meningitis among the subjects registered as above disease-codes in NHID) was evaluated through a chart review, and according to age, gender, month and region of disease-occurrence. 2) The distribution of confirmed cases wa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total subjects from the NHID, for subjects in General hospitals, or the subjects surveyed. 3) The proportion of confirmed CSF test was confirmed, and the relating factor, which was the difference in CSF-test rate, analyzed. Results : Among 3,874 cases, CSF examinations were peformed on 1,845 (47.6%), and the CSF-test rat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dical utility (admission vs. OPD visit) and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signs. The diagnostic accuracy for aseptic meningitis, and during the epidemic (May-Aug) and sporadic (Sept-Apr) periods, were 85.0 (1,568/1,845), 86.0 (1,239/l,440) and 81.2% (329/405),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by age, sex, month or period (epidemic/sporadic) and region, in the confirmed case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NHID, in both the subjects at General hospitals and in those surveyed, to within ${\pm}7%$. Conclusions : In this paper, the NHID for the subjects registered with an aseptic meningitis disease-code might be available for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incidence-estimation of childhood aseptic meningitis, as the NHID could include both the probable and definite case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further studies of time-series and secular trend analyses, using the NHID, will be pe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