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ilag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7초

적색육어류통조림의 Histamine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stamine Contents in the Canned Dark-fleshed Fishes)

  • 고광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1-198
    • /
    • 1982
  • 적색육어류인 고등어 및 정어리를 원료로 하여 원료의 선양별로 보일드통조림을 제조하였을 때 그 제조과정 및 제품의 저장기간과 저장온도별에 따른 histamine함량의 소장에 대하여 실험$\cdot$검토하였으며, 아울러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고등어, 정어리 및 꽁치보일드통조림의 histamine사기에 대하여도 조사하여 비교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료육을 통조림으로 제조하였을 때 histamine의 함량은 제조기간중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다. 2. 통조림제품의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별에 따른histamine의 함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3. 시판적색육어류 보일드통조림의 histamine함량은 정어리통조림이 $7.24\sim14mg/100g$, 고등어통조림이$11.38\sim28.8mg/100g$ 꽁치통조림이 $13.83\sim21mg/100g$으로 각각 중독한계농도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여러 가지 첨가제가 맥주박과 베지밀박의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for Spoilage Prevention on Brewers grain and Soymilk by-product)

  • 이현준;김현섭;전병순;김상우;기광석;조광근;조재순;이홍구;최윤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74-84
    • /
    • 2002
  • 고수분 유기성 물질인 맥주박, 베지밀박 등의 농산가공부산물들은 상온에서 변패성이 강하여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위해서는 보관성증진을 위한 첨가제의 처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박과 베지밀박을 소금, 유기산, 발효미생물 및 메치오닌수산화물(MHA)을 처리하여 고온다습한 7월중순경에 상온에서 20일간 방치한 후 보관일수에 따른 시료의 표면연화현상과 곰팡이 발생양상, 시료내부 pH, 암모니아태질소 함량변화를 조사하여 각 첨가제의 시료에 대한 변패방지효과를 비교한 결과, MHA 5%이상 처리구에서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Bacterial Inoculants and a Chemical Preservative on the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Cereal Silages

  • Filya, Ismail;Sucu, Ek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78-384
    • /
    • 2007
  • Three microorganisms and one chemical preservative were tested for their effects on the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Wheat at the early dough stage, sorghum at the late milk stage and maize at the one-third milk line stage were harvested and ensiled in 1.5-l anaerobic jars untreated or after the following treatments: control (no additives); Lactobacillus plantarum (LP) at $1.0{\times}10^6$ colony-forming units (CFU)/g of fresh forage; L. buchneri (LB) at $1.0{\times}10^6$ CFU/g;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PA) at $1.0{\times}10^6$ CFU/g; and a formic acid-based preservative (FAP) at 3 ml/kg of fresh forage weight. Three jars per treatment were sampled on d 90 after ensiling, for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At the end of the ensiling period, 90 d, the silages were subjected to an aerobic stability test lasting 5 d. In this test, $CO_2$ produced during aerobic exposure was measured along with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arameters which serve as spoilage indicators. The silages inoculated with LP had higher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compared with the controls and the other treated silages (p<0.05). The controls and LP-inoculated silages spoiled upon aerobic exposure faster than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The controls and LP-inoculated silages spoiled upon aerobic exposure faster than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due to more $CO_2$ production (p<0.05) in these two groups and development of yeasts unlike the other groups. In the experiment, the silages treated with LB, PA and FAP were stable under aerobic conditions. However, the numbers of yeasts was higher in the LP-inoculated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compared with the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The LB, PA and FAP improved the aerobic stability of the silages by causing more extensive heterolactic fermentation that resulted in the silages with high levels of acetic and propionic acid. The use of LB, PA and FAP as silage additives can improve the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by inhibition of yeast activit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raw milk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 Kim, In Seon;Hur, Yoo Kyung;Kim, Eun Ji;Ahn, Young-Tae;Kim, Jong Geun;Choi, Yun-Jaie;Huh, Chul S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643-1650
    • /
    • 2017
  • Objective: The control of psychrotrophic bacteria causing milk spoilage and illness due to toxic compound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dairy industry. In South Korea, Gangwon-do province is one of the coldest terrains in which eighty percent of the area is mountainous regions, and mai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griculture and dairy industr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ndigenous microbiota of raw milk in Gangwon-do and accurately investigate a putative microbial group causing deterioration in milk quality. Methods: We collected raw milk from the bulk tank of 18 dairy farms in the Hoengseong and Pyeongchang regions of Gangwon-do. Milk components were analyzed and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was confirmed. The V3 and V4 regions of 16S rRNA gene were amplified and sequenced on an Illumina Miseq platform. Sequences were then assigned to operational taxonomic units, followed by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sequences using the QIIME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milk samples from Pyeongchang were higher in fat, protein, lactose, total solid, and solid non-fat, and bacterial cell counts were observed only for the Hoengseong samples. The phylum Proteobacteria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in both the Hoengseong and Pyeongchang samples, followed by the phyla Firmicutes and Actinobacteria. Notably, Corynebacterium, Pediococcus, Macrococcus, and Acinetobac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wo regions. Conclusion: Although the predominant phylum in raw milk is same, the abundances of major genera in milk samples were different between Hoengseong and Pyeongchang. We assum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regional dissimilar farming environments such as soil, forage, and dairy farming equipment so that the quality of milk raw milk from Pyeongchang is higher than that of Hoengseong.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cruci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microbiota in raw milk of South Korea.

레토르트 파우치 미반(米飯)의 가열살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hermal Processing of Cooked Rice Packed in Retort Pouch)

  • 이신영;이상규;변유량;유주현;한병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59
    • /
    • 1981
  • Retort pouch 식품의 가열살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軍用(군용) 및 야외휴대용(野外携帶用)으로의 활용이 크게 기대되는 미반(米飯)에 대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품질의 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적정 가열살균조건을 수증기 공기 혼합계(系) 가견수냉식(加堅水冷式)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두께 $15{\sim}25mm$인 retort pouch 미반(米飯)에 대해 열처리온도 $110{\sim}120^{\circ}C$범위에서 열침투시험을 행한 결과 수증기비(比) 65%이상에서는 열전달속도는 수증기비(比)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j_h$값은 $1.11{\sim}1.17$로 두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고 $f_t$값은 두께에 따라 증가하여 $12.0{\sim}16.5$분이었다.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retort pouch 미반(米飯)의 살균조건은 장기 저장시험결과 $F_0$6.0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 공정의 C값 및 살균한 미반(米飯)의 가열변색을 검토한 결과 최적 품질보유가 가능한 온도-시간조건은 시료두께 15mm의 경우 $120^{\circ}C$에서 승온 및 하강시간을 포함한 38분이였다.

  • PDF

마늘의 발아억제(發芽抑制) 및 성분변화(成分變化)에 미치는 ${\gamma}$선(線)의 영향(影響) (Effects of gamma-radiation on sprout-inhibition of garlic bulbs and the changes of their chemical contents)

  • 박노풍;최언호;김영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83-88
    • /
    • 1969
  • 바늘(Allium Sativum L.)의 저장중(貯藏中), 발아(發芽)로 인(因)한 손실(損失)을 억제(抑制)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을 연장(延長)할 목적(目的)으로 한국산(韓國産) 마늘에 $^{60}Co-{\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여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하고 발아억제(發芽抑制), 성분변화(成分變化) 및 부패균(腐敗菌)에 미치는 ${\gamma}$선(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무안산(茂安産) 마늘의 후면기간(休眠期間)은 당진산(唐津産)에 비(比)하여 짧고, 발아기(發芽期)가 발랐다. 2. 양품종간(兩品種間)의 ${\gamma}$선(線)에 대(對)한 저항성(低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있음을 인정(認定)하였다. 3. 10Kard에서 양품종(兩品種) 다같이 종전(宗全) 발아억제(發芽抑制)가 가능(可能)하여, 당진산(唐津産)은 5krad에서도 그 효과(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4. 조사구(照射區)에서 수분(水分) 및 중량(重量)의 감소율(減少率)이 낮았다. 5. 300Krad까지의 선량내(線量內)이서는 당함량(糖含量)의 증감(增感)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다. 6. Aspergillus niger와 Aspergillus aliaceus는 300Krad 조사(照射)에서 거의 발아(發芽)가 없었다.

  • PDF

감마선 조사가 한우육의 지방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Lipid Oxidation of Korean Beef)

  • 육홍선;이경행;이주운;강근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79-1183
    • /
    • 1998
  • 감마선 조사$(1{\sim}5\;kGy)$된 우육(사태부위; M.Semitendinosus)의 저장 안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온$(25^{\circ}C)$과 냉장$(4^{\circ}C)$온도에서 10일 동안 포장방법(함기, 진공)별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 TBA가, 휘발성 염기태 질소함량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총지방 함량은 $4.4{\sim}4.7%$로 감마선 조사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과산화물가와 TBA가는 모든 시험군에서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실온저장이 냉장보다 그리고 함기포장이 진공포장보다 높은 산패도를 보였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선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되었다.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은 감마선 조사직후에는 비조사군과 조사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공포장하여 $3{\sim}5\;kGy$ 조사후 냉장한 시험군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킨 어류의 해수저장 중 선도변화 (Effect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on the Quality Changes of Fish during Storage in Seawater)

  • 김지회;이희정;김태진;유현덕;김풍호;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3-200
    • /
    • 2002
  •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로 폐사한 어류를 식품원료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및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등 양식어류 3종을 이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켰다. 이 치사어류를 동 적조수에 저장하면서 저장시간에 따른 생균수, 휘발성염기질소 및 관능적 변화 등을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후 신선한 해수에 저장한 어류와 비교하였다. 시험어 근육중 생균수는 저장 6시간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휘발성염기질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치사 후 해수에 저장된 각 시험어 근육중 휘발성염기질소 및 생균수 함량의 변화는 적조해수에서 치사.저장한 시험구가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대조구보다 약간 빠른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시험구와 대조구간의 관능적 변화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적조로 폐사한 어류 3종을 해수에 저장하였을 때 12시간이 경과하여도 근육에서 초기 부패단계의 기준인 VBN 30 mg/100g 및 생균수 $10^{5}$ CFU/g을 초과하지는 않았으나 관능적 변화는 6시간 이후에는 변화가 나타나 적조 폐사어는 6시간 이내에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Carvacrol과 thymol을 병행처리한 키토산 코팅이 냉장저장 시 흰다리 새우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tosan Coating Combined with Carvacrol and Thymol on Microbi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topenaeus vannamei during Cold Storage)

  • 고봉수;박미정;곽승해;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3-370
    • /
    • 2017
  • 본 실험에서는 냉동 새우(Litopenaeus vannamei)를 $4^{\circ}C$에서 12일동안 저온 저장하며, 키토산 코팅과 천연보존제의 병행처리(0.05% carvacrol, 0.05% thymol)가 미생물(중온균, 저온균, Pseudomonas spp., $H_2S$ 생성균)의 성장과 새우의 이화학적 특징(총 휘발성 질소화합물, pH) 및 관능적 품질(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모든 대상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특히 중온균, 저온균, $H_2S$ 생성균의 경우 실험의 마지막 날인 12일째까지 유의적인 항균효과(p < 0.05)를 보였다. 이 처리구들은 총 휘발성 질소화합물과 관능적 특성(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서도 12일째까지 유의적인 차이(p < 0.05)를 보였으나 pH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새우의 주요 부패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냉장 새우의 유통기간 연장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패장과 연교 추출물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Patrinia scabiosaefolia and Forsythiae fructu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손국희;이은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0-1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패장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패장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 aureus, 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 flexneri,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 dysenteriae, P. aeruginosa, S.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패장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E. coli와 S. sonne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연교의 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약 $20\%$ 정도의 더 큰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epidermidis 및 S. sonnei의 배양액에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 epidermidis의 생육이 72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sonnei의 생육도 7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S. epidermidis와 S. sonne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