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rastrell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16S rDNA-DGGE를 이용한 2종의 제주도 해양 해면의 공생세균의 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Jeju Island Based on 16S rDNA-DGGE Profiles)

  • 박진숙;심정자;안광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0-176
    • /
    • 2009
  • 제주도에 서식하는 2종의 해양 해면, Dictyonella sp.와 Spirastrella abata의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16S rDNA-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해면으로부터 total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C clamp가 추가된 세균에 특이적인 341f primer와 518r primer를 이용하여 16S rRNA gene의 V3 부위를 증폭한 후 DGGE 전기 영동하고 재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ctyonella sp.에서 8개, Spirastrella abata에서 7개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통된 주요 band가 없는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DGGE band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3%~98%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Dictyonella sp.의 주요 해면 공생세균은 uncultured Gammaproteobacteria, Spirastrella abata의 경우 uncultured Alphaproteobacteria, Firmicutes에 각각 포함되어 해면 종에 따른 숙주 특이적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p.)

  • 조현희;심은정;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2
    • /
    • 2010
  • 2009년 4월 제주도의 운진항에서 채집한 해양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16SrDNA-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 abata와 Cinachyrella sp.는 각각 7개와 8개의 DGGE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을 적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2-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S. abata의 주요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였으며, Cinachyrella sp.의 경우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와 Actinobacteria에 속하는 세균으로 구성되었다. 두 종의 해면에서 공통되는 공생세균 그룹은 Alphaproteobacteria였으며 이 세균 그룹은 두 종의 해면 모두에서 우점하였다. Delt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Actin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는 Cinachyrella sp.에서만 관찰되었다. 동일지역에서 채집한 서로 다른 두 종의 해면은 각각 다른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내었다.

16S rDNA-RFLP에 의한 Spirastrella abata와 Spirastrella panis 해면에 서식하는 배양가능한 공생세균 군집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Cultur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by 16S rDNA-RFLP)

  • 조현희;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5-162
    • /
    • 2009
  • 계통적으로 근연하며 지리적 분포가 유사한 두 종의 Spirastrella 속의 해양 해면, S. panis와 S. abata의 배양 가능한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16S rDNA-RFLP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공생세균의 배양은 해면추출물 3%를 포함하는 MA 배지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16S rDNA의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위한 제한효소로 HaeIII와 MspI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24개의 RFLP type을 구별할 수 있었다. 각 패턴별로 1~5개의 분리균주를 선별하여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세균 종과 98.4%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2종의 Spirastrella 해면으로부터 분리된 세균들은 모두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4개의 강(class)에 포함되었다. Alph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39.3%, S. panis에서 47.6%가 관찰되어 두 해면에서 우점하는 세균 군집이었다. Gammaproteobacteria의 경우 S. abata에서 38.5%로 관찰된 반면 S. panis에서 1.6%의 아주 적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또한 Bacillus (phylum Firmicutes) 종은 S. abata에서 9.7%를 나타낸 반면, S. panis에서는 44.3%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Planococcus maritimus (8.1%, phylum Firmicutes)와 Psychrobacter nivimaris (28.9%, phylum Gamm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만 관찰되어 이들은 S. abata에 특이적인 세균 종임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장소에 서식하는 계통적으로 근연한 두 종의 해면에서 공생세균의 군집 구조는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해 해산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 3미기록종-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gh Sea of Korea-Three new record for Korea-)

  • 심정자;변효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11-116
    • /
    • 1991
  • 한국산 해산해면동물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해양연구소의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남해안일대에서 채집된 60표본을 동정한 결과 Spirastrella insignis과 Spirastrella abata 그리고 Carninus awashimensis 3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것들을 간단히 기재한다.

  • PDF

국내산 해면 Spirastrella abata로부터 Sterol Peroxide 유도체의 분리 (Sterol Peroxide Derivatives from the Marine Sponge Spirastrella abata)

  • 임광식;남경인;심정자;정지형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1-406
    • /
    • 2000
  • Marine sponges are known to be a source of diverse sterols. In our study on the cytotoxic components of the marine sponge Spirastrella abata, $5{\alpha},8{\alpha}-epidioxy\;{\Delta}^6$ sterols (1-5) and $5{\alpha},8{\alpha}-epidioxy\;{\Delta}^{6,9(11)}$ sterols (6-7) were isolated. The structur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es of $^1H-NMR,\;^{13)C-NMR$, and MS data. These compounds were assayed for cytotoxicity against 5 human solid tumor cell lines including A549, SK-OV- 3, SK-MEL-2, XF498, and HCT15.

  • PDF

RFLP와 DGGE에 따른 해면 Spirastrella abata 공생세균의 다양성 비교 (A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Sponge Spirastrella abata Depending on RFLP and DGGE)

  • 정은지;임춘수;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6-374
    • /
    • 2010
  • 비배양에 근거한 16S rDNA-DGGE fingerprinting 방법을 적용하여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Zobell 배지와 천일염 배지를 사용하여 총 164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로 부터 증폭한 16S rDNA를 제한효소 HaeIII와 MspI을 사용하여 절단한 후 각각의 다른 RFLP 패턴으로 구분하였다. RFLP패턴으로부터 유래한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염기서열들과 95%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Firmicutes, Bacteroidetes의 4개의 문이 나타났으며 우점 군집은 Alphaproteobacteria였다. 해면에서 분리한 total gDNA로 부터 증폭한 16S rDNA의 DGGE 분석 결과 5개의 DGGE band가 확인 되었고, 각각의 band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염기서열들과 96%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band로부터 밝혀진 모든 서열들은 배양되지 않은 세균 클론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DGGE에 의한 공생세균 군집은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Spirochetes, Chloroflexi로 4개의 문(phylum)으로 나타났다. Spirastrella abata의 공생세균 군집에 대한 RFLP와 DGGE 적용 결과,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의 공통 세균 그룹이 발견되었으나 전체적인 공생세균 군집구조는 분석 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Sponge-Specific Unknown Bacterial Groups Detected in Marine Sponges Collected from Korea Through Barcoded Pyrosequencing

  • Jeong, Jong-Bin;Kim, Kyoung-Ho;Park, Jin-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5
  • The bacterial diversity of 10 marine sponges belonging to the species Cliona celata, an unidentified Cliona species, Haliclona cinerea, Halichondria okadai, Hymeniacidon sinapium, Lissodendoryx isodictyalis, Penares incrustan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collected from Jeju Island and Chuja Island was investigated using amplicon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s. The microbial diversity of these sponges has as of yet rarely or never been investigated. All sponges, except Cliona celata, Lissodendoryx isodictyalis, and Penares incrustans, showed simple bacterial diversity, in which one or two bacterial OTUs occupied more than 50% of the pyrosequencing reads and their OTU rank abundance curves saturated quickly. Most of the predominant OTUs belonged to Alpha-, Beta-, or Gammaproteobacteria. Some of the OTUs from the sponges with low diversity were distantly (88%~89%) or moderately (93%~97%) related to known sequences in the GenBank nucleotide database.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many of the representative sequences of the OTUs were related to the sequences originating from sponges and corals, and formed sponge-specific or -related clades. The marine sponges investigated herein harbored unexplored bacterial diversity,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to understand the microbes present in spo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