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nt mushroom medium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느타리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풀버섯 배지개발 (Development of medium for Volvariella volvacea cultivation using spent oyster mushroom medium)

  • 이한범;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4-47
    • /
    • 2011
  • 느타리버섯 병 재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송톱밥, 비트펄프, 면실박(50:30:20) 혼합배지에 춘추느타리 2호를 재배한 배지를 풀버섯 재배 배지인 면실피펠릿, 밀기울, 탄산칼슘분말(90:9:1)배지에 혼합하여 상자재배시험을 통한 배양 및 생육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배지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총질소 함량이 높아 C/N율이 낮았다. 또한 미생물 밀도는 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 첨가량 50%일 때 가장 높았으며 오염은 첨가량 0, 25, 50%가 10~13%로 비교적 낮은 오염율을 보였다. 균사배양기간 7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11~14일, 수확기간은 3~5일로 처리 간의 차이가 적어 총 재배기간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량은 기본배지인 면실피 펠릿 발효 배지(대조구, 356g/상자)보다 수확 후 배지 첨가량 50%+기본배지(면실피 펠릿 발효 배지)처리구가 같은 수량을 나타냈으며, 또한 수확 개체수 및 개체중도 대조구와 동등하여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배지재료 절감효과가 인정되었다.

Yield, Nutrient Characteristics, Ruminal Solubility and Degradability of Spent Mushroom (Agaricus bisporus) Substrates for Ruminants

  • Kim, Y.I.;Cho, W.M.;Hong, S.K.;Oh, Y.K.;Kwak,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560-156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yield, nutrient characteristics, ruminal solubility, degradability and disappearance of spent mushroom (Agaricus bisporus) substrates for ruminants. The annual yield of spent Agaricus bisporus substrates was measured to be about 210,000 tons (M/T) in South Korea. The surface soil-removed spent substrates ha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 crude ash (375 g/kg) and Ca (32 g/kg), medium protein (134 g/kg CP), and high fiber (384 g/kg NDF on a DM basis). Compared with initial mushroom substrates, spent mushroom substrates had twice higher (p<0.0001) CP content and 22.0% lower (p<0.0001) NDF content on an organic matter basis. Compared with raw rice straw, spent rice straw had much higher (p<0.05) predicted ruminal degradabilities and disappearances of DM and CP and a little lower (p<0.05) predicted degradability and disappearance of NDF. In conclusion, the general feed-nutritional value of spent mushroom (Agaricus bisporus) substrates appeared to improve after cultivation of mushroom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for Silage Making and Determination of Optimal Medium Conditions for Growth

  • Kim, Young-Il;Kwak, Wan-Sup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6호
    • /
    • pp.435-44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and identify the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s (SMS) for the effective anaerobic fermentation to utilize SMS as an animal feed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medium conditions for their growth. At first, a total of 23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ensiled SMS based on the LAB counts and pH tested. Then, a total of 16 strains which rapidly produce lactate and decreased the pH, were selected for a screening test. The optical density (OD), pH, and yellow clear zone were tested for the selected 16 strains. Among the strains, KU5 strain had wider yellow clear zone and lower pH and KU13 strain had higher OD at 24 hr of incubation and wider yellow clear zone compared to other strains and control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2116). Accordingly, KU5 and KU13 strains were finally selected. The KU5 and KU13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y the 16S rRNA sequencing. The KU5 strain was nam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KU5, and the KU13 strain was nam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KU13. Lactobacillus plantarum KU5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U13 were registered at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Access number of Lactobacillus plantarum KU5 was HQ542227 and tha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U13 was HQ542228. The optimal medium conditions for growth of KU5 and KU13 were soybean meal 2% and formulated feed 2%, respectively.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 제조 및 활용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rganic compost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

  • 이상화;박주리;오소라;류송이;류영현;강민구;이숙희;조우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9-44
    • /
    • 2018
  •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를 제조하여 퇴비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퇴비의 발아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오이, 무, 상추, 배추를 파종한 후 발아율과 발아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미강과 미생물제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와 무의 발아지수는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상추의 경우 SMS 100%와 미강 5% 첨가구만 발아지수 70을 넘었고 배추는 미생물제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지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추를 이용하여 SMS 상토 제조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생육시험용 상토 제조비율은 일반상토 100%와 SMS 10%, SMS 20%, SMS 30%, SMS 50%, SMS 70%, SMS 100%로 제조하여 상추묘를 이식하였다. 먼저 상토재료의 이화학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MS 첨가량이 높을수록 질소전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추의 SMS 처리구와 일반상토에서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중량은 SMS 10% 43.9 g, 일반상토 46.4 g로 비슷하였으며 엽록소 함량도 SMS 10% 32.8, 일반상토 SMS 10% 32.8로 같았고 나머지도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총장에서 SMS 10% 14.6 cm, 일반상토 16.8 cm로 일반상토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 Bioactivities of Spent Mushroom Substrate of Shiitake)

  • 성화정;표수진;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4-172
    • /
    • 2019
  • 국내 표고버섯은 참나무 톱밥을 주 원료로 한 인공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표고버섯 재배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수확 후 배지](Spent Mushroom Substrate: SMS)는 약 50,000톤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 없이 폐기되고 있는 표고버섯 SMS를 유용 생물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1회 수확 후 SMS 및 3회 수확 후 SMS의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산화, 항균, 항당뇨,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로는 재배용 살균배지 및 표고버섯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표고버섯 SMS 추출물은 표고버섯 및 살균배지 추출물보다 우수한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1회 및 3회 SMS 추출물들은 0.5 mg/disc 농도에서는 사용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0.5 mg/ml 농도에서 우수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thrombin time, prothrombin tim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측정 결과, SMS 추출물들은 혈소판 응집에는 미미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한 혈액응고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혈전 조성물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MS를 폐기 대상이 아닌, 표고버섯 균사체가 대량 배양된 생물자원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며, SMS를 이용한 항산화, 항당뇨, 항혈전 조성물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 생성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tin-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s)

  • 신평균;유영복;조용운;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0-185
    • /
    • 2011
  • 버섯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을 생성하는 4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는 A. flavus와 A. ochraceou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YJ07로 명명하였다. Bacillus ID kit와 VITEK 2 system를 이용하여 분리균 YJ07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은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와 유사한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유연관계에서도 B. amyloliquefaciens와 9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YJ07은 B. amyloliquefaciens YJ07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 YJ07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은 TLC와 HPLC 분석에서 reference 물질로 사용한 srfactin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추출물에서 Bacillus velezensis HKB-1의 배양적 특징 및 고추역병의 생물학적 방제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HKB-1 in the water extract of the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pepper)

  • 김자윤;서현지;강대선;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2-278
    • /
    • 2021
  • Bacillus velezensis HKB-1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고추역병균(Phythopthora capsici), 인삼모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탄저병균(Collectotrichum coccodes)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ium)의 균사체 성장을 70% 이상 억제하는 항 진균 활성을 보였다. B. velezensis HKB-1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과 당밀 1% 첨가배지에서 다른 상업용 세균배지보다 10~100배 더 높은 세균증식률을 보였으며 고추 역병균의 균사체 생장을 90% 억제하였으며 고추생육 촉진효과 및 고추역병에 대하여 70%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한 느타리 생육배지 톱밥 대체재료 선발 연구 (Sawdust Substitution in Growth Medium of Oyster Mushroom for Using Its By-product Spent Mushroom Substrates as Ruminant Feed)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7-414
    • /
    • 2020
  • 느타리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해 생육배지의 톱밥을 대체하고자 면실피펠렛, 옥대펠렛, 콘코브를 활용하여 생육시험을 수행하고, 그 수확후 배지의 사료로서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톱밥 대체재료별 혼합배지의 생육결과 콘코브, 면실피펠렛 처리구의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4일, 생육일수 3일 소요되어 전체 재배기간이 34일로 대조와 같았다. 병당 수량은 콘코브 처리구가 134 g으로 대조구 130 g과 유사하였고, 면실피펠렛처리구는 112 g, 옥대펠렛 처리구 68 g으로 낮았다. 생물학적 효율은 콘코브가 80.1%로 대조구 68.7%보다 우수하였다. 톱밥 대체재료별 수확 후 배지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콘코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NDF는 같지만 ADF와 리그닌 함량이 낮고, 단백질 함량은 높아 사료로서 영양학적 가치가 더 우수하였다. 향후, 농가 현장의 적용시험을 통하여 생산성을 검증한다면 느타리 수확 후 배지도 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고온성 Bacillus sp. UJ0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philic Bacillus sp. UJ03 from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vtipes) Substrates)

  • 갈상완;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81-1486
    • /
    • 2011
  • 버섯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7종의 고온성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곰팡이독소를 생성하는 Asp. flavus와 Asp. ochraceous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으면서 xylanase와 cellulase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UJ03으로 명명하였다. Bacillus ID kit와 VITEK 2 system를 이용하여 분리균 UJ03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 UJ03은 Bacillus 속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는 B. amyloliquefaciens와 98.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UJ03은 Bacillus sp. UJ03으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 UJ03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은 TLC와 HPLC 분석에서 Bacillus 속 균주가 생성하는 펩타이드성 항균물질인 iturin A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버섯부산물유래 가수분해효소분비 박테리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drolytic Enzyme-producing Bacteria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 김영일;정세형;석준상;양시용;허정원;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13-720
    • /
    • 2008
  • 본 연구는 톱밥주원료 버섯부산물의 효과적 사료화를 위한 균주개발을 목적으로 버섯부산물로부터 섬유소분해력이 높은 고온성 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균주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화 조건을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Xylanase와 CMCase 활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선발된 고온성 균은 3, 201-7번으로서 동정한 결과 Bacillus spp.에 속하는 균주로 B. subtilis KU3, B. subtilis KU201-7로 각각 명명하였다. 균주생산을 위한 최적 액상배양조건에 있어서 B. subtilis KU3은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3%(w/v)에서, 탄소원으로 maltose 1%(w/v)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다. B. subtilis KU201-7은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0.5%(w/v)에서, 탄소원으로 CMC 0.5%(w/v)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