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leaf area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Sorghum 및 옥수수의 형태적 특성과 재배온도가 Nitrate-Nitrogen 축적에 미치는 영향 (Accumuation Pattern of Nitrate-Nitrogen in Sorghum And Maize Plants as Affected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6-152
    • /
    • 1987
  • Sorghum cv. Pioneer 93 1, sorghum-sudangrass hybrid cv. Sioux and maize plant cv. Blizzard were assayed for toxic concentrations of nitrate-nitrogen ($NO_3$-N)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a field and phytotron trial. In the phytotron, sorghum and maize plants ranging from emergence to heading stage, were grown unde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s of 30125, 25/20,28/18 and 1818 degree C. Nitrate-nitrogen in sorghum and maize plants was accumulated mainly in stems. Therefore nitrate concentration in the young plants was increased as development of stalks advanced and was highest at the stage of 3-4 leaves, when the plants had a leaf weight ratio 0.78-0.80 g/g plant weight. However, nitrate concentrations of the plant decreased as morphological development progressed, especially from the stage of growing point differenti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f nitrate concentration with leaf weight ratio, leaf area ratio and specific leaf area, while plant height, dry matter percentage and absolute growth rate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EX>$NO_3$-N ($P{\le}0.1$%). Cyanogenic glycosides, total nitrogen and crude protein were close associated with nitrate accumulation, and positively significant ($P{\le}0.1$%). High temperature over 30/25^{\circ}C.$ for 3 weeks increased N-uptake and dry matter accumulation, but reduced nitrate concentration. Under cold temperature below 18/8^{\circ}C.$ concentration of nitrate-N was increased in spite of its limited nitrogen uptake and plant growth.

  • PDF

연맥 등숙기 동안 $^14$C물질의 전유와 절엽 및 제영이 종실중에 미치는 영향 (Translocation of $^14$C-assimilates During Grain Filling and Influence of Defoliation and Emasculation on Grain Weight in Oats)

  • 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44
    • /
    • 1979
  • 연맥품종 Pennfield의 등숙기동안 이삭의 $^14$C-sucrose 침지, $^14$$CO_2$의 지엽 또는 이삭 조사로서 동화물질의 source를 달리하였을 때 grain sink의 기능을 종실성숙의 정도, 소수의 수, 종실의 위치를 비교하여 검토하고, 절엽 및 제영처리를 하여 source와 sink간의 균형을 변화시켰을 때 종실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절취된 이삭의 하부에 $^14$C-sucrose를 침지하였을 때 종실로 $^14$C물질의 전류는 개화후 15일까지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18일까지 급격히 하락하여 종실중의 증가보다 빨리 시작하고 먼저 끝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절위 종실이 상위절위보다 $^14$C의 전류가 높았는데 이는 등숙의 진행이 늦은 때문이었으며 일차영화는 이차영화보다 높은 sink의 기능을 보였다. 2. 식물체에$^14{CO}_2$를 조사하였을 경우 이삭조사가 지엽조사보다 전류률이나 종실당 specific activity에서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이삭이 종실의 등숙에 보다 효과적인 source임을 보여주었다. 종실당 specific activi쇼는 sink인 소수의 수의 영향보다 source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source의 activity가 큰 순서인 이삭의$^14$C-sucrose 침지 > 이삭의 $^14$$CO_2$ 조사 > 지엽의 $^14$$CO_2$ 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3. 절엽 및 제영처리로서 source/sink ratio를 변화시켰을 때 source/sink ratio가 감소함에 따라 종실중이 감소하였으며 엽면적과 소수의 수를 동시에 반감하였을 때 정상식물의 종실중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잎을 제거하였을 때도 종실중에서 16% 감소에 불과하여 이삭의 동화작용이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Productivity at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in Bangladesh

  • Sharmin, Mahmuda;Dey, Sunanda;Chowdhury, Sangit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91-301
    • /
    • 2016
  • One of the most concerned topics in ecolog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However, there are few field studies, carried out in forest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done in controlled experiments in grassland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three facets of diversity and productivity at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RFWSF) in Bangladesh, which is the only remaining fresh water swamp forest of the country. Sixty sample plots were selected from RFWSF and included six functional traits including leaf area (LA), specific leaf area (SLA), leaf dry matter content (LDMC), tree height, bark thickness and wood density. In analyzing TD, we used Shannon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functional diversity was measured by Rao's quadratic entropy (Rao 1982) and Faith's (1992) index was used for phylogenetic diversity (PD). It was found that, TD, FD and PD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roductivity (basal area) due to resource use complementarity but surprisingly the best predictor of tree productivity was FD.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iodiversity loss and it is essential for conservation decision-making and policy-making of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Effects of Fertilizer on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of Foliage in a Red Pine Stand

  • Kim, Choonsig;Ju, Nam-Gyu;Lee, Hye-Yeon;Lee, Kwang-S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xamine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in foliage following forest fertilization in a red pine stand. Two types of fertilizer (N:P:K=113:150:37 kg $ha^{-1}$; P:K=150:37 kg $ha^{-1}$) were applied on late April 2011.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of foliage were monitored 3 times (July, September, November) after fertilization. Morphological growth responses (dry mass,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with foliage age were not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by fertilizer application, while needle dry mass and leaf area of Jul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urrent-year-old than in one-year-old or two-year-old needles of September or November. Carbon concentration and content in foliage was little affected by fertilizer application compared with sampling month or needle age, while the NPK fertilizer produced high nitrogen concentration and content of foli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nitrogen concentration and content in foliage may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nitrogen status by fertilization in a red pine stand.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수도의 생장해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Growth Data of Rice)

  • 한원식;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3-178
    • /
    • 1986
  • 1979년에 조신력, 팔달, 진흥, 통일, 밀양2003등 5품종을 공시하여 질소수준을 0kg, 12kg, 18kg/10a에서 재배하여 15회에 걸쳐 조사한 엽후, 엽면적지수, 주당건물중과 수양 및 수양구성요소와의 관계를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후, 엽면적지수, 주당건물중의 시계열데이타의 주성분분석에서 제 1주성분은 전기간의 평균적 크기의 대소를 표시하는 특성으로, 제 2주성분은 엽후, 엽면적지수에서는 변대의 위치, 주당건물중에서는 생육초기의 특성을 표시하는 종합특성치로 도출할 수 있었다. 2. 생장특성을 표시하는 종합특성치(주성분스코아)의 엽후는 품종간 차리가 엽면적지수 및 주당건물중은 질소수준간 차이가 인정되있다. 3. 수양 및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 임실비율과 주당 수수가 엽면적 및 주당건물중의 스코아와 관계가 있었고 엽후와는 거의 관계가 없었으며 수양에 미치는 영향도 임실비율과 주당수수를 통해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벼종자의 비중차이가 유묘생장 및 유관속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in Specific Gravity on Seedling Growth and Vascular Bundle Development of Two Rice Cultivars)

  • Chae, Je-Cheon;Lee, Dong-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2-67
    • /
    • 1996
  • 본 실험은 비중선으로 종자밀도를 5등급으로 세분한 뒤 각 등급별 유묘의 유관속 발달 및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디카형인 IR58과 자포니카형인 운봉7호를 공시하여 수해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밀도가 1.00이하에서 1.20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유묘의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와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R58은 운봉7호보다 유관속수와 크기가 양호하게 발달하였다. 2. 유묘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수, 근수 및 근장은 종자의 밀도가 1.20이상까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3.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는 건물중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4, 5엽신의 대유관속수는 엽신폭과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4. 종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유묘의 유관속 발육을 좋게 하며 양수분의 원활한 이동으로 인하여 생육이 양호하게 건묘육성에 바람직하였다.

  • PDF

동계 Plastic house내 고추(Capsicum annuum L.) 육묘시 온도와 광도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II. 무가온 다중피복 시설내 온도 및 광환경이 고추의 유묘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in Plastic House During Winter. II.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Environment on the Early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under the Multilayered Covering in Non - heated Plastic House)

  • 정순주;이범선;권용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9-127
    • /
    • 1994
  • 본 연구는 동계 무가온 3중 및 4중피복 plastic house내에서 고추를 육묘하여 이들 육묘환경조건에서의 고추유묘의 생장반응을 파악하고 육묘환경의 차이에 따른 묘의 소질과 정식이후의 생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각 기관별 건물중은 3중피복구가 4중피복구에 비하여 50%의 감소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엽면적으로 육묘기간중 3중에 비해 4중에서는 2-5배의 증가를 보여 육묘 환경의 차이가 고추유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3중피복구에서는 4중피복구에 비하여 생장초기부터 엽면적의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고체생장율도 현저히 감소했다. 비엽면적(SLA)은 4중에서 3중에 비하여 엽의 두께가 얇았으며, 순동화율은 4중에서 생장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3중에서는 파종후 6주후에 급격히 증가했다. 3. 엽면적과 전체건물중, 엽건물중간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엽면적과 개체생장율간에는 4중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엽면적과 순동화율간에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파종후 6주째까지는 3중에서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고, 줄기와 뿌리로의 분배는 적었으며, 4중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5. 고추의 분지수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였고, 주당 과중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4중에서 육묘한 고추의 분지수는 3중에서 육묘한 고추보다 현저히 많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한 경향이었다. 6. 고추유묘의 형질중 정식후 고추수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서 고추육묘에 있어서 양묘의 기준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 결정되었으며, 또한 묘의 소질과 수량과의 관련성이 크게 인정되어 동계 시설재배시 고추의 다수를 위한 고추육묘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위한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 PDF

식물공장에서 적색, 청색, 백색 및 원적색 LED 처리에 따른 고추냉이의 생육반응 (Effects of Red, Blue, White, and Far-red LED Source on Growth Responses of Wasabia japonica Seedlings in Plant Factory)

  • 김해란;유영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15-422
    • /
    • 2013
  • 본 연구는 식물공장용 LED 챔버 시스템에서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LED 광원 및 광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적색, 청색, 백색 그리고 원적색광의 단일 및 혼합처리,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 그리고 duty비 등을 다양하게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은 적색 + 청색 혼합광에서 가장 높았고, 단일광 조건에서는 청색광보다 적색광 하에서 식물체 생물량이 높았다. 고추냉이의 식물체 생물량과 분얼수는 적색과 청색광의 비율이 1:1인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처리 시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은 duty비가 100%일 때 높은 반면, 적색과 청색광에 백색광을 첨가하여 처리 하였을 때는 duty비가 가장 낮은 97%에서 높았다. 엽면적과 잎건중량은 적색광에서 가장 높은 반면, 비엽면적은 청색광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과 청색 혼합광에서 엽면적과 잎건중량은 적색광의 비율이 높거나, duty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백색광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duty비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추냉이는 단일광을 처리하는 것보다 적색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처리해 주거나, 청색광보다 적색광의 비율을 더 높여주는 것이 고추냉이의 생육 및 품질을 향상시켜 줄것으로 판단된다.

Performance Assessment of Three Turfgrass Species, in Three Different Soil Types, and their Responses to Water Deficit in Reinforced Cells, Growing in the Urban Environment

  • Ow, L.F;Ghosh, S.;Chin, S.W.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38-347
    • /
    • 2015
  • Reinforcement cells are used to aid grass growth and taken together, this serves to extend greenery beyond the conventional spaces of lawns, tree pits, gardens, and parks, and is advantageous to urban cities since space for greening is often limited. Drought has variable effects on plant life and the resilience of turf to drought resistance also varies with species. Changes in photosynthetic ability were more pronounced for media rather than grass species. The media of sand without organic matter was found to be least suited for drought resistanc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digital image analysis (DIA) data were generally in favour of Zoysia species as oppose to A. compressus. In A. compressus, selective traits such as, a more extensive root system and lower specific leaf area (SLA) were not an underlying factor that assisted this grass with enhanced drought resistance. Generally, WUE was found to be strongly related to plant characterises such as overall biomass, photosynthetic features as well as the lushness indexes, and specific leaf area. This study foun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WUE and a suite of plant characteristics. These traits should serve as useful selection criteria for species with the ability to resist water stress.

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에 있어서 모래를 이용한 토양 mulching의 효과 II. 간척지 재배목초의 생육 및 건물축적형태와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and Mulching on Forage Production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I. Studies on growth , dry matter accumulation and nutrient quality of selected forage crops grown on saline soils)

  • 김정갑;한민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7-83
    • /
    • 1990
  • A three year'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newly reclaimed tidal saline soil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and growht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main selected pasture species. Nine temperate grasses (14 varieties) and two forage crops (sorghum and pearl millet) were grown under different mulching treatments with medium sand and red-yellow soils (fine loamy materials of Typic Hapludults) from 1986 to 1988. Tall wheatgrass, tall fescue, reed canarygrass and alfalfa showed a good tolerance to soil salinity, especially tall wheatgrass (cv. Alkar) produced 19.6 ton/ha dry matter yield annualy under mulching treatment with medium sand depth in lcm. Pearl millet (cv. Gahi-3) was also evaluated as a salt tolerable forage species. Under salt stress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s, plant showed a decrease in the assimirable leaf area (LA) as well as specific leaf area (SP. LA) and a low leaf weight ratio(LWR), and it resulted in a low concentration of crude protein and low digestible dry matter contents. Absorption of macro and micro elements in the plant on tidal lands was increased marked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