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discussions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 (Challenges faced by elementary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five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al discussions)

  • 방정숙;김소현;안효주;정지수;곽기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95-115
    • /
    • 2023
  • 많은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정작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1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 대상 교사들이 3~4명씩 교사 공동체를 구성하여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실행·반성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과 수업 환경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는 데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모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점검하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핵심적인 수학적 아이디어와 연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작성하기,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학생의 발표를 시각적으로 공유하기 등과 같이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강조되지 않았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이끌어 가고 싶은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교사교육자에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논의의 장을 확장하기를 기대한다.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초등 수학 수업 개선: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Improvement of Elementary Instruction via a Teacher Community: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 방정숙;김주현;최예원;곽은애;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33-45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15명과 교사 교육자 1인으로 구성된 교사 공동체에서 전체 논의와 학년별 논의를 바탕으로 Smith와 Stein(2018)이 제안한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초등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활동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년에서 관행이 매우 잘 실행되는 4수준을 유지하거나 관행의 수준이 점차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행별로 살펴보면, 목표 설정, 과제 선정, 예상하기, 선정하기의 경우 대부분의 학년에서 실행 수준이 상승하거나 4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계열짓기와 연결하기의 경우 실행 수준의 상승, 하락, 유지가 다양하게 드러났다. 또한 점검하기의 경우 잘못 적용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2수준을 유지하거나 기껏해야 수준 상승 후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Maintaining Cognitively Challenging Discourse Through Student Silence

  • Jensen, Jessica;Halter, Marina;Kye, An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63-92
    • /
    • 2020
  • Student engagement in high-level, cognitively demanding instruction is pivotal for student learning. However, many teachers are unable to maintain such instruction, especially in instances of non-responsive students. This case study of three middle school teachers explores prompts that aim to move classroom discussions past student silence. Prompt sequences were categorized into Progressing, Focusing, and Redirecting Actions, and then analyzed for maintenance of high levels of cognitive demand. Results indicate that specific prompt types are prone to either raise or diminish the cognitive demand of a discussion. While Focusing Actions afforded students opportunities to process information on a more meaningful level, Progressing Actions typically lowered cognitive demand in an effort to get through mathematics content or a specific method or procedure. Prompts that raise cognitive demand typically start out as procedural or concrete and progress to include students' thoughts or ideas about mathematical concepts. This study aims to discuss five specific implications on how teachers can use prompting techniques to effectively maintain cognitively challenging discourse through moments of student silence.

기업 정보 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모형 (An Evaluative Framework for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 이국희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7-33
    • /
    • 1992
  • This paper provides a framework for evaluating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The framework identifies three evaluation domains: IS business value, IS expenses, and IS functionality. Discussions of each category encompass what to be measured, how to measure, and how to judge the measured value. Then, the framework classifies three categories of individual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IS life cycle: industry-common, industry-similar, and firm-specific.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match the role of an individual system with the focus of evaluation efforts. The framework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sign of evaluation programs for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 PDF

Symmetry of computer-generated figures based on complex dynamics

  • Aoyama, Tomoo;Zhu, Hanxi;Yoshihara, Iku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9년도 제14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222-225
    • /
    • 1999
  • We discuss the symmetry for computer-generated figures based on complex dynamics. The figures have not continuous lines, and they axe plotted on a specific region in the complex plane. They have different properties from classical figures. But we believe that they are variety of figures. The symmetric discussions are necessary because of their properties.

  • PDF

A TRIAL SOLUTION APPROACH TO THE GI/M/1 QUEUE WITH N-POLICY AND EXPONENTIAL VACATIONS

  • Chae, Kyung-Chul;Lee, Sang-Min;Kim, Nam-Ki;Kim, Jin-Dong;Lee, Ho-Woo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3권3호
    • /
    • pp.283-298
    • /
    • 2004
  • We present a trial solution approach to GI/M/l queues with generalized vacations. Specific types of generalized vacations we consider are N -policy and a combination of N-policy and exponential multiple vacations. Discussions about how to find trial solutions are given.

동료 간 토의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습 감정의 관계: 욕구를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undergraduates' motivations and emotions for learning mathematics in mathematics class centered on peer discussions : focusing on their needs)

  • 박석준;이경원;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81-20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욕구라는 구인을 도입하여 동료 간 토의를 중심으로 한 수학 수업이라는 특정한 수학 학습 맥락 속에서 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습 감정이 어떻게 일어나며, 그 둘이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핵심 개념인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습 감정을 개념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습 감정을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 동기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어났으며, 욕구가 충족될 때와 충족되지 않을 때 각각 긍정적인 수학 학습 감정과 부정적인 수학 학습 감정이 일어났다. 또한, 수학 학습 동기를 일어나게 한 욕구가 충족되면 긍정적인 수학 학습 감정이 일어났으며,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부정적인 수학 학습 감정이 일어나면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학 학습 동기가 일어났다.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할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의 배오(配伍) 분석 (Analysis of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Combination for the Formula Science Common Textbook)

  • 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35
    • /
    • 2013
  • Objectives : Proposed a formula analysis standard about the individual formula which is to be put in the specific discus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formula education at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Methods : Examined the ingredient combination analysis written in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which was put in the 27kinds of formula science book published in both Korea and China. Results : Must analyze the formula according to the existing formula. The combination of the ingredients should be analyzed into herb pairs such as seven different combinations. The effect and disease for which medicine is efficacious, should be analyzed and tabulated by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The formula should be anlayzed and schematized by the sytem of Chief, Deputy, Assistant and Envoy. The basic formula should be analyzed and schematized by the combination of formula, adding and removing the ingredients. Analyzing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into the system of Chief, Deputy, Assistant and Envoy shows the following: chief herb is Agastaches Herba; deputy herb is Perillae Folium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assistant herb is Pinelliae Rhizoma preparatum, Magnoliae officinalis Cortex,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Arecae Pericarpium, Platycodi Radix,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 Poria, and envoy herb is Glycyrrhizae Radix preparata, Zingiberis Rhizoma recens, Jujubae Fructus. Conclusions :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formula education at colleges of Korean medicine would be effectively achieved if it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formula analysis and its rule about individual formula that is to be decided.

유엔의 지명 논의와 지리학적 지명연구에의 시사점 (Discussions on Geographical Names in the United N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Geographical Toponymy in Korea)

  • 주성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42-464
    • /
    • 2011
  • 이 연구는 유엔지명전문가그룹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명 논의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지리학 분야의 지명 연구에서 향후 보완, 확대, 발전할 수 있는 연구 분야와 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명연구는 지명의 창출자와 소유자의 관점에서 지명의 생성과 변화에 나타난 지역의 인문적, 사회적, 자연적 특성을 밝히는 데 주력해왔다. 반면, 유엔의 지명 논의는 지명 사용의 주체와 그 형태, 각 언어집단의 역할, 가치 있는 지명의 보존 등 지명의 사용자 측면을 강조하면서 지명 표준화의 목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유엔의 논의를 수용한 보다 확대된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분야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방향으로서, 우리 언어의 외래지명과 토착지명 사용, 지리적 실체의 본질과 인식, 국제적인 지명소통을 위한 표기법의 문제,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지명에 대한 연구 등이 제안된다.

국내 마이데이터 태동과 데이터 거래에 관한 잠재적 주제 분석 (Study on Potential Topics of the MyData and Data Transactions Using LDA Topic Modeling)

  • 조지연;이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1-229
    • /
    • 2022
  • 최근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개인데이터 활용에 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에 관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로서, 법·제도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으며 종합적인 시각에서 마이데이터를 조망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거래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된 2018년부터 현시점까지의 뉴스를 분석하여 사회적 논의가 형성한 잠재적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통한 뉴스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혁신, 마이데이터 사업자 지위 및 허가, 데이터 관련 법 개정, 안전한 데이터 활용, 데이터 경제활성화 정책, 사업자의 전략 등 6개의 잠재적 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태동과 함께 나타난 사회적 이슈를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관련 논의의 공백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시 이후의 변화를 파악하고, 마이데이터 산업별 심도깊은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길 기대한다.